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시행 중 골절 가능성 낮아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2022. 11. 3. 03:03
심폐소생술 제대로 하려면, 구조-자동심장충격기 요청이 먼저
비정상적 호흡-맥박 확인 후 시행
깍지 낀 손으로 체중 실어 눌러야
인공호흡은 30회 압박 중 2회 실시
비정상적 호흡-맥박 확인 후 시행
깍지 낀 손으로 체중 실어 눌러야
인공호흡은 30회 압박 중 2회 실시
“하나, 둘, 셋, 넷, 다섯. 1초에 두 번씩 있는 힘껏 눌러야 합니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중앙응급의료센터. 윤순영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본보 기자의 심폐소생술(CPR) 방식을 하나씩 지적했다. 기자가 교육용 마네킹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지만 힘이 부족했는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생각보다 더 압박해야 했고, 생각보다 깊게 눌러야 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때 시민들이 앞장서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장면을 많은 사람들이 봤다. 실제로 누군가 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잃었을 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응급조치가 심폐소생술이다. 하지만 심폐소생술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윤 전문의를 만나 심폐소생술에 대해 제대로 알아봤다.
―심폐소생술은 언제 하면 되나.
“일반적으로 쓰러져 의식이 없는 사람을 보면 무조건 심폐소생술만 생각한다. 하지만 쓰러진 사람을 발견하면 먼저 현장이 안전한지 확인한 뒤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두드리면서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보며 깨워야 한다. 그래도 반응이 없다면 119에 신고하고 자동심장충격기를 요청해야 한다. 그 후에 호흡을 확인한다. 호흡이 정상적이면 119 구급대를 기다리면서 환자를 관찰하면 된다. 만약 호흡이 비정상적이거나 없다면 그때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쓰러진 사람의 맥박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생각보다 깊게 눌러야 하던데….
“가슴 압박은 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속도로 시행한다. 팔꿈치를 펴서 수직 방향으로 체중을 이용해 압박해야 힘이 덜 들어가고 오래 할 수 있다. 가슴 압박의 위치는 가슴 정중앙이다. 잘 모르면 양쪽 젖꼭지를 연결했을 때 중앙 부위의 살짝 아래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할 때 한 손은 손바닥 아랫부분을 가슴 중앙에 올려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올려서 겹친 뒤 깍지를 끼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하면 가슴뼈가 부러진다는데 해도 괜찮나.
“심폐소생술 시행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가 그거다. 소생 후 혹시라도 골절 같은 합병증이 생겨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로는 의식을 잃었지만 심장 정지 상태가 아닌 환자에게 가슴 압박을 시행하면 통증(전체 환자의 8.7%)이나 늑골 및 쇄골 골절(1.7%)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장기 손상과 같은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심장 정지 상태가 아닌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더라도 손상을 입힐 위험성이 작다. 여기에 설령 상대방이 다치더라도 착한 의도로 한 것이라면 ‘선한 사마리아인법’으로 알려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에 의거해 구조자가 보호받을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인공호흡도 함께 해야 하나.
“일반 시민들은 인공호흡에 부담감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기도 한다. 인공호흡을 제공할 의사가 없을 때는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만 해도 된다. 하지만 심장 정지의 원인이 질식인 경우에는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만 장시간 하면 동맥 내 산소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인공호흡을 병행한 심폐소생술에 비해 그 효과가 떨어진다. 물에 빠졌거나 질식한 경우, 심정지 상태가 오래 지속된 경우 등에는 인공호흡도 하는 게 좋다.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을 30 대 2, 즉 30회 가슴을 압박하고 2번 정도 인공호흡을 하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하다 보면 지치게 된다. 언제까지 해야 하나.
“환자가 회복했다면 당연히 심폐소생술을 중단하면 된다. 심정지 상태가 계속된다면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구조자가 지치거나 위험한 상황에 빠진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중단할 수 있다.”
―자동심장충격기(AED)가 근처에 있으면 굳이 심폐소생술을 할 필요가 없나.
“자동심장충격기가 근처에 있는 경우라도 심정지가 의심되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19 신고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제세동기를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세동이 1분 지연될 때마다 제세동 성공 가능성이 7∼10% 감소한다.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빠른 제세동이 필요하다.”
1일 오후 서울 중구 중앙응급의료센터. 윤순영 응급의학과 전문의가 본보 기자의 심폐소생술(CPR) 방식을 하나씩 지적했다. 기자가 교육용 마네킹에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지만 힘이 부족했는지 제대로 되지 않았다. 생각보다 더 압박해야 했고, 생각보다 깊게 눌러야 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때 시민들이 앞장서서 심폐소생술을 하는 장면을 많은 사람들이 봤다. 실제로 누군가 갑자기 쓰러져 의식을 잃었을 때 가장 먼저 할 수 있는 응급조치가 심폐소생술이다. 하지만 심폐소생술을 어떻게 하면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적지 않다. 윤 전문의를 만나 심폐소생술에 대해 제대로 알아봤다.
