서울 아파트값 10년5개월만에 최대 하락…은마도 20억대 붕괴

박종화 2022. 11. 3. 14: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세가 사실상 소멸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10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한 주 전보다 평균 0.32% 하락했다.

부동산원 조사에서 전국 아파트값 하락률은 6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국아파트값 하락률 최고치 경신
170개 지역 떨어질 때 상승은 2곳
급매물 안 팔려 규제 해제 무소용
전셋값 조사 이래 최대 낙폭 기록
[이데일리 박종화 기자]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세가 사실상 소멸했다. 서울 아파트값은 10년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재건축 진전이나 규제 지역 해제 같은 호재도 힘을 못 쓰고 있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자료=국토교통부)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한 주 전보다 평균 0.32% 하락했다. 2012년 부동산원이 주간 단위 조사를 시작한 이래 가장 큰 낙폭이다. 부동산원 조사에서 전국 아파트값 하락률은 6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지역별로 봐도 마찬가지다. 전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보다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비규제지역 2곳(1.2%)에 불과하다. 하락 지역은 170곳(96.6%)에 이른다. 서울 아파트값도 0.34% 빠졌다. 2012년 6월 둘째 주(-0.36%) 이후 조사 이래 두 번째로 높은 하락률이다. 내림세는 강남·북을 가리지 않고 나타났다. 송파구(-0.60%)에서 가장 많이 떨어졌고 강동구(-0.45%)와 성북구(-0.44%), 노원구(-0.43%)가 그 뒤를 이었다.

경기, 인천 아파트값은 각각 0.51%, 0.41% 내렸다. 파주시(-0.82%)와 인천 연수구(-0.69%)·서구(-0.66%), 화성시(-0.64%) 등이 하락을 주도했다. 이 중 파주시는 9월 부동산 비규제지역이 됐지만 반등하지 못하고 낙폭만 깊어지고 있다.

비수도권 아파트값은 0.24% 하락했다. 광역시 지역과 세종시에서 각각 0.30%, 0.40%, 도(道) 지역에서 0.19% 떨어졌다. 대구(-0.36%)와 경남(-0.33%), 부산(-0.32%), 울산(-0.25%) 등 영남 대도시권에서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부동산원은 “가격 하락 우려에 따른 매수심리 위축과 추가 금리 인상 예정에 따라 매수문의 극소한 상황”이라며 “현재 급매물에서 추가적인 가격 하향 조정돼도 거래 성립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 지속하면서 하락 폭을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마저 팔리지 않으면서 주택 시장은 사실상 최저가에서 가격이 결정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선 호재마저 악재에 가려진다.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지난달 전용면적 76㎡형이 19억9000만원에 매매됐다. 이 아파트 실거래가가 20억원 밑으로 내려간 건 2020년 말 이후 거의 2년 만이다. 현재 호가는 19억원까지 내려갔다. 이 아파트는 지난달 19년 만에 정비계획이 확정됐지만 지금 같은 하락장에선 이런 호재도 무용해졌다.

전세 시장도 꽁꽁 얼어붙었다. 이번 주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37% 하락했다. 역시 조사 이래 최대 낙폭이다. 서울과 수도권(서울 포함) 전셋값은 각각 0.43%, 0.51% 떨어져 전국 평균보다도 크게 하락했다. 전세 대출 이자 부담으로 전세 수요자가 월세 시장으로 옮겨가면서 시장에 물건이 쌓여가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회사 아실에 따르면 3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 물건은 4만9123건으로 한 달 전(4만36건)보다 22.6% 증가했다.

박종화 (bell@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