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 먹통’ 반영도 안 됐는데…카카오 3분기 영업익 11%↓
지민구기자 2022. 11. 3. 11: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카카오가 데이터센터의 화재 여파가 반영되지 않은 3분기(7∼9월)에도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우마무스메 이용자들은 카카오게임즈의 미숙한 게임 운영 체계에 항의하며 올해 8월 '마차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배 부사장은 "외부 데이터센터 임대료 등을 포함해 연간 1500억 원의 인프라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앞으로 카카오 공동체(계열사) 서비스 확대와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등의 영향으로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분기엔 더 악화”
최소 400억 보상 비용
인프라 투자액도 증가
카카오가 데이터센터의 화재 여파가 반영되지 않은 3분기(7∼9월)에도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경기 침체로 광고·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세가 꺾인데다 게임 부문에서 운영 미숙 논란이 불거진 탓이다. ‘먹통 사태’ 보상 비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4분기엔 수익성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카카오는 3일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5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1조8587억 원으로 6.8% 증가했다. 앞서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5% 성장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꺾인 것이다. 카카오는 지난해 연간 단위로 매출이 2020년 대비 47.6%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왔다.
구체적으로 보면 게임 부문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2961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사업 부문 중 가장 부진한 실적이다. 카카오게임즈의 ‘우마무스메’와 ‘오딘’ 등 주요 모바일 게임의 매출 감소세가 영향을 미쳤다. 우마무스메 이용자들은 카카오게임즈의 미숙한 게임 운영 체계에 항의하며 올해 8월 ‘마차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카카오는 4분기에도 성장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배재현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3일 오전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전화 회의)에서 “최근 부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에 따라 광고 사업이 영향을 받고 있어 4분기 매출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카카오는 주요 서비스 먹통 사태로 인한 유료 서비스 보상 비용을 약 4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아직까지 지원책, 보상 방안이 확정되지 않아 매출 손실이나 구체적인 재무 영향은 확답하기 어렵다”고 했다.
단기적으로는 인프라 투자액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배 부사장은 “외부 데이터센터 임대료 등을 포함해 연간 1500억 원의 인프라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앞으로 카카오 공동체(계열사) 서비스 확대와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등의 영향으로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선 증권사 애널리스트(분석가)들이 서비스 먹통 사태와 관련한 카카오의 대응 현황과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질의가 집중적으로 이어졌다.
홍 대표는 “카카오의 서비스 이용자가 100만 명이나 2000만 명 수준이 아니라 사실상 전 국민이라는 점을 고려해 가져야 할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며 “특히 카카오톡이 중단됐을 때 일상이 멈췄다고 받아들이는 이유가 무엇일지 깊이 성찰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소 400억 보상 비용
인프라 투자액도 증가
카카오가 데이터센터의 화재 여파가 반영되지 않은 3분기(7∼9월)에도 부진한 실적을 거뒀다. 경기 침체로 광고·커머스(전자상거래) 시장의 성장세가 꺾인데다 게임 부문에서 운영 미숙 논란이 불거진 탓이다. ‘먹통 사태’ 보상 비용이 본격적으로 반영되는 4분기엔 수익성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커졌다.
카카오는 3일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150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1조8587억 원으로 6.8% 증가했다. 앞서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35% 성장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성장세가 꺾인 것이다. 카카오는 지난해 연간 단위로 매출이 2020년 대비 47.6%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이어왔다.
구체적으로 보면 게임 부문의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한 2961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사업 부문 중 가장 부진한 실적이다. 카카오게임즈의 ‘우마무스메’와 ‘오딘’ 등 주요 모바일 게임의 매출 감소세가 영향을 미쳤다. 우마무스메 이용자들은 카카오게임즈의 미숙한 게임 운영 체계에 항의하며 올해 8월 ‘마차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
카카오는 4분기에도 성장 둔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배재현 카카오 수석부사장은 3일 오전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전화 회의)에서 “최근 부정적인 거시 경제 환경에 따라 광고 사업이 영향을 받고 있어 4분기 매출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회사 측은 영업이익도 점차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카카오는 주요 서비스 먹통 사태로 인한 유료 서비스 보상 비용을 약 4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홍은택 카카오 대표는 “아직까지 지원책, 보상 방안이 확정되지 않아 매출 손실이나 구체적인 재무 영향은 확답하기 어렵다”고 했다.
단기적으로는 인프라 투자액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배 부사장은 “외부 데이터센터 임대료 등을 포함해 연간 1500억 원의 인프라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며 “앞으로 카카오 공동체(계열사) 서비스 확대와 자체 데이터센터 운영 등의 영향으로 비용은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컨퍼런스콜에선 증권사 애널리스트(분석가)들이 서비스 먹통 사태와 관련한 카카오의 대응 현황과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질의가 집중적으로 이어졌다.
홍 대표는 “카카오의 서비스 이용자가 100만 명이나 2000만 명 수준이 아니라 사실상 전 국민이라는 점을 고려해 가져야 할 무거운 책임감을 느꼈다”며 “특히 카카오톡이 중단됐을 때 일상이 멈췄다고 받아들이는 이유가 무엇일지 깊이 성찰하게 됐다”고 말했다.
지민구기자 warum@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인천행 타이항공 기내서 한국인 남성 사망…“흔들어도 반응 없어”
- [3보]北, ICBM 쐈다…이틀 연속 고강도 도발
- 경찰 “용산서장·서울청 상황관리관 수사 의뢰… 업무 태만 확인”
- 하루 1000억…北, 1년 쌀 수입할 돈 미사일로 날렸다
- ‘딸 운구비 막막’에…이영애 “러시아 유족 돕겠다”
- “원래 뒤엉켰는데…약속한듯 질서지켜” 이태원 참사후 ‘지옥철’ 풍경
- 김만배 “영학이, 이재명님 靑 가면”…법정서 녹취록 공개
- “야이 XXX야” 합동분향소 찾은 한동훈에 욕설한 시민
- “정말 죄송합니다” 김건희 여사, ‘이태원 참사’ 빈소 조문
- “생존자들, 소변색 확인해야”…양다리 피멍 본 의사의 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