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경계해야 할 경제안보 국가 1위 `중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첨단산업과 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 세계적인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국내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금융권 제외, 총 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업 50.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업 절반 "실적에 악영향 줘"
첨단산업과 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 세계적인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국내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국내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금융권 제외, 총 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기업 50.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경영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실적에 영향이 없다는 기업은 44.0%였고, 긍정적 영향을 받았다는 응답 비율은 6.0%에 그쳤다.
응답 기업의 49.4%는 경제안보 중요성에 대한 우리나라의 인식이 주요 선진국과 비교해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52.7%는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전반적인 대처도 부족하다고 느꼈다.
기업들은 전 세계적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했다. 이어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0%), '보호무역주의 확산'(11.9%) 순이었다.
경제안보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1순위 국가로는 미국(86.6%)을, 2순위 국가로는 중국(57.4%)을 가장 많이 지목했다.
경제안보 측면에서 신중히 경계해야 할 1순위 국가는 71.3%가 꼽은 중국이었다.
경제안보 이슈가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 국제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의 34.0%가 경제안보 국면이 4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2~3년 정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도 26.7%였다.
경제안보 달성을 위해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환율·유가 등 금융시장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32.0%), '소재·부품·장비 등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18.0%), '교역 국가와 우호·협력적 관계 강화'(14.8%) 등을 언급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경제안보는 당분간 변하기 힘든 뉴노멀"이라며 "각국의 산업 보호 정책으로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 기업들은 단기적으로 적응 비용을 치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경제안보 시대에도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은희기자 eh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도기간 홀로 문 연 이태원 빵집…"경찰·소방관 잠깐 쉬시라고"
- 고작 13㎞를 `1시간 반`만에…그날, 이태원 참사 첫 구급차
- 조국, 또 졌다…`송철호 지지 호소` 보도한 언론사 2심서 패소
- "종교적 치료해야" 20대 여신도 성폭행한 승려…알고보니 전과자
- "생명의 은인 찾습니다"...`무 뽑듯` 30명 구한 후 사라진 흑인 남성 있었다
- "김영선 좀 해줘라" 尹대통령-명태균 녹취록 공개 파장… 대통령실 "공천 지시 아냐, 그저 좋게
- 생산·소비 `동반 추락`… 설비투자 홀로 8.4% 반등
- `합병 SK이노` 1일 출범…무자원 산유국서 `친환경` 에너지강국 도약 이정표
- "기술혁신이 ESG"...AI로 고령화 해결 나선 제약바이오기업들
- "가계대출 총량규제 맞춰라"… 신규억제 넘어 중도상환 유도하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