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 삼진 콜에 이용규가 13초를 버텼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플레이볼 2분도 안됐다.
"이.렇.게. 되.면. 키움 타자들이 공략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어요. 폰트 선수의 높은 볼은 때리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골라내기도 힘들어요. 폰트 선수는 구심이 이 코스를 잡아준다고 하면, 계속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또 타자들이 더 높은 것에 끌려 나갈 수도 있거든요."
하지만 등 뒤의 판정은 다르다.
그럼 이용규의 불만(또는 억울함)은 어떻게 할 것인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OSEN=백종인 객원기자] 플레이볼 2분도 안됐다. 정확히는 1분 30초만이다. 첫 아웃 카운트가 올라간다. 김준완의 헛스윙 삼진이다. 5구째 결정구는 152㎞가 찍혔다. 심상치 않은 기운이 감돈다. (2일 문학구장, 키움-SSG 한국시리즈 2차전)
다음 타자는 이용규다. 윌머 폰트는 계속 대포알을 쏘고 있다. 3구째. 151㎞가 안쪽으로 향한다. 움찔하는 타석의 움직임은 소용없다. 냉정한 스트라이크 콜이 들린다. 타자의 표정이 일그러진다.
이 장면에서 이순철 위원(SBS)의 해설이다. “이.렇.게. 되.면. 키움 타자들이 공략하기 어려워질 수도 있어요. 폰트 선수의 높은 볼은 때리기도 힘들 뿐만 아니라, 골라내기도 힘들어요. 폰트 선수는 구심이 이 코스를 잡아준다고 하면, 계속 활용할 필요가 있는 것이죠. 그러다 보면 또 타자들이 더 높은 것에 끌려 나갈 수도 있거든요.”
이윽고 문제의 5구째다. 첫 변화구(120㎞ㆍ커브)가 곡선을 그린다. 배트가 나가려다 멈춘다. 역시 움찔하며 뒤로 피하는 동작이다. 하지만 등 뒤의 판정은 다르다. 단호한 스트라이크 콜다. 루킹 삼진이다.
순간, PO 2차전 MVP가 몹시 불만스러운 내색이다. 입모양은 얼핏 식빵을 굽는 것 같다. 깊은 한숨도 따라 나온다. 애써 눈길은 (구심과) 마주치지 않는다. 그러나 계속 타석에서 버틴다. 무언의 시위인 셈이다. 1초, 2초, 3초…. 그 자리에서 13초를 머무른다. 정우영 캐스터가 한마디 거든다. “이용규 선수의 표정에는 억울함이 가득합니다.”
어쩌면 이 대목인 지 모른다. 폰트는 언터처블이 됐다. 이순철 위원의 “이.렇.게. 되.면.”이라는 전제 말이다. 다시 말하면 ‘저 높이가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으면’이라는 뜻이다. 그럼 공략이 어려울 것이라는 예상이다. 그리고 이 말은 사실이 됐다.
폰트+이재원의 전략은 효과적이었다. 핵심은 하이 패스트볼이다. 충분한 휴식을 거친 150㎞짜리는 경쟁력이 넘쳤다. 게다가 구심의 콜까지 얻어내며 난공불락이 됐다. 물론 포인트를 공략하는 능력 덕분에 가능한 일이다.
하이 패스트볼의 반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메이저리그에서 일고 있는 이 개념은 역설로부터 비롯된다. ‘높은 공은 위험하다’는 통념을 뒤집은 이론이다. 낮은 존에 익숙해진 타자들을 반대로 공략한다. 뜬공 혁명을 진압하는 유효한 접근법으로 각광받는다. 탬파베이 레이스에서 시작됐다는 게 정설이다. 폰트가 1년반(2018~19) 동안 몸 담았던 곳이다.
한 가지 질문이 남는다. 그럼 이용규의 불만(또는 억울함)은 어떻게 할 것인가. 구심(전일수)의 일관성을 체크해 보자. 중계화면에 나타난 그래픽이다. ⑤번 투구와 그 뒤에 숨은 ③번 투구는 거의 같은 높이다. 존에 걸친 부분이 존재한다. 둘 다 같은 판정이라면 논리적으로 문제될 건 없다.
상대방에게도 마찬가지였나. 형평성 문제다. 초반 투구 중 표본은 많지 않다. 하지만 비슷한 높이가 있었다. 1회 말 최지훈의 타석 때다. ④번 투구가 얼추 같은 높이다. 타일러 애플러 역시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았다.
다른 면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다. 타자의 캐릭터다. 판정 비판에 앞장선 전력을 가졌다. 2년 전 심판 5명이 2군으로 강등된 사건에도 영향을 끼쳤다. 당시 방송 인터뷰에서 ‘선수들 입장도 생각해서 신중하게 봐 달라’며 대변자 역할을 자처했다.
이날의 13초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젊은 선수들이 많은 키움의 팀 구성이다. 전력 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베테랑 누군가가 맞서야 한다는 의도일 지 모른다. 그가 밝힌 시리즈에 임하는 자세, 평소 행동으로 볼 때 말이다.
칼럼니스트 일간스포츠 前 야구팀장 / goorada@osen.co.kr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