―심폐소생술은 언제 하면 되나.
“일반적으로 쓰러져 의식이 없는 사람을 보면 무조건 심폐소생술만 생각한다. 하지만 쓰러진 사람을 발견하면 먼저 현장이 안전한지 확인한 뒤 환자에게 다가가 어깨를 두드리면서 ‘괜찮으세요?’라고 물어보며 깨워야 한다. 그래도 반응이 없다면 119에 신고하고 자동심장충격기를 요청해야 한다. 그 후에 호흡을 확인한다. 호흡이 정상적이면 119 구급대를 기다리면서 환자를 관찰하면 된다. 만약 호흡이 비정상적이거나 없다면 그때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을 시행한다. 쓰러진 사람의 맥박을 확인하지 않고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생각보다 깊게 눌러야 하던데….
“가슴 압박은 5cm 깊이로, 분당 100∼120회 속도로 시행한다. 팔꿈치를 펴서 수직 방향으로 체중을 이용해 압박해야 힘이 덜 들어가고 오래 할 수 있다. 가슴 압박의 위치는 가슴 정중앙이다. 잘 모르면 양쪽 젖꼭지를 연결했을 때 중앙 부위의 살짝 아래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할 때 한 손은 손바닥 아랫부분을 가슴 중앙에 올려놓고, 그 위에 다른 손을 올려서 겹친 뒤 깍지를 끼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하면 가슴뼈가 부러진다는데 해도 괜찮나.
“심폐소생술 시행을 꺼리는 이유 중 하나가 그거다. 소생 후 혹시라도 골절 같은 합병증이 생겨서 문제가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이다. 현재까지 보고된 바로는 의식을 잃었지만 심장 정지 상태가 아닌 환자에게 가슴 압박을 시행하면 통증(전체 환자의 8.7%)이나 늑골 및 쇄골 골절(1.7%)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장기 손상과 같은 중대한 합병증을 초래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 시민들이 심장 정지 상태가 아닌 사람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더라도 손상을 입힐 위험성이 작다. 여기에 설령 상대방이 다치더라도 착한 의도로 한 것이라면 ‘선한 사마리아인법’으로 알려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 2항에 의거해 구조자가 보호받을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인공호흡도 함께 해야 하나.
“일반 시민들은 인공호흡에 부담감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 이유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기도 한다. 인공호흡을 제공할 의사가 없을 때는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만 해도 된다. 하지만 심장 정지의 원인이 질식인 경우에는 가슴 압박 심폐소생술만 장시간 하면 동맥 내 산소량이 감소한다. 이 때문에 인공호흡을 병행한 심폐소생술에 비해 그 효과가 떨어진다. 물에 빠졌거나 질식한 경우, 심정지 상태가 오래 지속된 경우 등에는 인공호흡도 하는 게 좋다. 가슴 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을 30 대 2, 즉 30회 가슴을 압박하고 2번 정도 인공호흡을 하면 된다.”
―심폐소생술을 하다 보면 지치게 된다. 언제까지 해야 하나.
“환자가 회복했다면 당연히 심폐소생술을 중단하면 된다. 심정지 상태가 계속된다면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심폐소생술을 해야 한다. 구조자가 지치거나 위험한 상황에 빠진 경우에는 심폐소생술을 중단할 수 있다.”
―자동심장충격기(AED)가 근처에 있으면 굳이 심폐소생술을 할 필요가 없나.
“자동심장충격기가 근처에 있는 경우라도 심정지가 의심되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119 신고다. 그리고 심폐소생술을 하면서 제세동기를 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세동이 1분 지연될 때마다 제세동 성공 가능성이 7∼10% 감소한다.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선 빠른 제세동이 필요하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NLL 넘은 北 미사일…10시간동안 25발 ‘소나기 도발’
- 美백악관 “北, 러시아에 무기 지원…중동·북아프리카行 위장”
- “정말 죄송합니다” 김건희 여사, ‘이태원 참사’ 빈소 조문
- 경찰청장, ‘이태원 참사’ 대통령보다 늦게 인지…보고 체계 안 지켜졌다
- 김만배 “영학이, 이재명님 靑 가면”…법정서 녹취록 공개
- 여행지서 찍은 사진이 영정사진으로…전국 곳곳서 눈물의 발인
- [단독]경찰, 보름전 축제땐 안전펜스-교통통제…핼러윈땐 경비 담당부서 뺐다
- 경찰 부실대응에 커지는 정부 책임론…대통령실 “감찰·수사상황 지켜볼 것”
- 시민단체 “5일 이태원 참사 추모 촛불집회”…서울시 “신청 기간 지나”
- 日언론 “尹·기시다, 이달 중순 한일 정상회담 조율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