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고약한 냄새, 그들의 취향/식물세밀화가
5년 전 한 식물연구기관으로부터 약용식물 중 한 종인 약모밀을 그려 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모종부터 재배해 직접 생장 과정을 관찰하며 그려야 했기에 연구자에게 약모밀 생체를 택배로 받았다. 그리고 그 상자를 열자마자 강력한 생선 비린내에 놀라고 말았다. 약모밀의 또 다른 이름 어성초는 생선 비린내가 나는 식물이란 뜻이다.
식물을 그림으로 기록하며 나는 수없이 다양한 식물 냄새를 맡아 왔다. 장미의 진득한 꽃 향, 편백나무 숲의 시원한 향, 부추속 식물에게서 풍겨 오는 알싸하고 매운 향기. 그중에서도 특히 5월 제주도 공기에서 나는 달콤한 귤꽃 향과 겨울 잣나무 숲의 상쾌한 바늘잎 향을 좋아한다. 지금 이맘때 계수나무에서 전해 오는 달콤한 캐러멜 향도 빼놓을 수 없다. 식물의 향은 종만큼 다채롭고 같은 종의 식물일지라도 잎과 꽃, 열매, 뿌리에서 나는 향이 모두 다르다. 애초에 향을 이용하는 허브식물을 기록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내 손에서는 허브 향이 떠날 새가 없었다.
내가 식물 냄새를 유난하게 여기게 된 것은 식물의 고약한 냄새를 맡게 된 순간부터였다. 식물을 공부하기 전까지 나는 줄곧 이들에게 향기로운 향만 날 것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향기롭다는 말에는 개인적인 취향이 함축돼 있긴 하지만 그 누가 맡아도 고약하다고 여길 만큼 악취가 나는 식물도 있다는 것을 그림을 그리며 알게 됐다.
약모밀도 그랬다. 정원에서 약모밀을 자주 봐 왔지만 늘 실외 공기에 증발하는 냄새를 맡았기 때문에 향의 강도가 이 정도일 줄은 몰랐던 것이다. 물론 나는 냄새에 곧장 익숙해졌고 약모밀을 다 그려 완성할 때 즈음엔 더이상 약모밀에서 악취가 난다고 느끼지 않게 됐다.
식물에서 냄새가 나는 것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때문이다. 휘발성 물질은 공기 중에 흩어지고 증발해 수분 매개자를 끌어들이고, 해가 되는 동물을 내쫓기도 한다. 식물은 동물과 냄새로 의사소통을 하는 셈이다.
우리 인간에게 향기롭지 않은 냄새일지라도 어떤 동물에게는 흥미롭거나 유혹적으로 느껴질 수 있다. 잎에서 생선 비린내가 나는 약모밀과 쾨쾨한 냄새가 나는 누린내풀, 누리장나무의 향기 또한 각자의 수분 매개동물에게 최적화됐다.
타이탄 아룸, 일명 시체꽃이란 별명을 가진 식물은 지구에서 가장 지독한 향이 난다고 알려져 있다. 나는 영국 큐가든의 온실에서 이 식물의 냄새를 맡은 적이 있다. 온실 안에서 이미 온갖 식물 향이 혼합된 냄새가 나서 그런지 타이탄 아룸에게서는 기대만큼 지독한 냄새가 나지 않았다. 동남아 수마트라섬의 열대우림이 고향인 이들의 수분 매개자는 죽은 생물에 알을 낳는 파리와 딱정벌레다. 여름철 음식 쓰레기가 파리를 꼬이게 하듯 타이탄 아룸은 썩은 시체 냄새를 좋아하는 수분 매개자를 끌어당긴다.
남아프리카에서 자생하는 다육식물 히드노라 아프리카나는 수분 매개자 쇠똥구리가 좋아하는 강한 똥 냄새를 풍긴다. 쇠똥구리 취향에 맞춤형인 냄새를 가진 셈이다.
우리가 아무리 이 식물들이 내뿜는 고약한 쓰레기 냄새와 똥 냄새와 시체 썩은 냄새를 싫어한다고 할지라도, 식물은 우리 인간의 취향엔 관심 없다. 인간은 식물의 수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그저 쓸모없는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는 늘 식물의 향기를 쫓아왔다. 장미의 역사는 향의 역사와 운명을 같이한다. 1953년 연구자들은 장미 향의 원인을 연구했고, 장미로부터 20개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발견했다. 그리고 50여년이 흐른 2006년에는 400개의 화합물질에 의해 우리가 좋아하는 향기로운 장미 향이 나온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
가끔 나는 인간의 감각과 취향이란 참 가볍고 부질없다는 생각을 한다. 아무리 고약한 향일지라도 이것이 우리의 건강에 이롭다는 것을 알게 되면 향을 미화하고 좋아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탈모 예방 효과를 기대하며 비릿한 냄새를 참고 약모밀을 머리에 바르고, 몸에만 좋다면 쓰디쓴 약재 냄새를 향긋하다며 흡입하듯이 말이다.
이렇듯 감각이 의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라면 초가을 도로변에서 나는 은행나무의 열매 냄새 또한 수용하고 넘어갈 수 있는 일 아닐까. 나무에서 열매를 터는 기계를 개발하고, 천막을 씌워 열매가 땅에 떨어지지 않도록 해 길에서 은행나무 열매 냄새가 안 나게 하는 것이 식물과 인간의 공존은 아니다. 궁극적인 해결 방법은 우리가 식물이 가진 고약한 냄새를 수용하는 것밖에 없다. 지구의 자연현상을 부정하는 생물은 인간뿐이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인이 교사인데…여교사와 불륜 후 육아휴직 쓴 남교사
- 이태원 참사 목격 김C “왜 경찰 없지? 생각”…실제 그랬다
- “지진 전조 현상인가”…부산 도심 바퀴벌레떼, 알고보니
- 박병화 “한 달 외출 안 할 것”… 주변 원룸 “방 빼달라” 엑소더스 조짐
- 사람 구하는 BJ에 “그만 올려” 소리친 男 반전…“직전까지 구조 도왔다”
- “냉동만두서 목장갑 나왔다…본사 전화하니 진상 취급”
- 먹을 땐 ‘벗고’ 계산할 땐 ‘쓰는’ 마스크 의무 언제까지
- 도로변서 짐 내리던 60대女, 뒤 차량에 치여 사망
- 인도 ‘낡은 다리’에 500여명 몰렸다가… 130명 추락 사망
- “모스크바 거리에 여자만 있다”…동원령 후 ‘또’ 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