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2곳 중 1곳 "글로벌 경제안보 움직임에 실적 악화"

최영지 2022. 11. 3. 11: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응답 기업 49% "韓경제안보 인식수준, 선진국보다 낮아"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공급망 악화 우려"
"협력 1순위 국가는 미국..중국은 경계해야"
전경련,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 조사
[이데일리 최영지 기자] 첨단산업과 기술 보호, 수출입·투자 규제, 핵심 자원·소재 공급망 관리 등 전 세계적인 경제안보 움직임 강화가 국내 기업의 실적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수 기업은 이같은 상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고 있어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자료=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금융권 제외, 총 15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한 ‘주요 기업 경제안보 인식 및 영향조사’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조사 대상 기업의 50%는 최근 글로벌 경제안보 강화 움직임이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경영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매우 부정적 2.7%, 다소 부정적 47.3%)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실적에 영향이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44.0%로 조사됐으며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기업은 6.0%(매우 긍정적 0.7%, 다소 긍정적 5.3%)에 그쳤다.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와 자국 우선주의 등의 움직임이 단기적으로 기업 실적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전경련)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식 및 대처 수준에 대해 부정적인 답변도 있었다. 응답 기업의 49.4%는 경제안보의 중요성에 대한 우리나라의 인식 수준이 주요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낮은 수준(매우 낮음 4.7% 다소 낮음 44.7%)이라고 평가했다. 비슷한 수준이라고 판단하는 기업은 43.9%,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응답은 6.7%로 나타났다.

또한 세계 각국의 경제안보 움직임에 대한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대처는 선진국 대비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기업의 52.7%가 부족하다(매우 부족 4.0% 다소 부족 48.7%)고 느꼈으며 44.6%가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업들은 전 세계적 경제안보 움직임이 강화될 경우, ‘외환·자본 시장 등 금융환경 불안정성 확대(40.7%)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수출규제 등 공급망 악화(21.0%)’, ‘보호무역주의 확산(11.9%)’에 대한 우려가 뒤를 이었다.

경제안보 시대를 잘 헤쳐나가기 위해 우리나라가 긴밀히 협력해야 할 국가에 대해 1순위로 미국을 꼽은 기업이 86.6%(130개사)에 달했다. 중국을 1순위로 지목한 기업은 10.7%(16개사)로 나타났다. 한편, 협력 2순위 국가로 중국을 지목한 기업이 전체 응답(80개사)의 57.4%(46개사)에 달해 1·2순위 내에 미국과 중국을 지목한 기업이 각각 130개사, 62개사에 달했다. 기업들은 한미 협력을 가장 우선시하면서도 중국과의 협력도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인식한 것이다.

한편, 경제안보 측면에서 신중히 경계해야 할 나라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기업의 71.3%(107개사)가 중국을 경계 1순위 국가로 지목했고, 경계 2순위로 지목한 기업도 20개사였다.

경제안보 이슈가 기업의 자유로운 경영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 국제 상황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기업의 34.0%가 경제안보 국면이 4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1년 이내 단기간에 종료될 것이라 응답한 기업은 1.3%에 불과해 대부분의 기업들은 미중 갈등으로 촉발된 현재의 신냉전구도가 장기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전경련)
장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경제안보 시대에, 기업들은 우리나라 경제안보 달성을 위해서는 ‘환율, 유가 등 금융시장 및 원자재 가격 안정화(32.0%)’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응답했다. 불안감이 높아지는 국제 정세 속에서 거시경제 지표의 안정이 경제안보의 최우선이라고 본 것이다.

다음으로는 ‘소재, 부품, 장비 등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18.0%)’, ‘교역 국가와 우호·협력적 관계 강화(14.8%)’가 뒤를 이었다.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통한 국가 경쟁력 확보(12.9%)’라는 응답도 4위를 차지하면서 경제성장을 통해 경제 안보의 해법을 모색하는 기업들의 모습도 보였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경제안보는 당분간 변하기 힘든 뉴노멀”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환·자본시장 등 금융 환경 안정과 지속적인 공급망 확보 지원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했다.

최영지 (young@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