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이태원 참사영상’에 트라우마 호소하는데… 초중고 안전교육, SNS 대처법은 없다
조유라 기자 2022. 11. 3.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 친구가 '단톡방'에 올린 이태원 참사 영상을 보고선 잠을 못 잤어요." 서울 성동구에 사는 신모 양(16)은 지난달 29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가 발생한 당일 반 친구들이 모인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참사 당시 영상을 접했다.
2일 일선 학교와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이후 불안, 분노, 이유 없는 울음, 불면, 두통 등을 겪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태원 참사 부상 학생에게 1인당 최대 400만 원의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톡방 등에서 참사영상-사진 공유
불안-불면-두통 등 겪는 학생 증가
부적절한 영상 공유 자제-대처법 등
종합적 SNS 활용교육 필요성 제기
불안-불면-두통 등 겪는 학생 증가
부적절한 영상 공유 자제-대처법 등
종합적 SNS 활용교육 필요성 제기
“반 친구가 ‘단톡방’에 올린 이태원 참사 영상을 보고선 잠을 못 잤어요.”
서울 성동구에 사는 신모 양(16)은 지난달 29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가 발생한 당일 반 친구들이 모인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참사 당시 영상을 접했다. 신 양은 “아무것도 모르고 친구가 보낸 링크를 눌렀는데 영상이 나왔다”며 “일상생활을 하다가도 그 생각이 나서 심장이 두근거린다”고 말했다.
2일 일선 학교와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이후 불안, 분노, 이유 없는 울음, 불면, 두통 등을 겪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신 양처럼 단톡방이나 커뮤니티 등을 통해 참사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했기 때문이다.
희생자에게 2차 가해를 하는 게시물에도 무분별하게 노출되고 있다. 경기 수원시에 사는 A 군(15)은 “친구들에게 참사 소식을 빨리 알려주려다 소셜미디어 계정에 희생자 사진을 올렸다”며 “당시엔 잘못된 일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는 사이버 안전교육에서는 부적절한 영상 공유나 이후 대처법 등 학생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과 관련된 ‘디지털 안전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교육 내용이 급변하는 디지털 이용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초중고 안전교육에 활용되는 ‘7대 안전교육 표준안’ 중 ‘약물·사이버’ 분야는 주로 게임 중독, 음란물 관련 교육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엔 SNS의 유해성, 올바른 사용법 등을 다루는 내용이 없다. 7대 표준안 중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분야 역시 SNS를 이용한 학교폭력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 학교폭력으로 분류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기엔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이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SNS 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정웅열 경기 백신중 교사(한국정보교사연합회장)는 “디지털 정보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특히 자신이 올린 정보가 잘못됐다면 책임지고 삭제하는 자세를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수환 총신대 기독교교육과 교수(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는 “SNS를 통해 비윤리적인 사진, 영상, 글 등을 전달하면 안 된다는 점을 먼저 가르쳐야 하고, 정보를 접할 때에도 공신력이 있는 기관이 출처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과 더불어 트라우마에 대응할 수 있는 상담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에 따르면 4월 기준 공립 초중고교의 상담 인력 배치율은 67.2%였다. 이는 정규·순회 상담교사, 전문 상담사를 모두 포함한 수치로, 학교 10곳 중 3곳은 전문 상담인력이 아예 없다는 의미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이태원 참사로 인한 학생 부상자가 5명에서 7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추가 부상 학생은 초등학생 1명과 고교생 1명으로 모두 서울지역 학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이태원 참사 부상 학생에게 1인당 최대 400만 원의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사망자가 나온 5개 학교 학생은 심리상담비 및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를 최대 200만 원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 성동구에 사는 신모 양(16)은 지난달 29일 이태원 핼러윈 참사가 발생한 당일 반 친구들이 모인 카카오톡 채팅방에서 참사 당시 영상을 접했다. 신 양은 “아무것도 모르고 친구가 보낸 링크를 눌렀는데 영상이 나왔다”며 “일상생활을 하다가도 그 생각이 나서 심장이 두근거린다”고 말했다.
2일 일선 학교와 서울시교육청에 따르면 이태원 참사 이후 불안, 분노, 이유 없는 울음, 불면, 두통 등을 겪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신 양처럼 단톡방이나 커뮤니티 등을 통해 참사 현장을 생생하게 목격했기 때문이다.
희생자에게 2차 가해를 하는 게시물에도 무분별하게 노출되고 있다. 경기 수원시에 사는 A 군(15)은 “친구들에게 참사 소식을 빨리 알려주려다 소셜미디어 계정에 희생자 사진을 올렸다”며 “당시엔 잘못된 일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현재 학교에서 실시하는 사이버 안전교육에서는 부적절한 영상 공유나 이후 대처법 등 학생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이용과 관련된 ‘디지털 안전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교육 내용이 급변하는 디지털 이용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초중고 안전교육에 활용되는 ‘7대 안전교육 표준안’ 중 ‘약물·사이버’ 분야는 주로 게임 중독, 음란물 관련 교육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엔 SNS의 유해성, 올바른 사용법 등을 다루는 내용이 없다. 7대 표준안 중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 분야 역시 SNS를 이용한 학교폭력 예방에 초점이 맞춰져 학교폭력으로 분류할 수 없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기엔 부족하다.
전문가들은 이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SNS 교육이 필요하다고 진단한다. 정웅열 경기 백신중 교사(한국정보교사연합회장)는 “디지털 정보를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능력, 특히 자신이 올린 정보가 잘못됐다면 책임지고 삭제하는 자세를 가르쳐야 한다”고 말했다. 김수환 총신대 기독교교육과 교수(한국컴퓨터교육학회 부회장)는 “SNS를 통해 비윤리적인 사진, 영상, 글 등을 전달하면 안 된다는 점을 먼저 가르쳐야 하고, 정보를 접할 때에도 공신력이 있는 기관이 출처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과 더불어 트라우마에 대응할 수 있는 상담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교육부에 따르면 4월 기준 공립 초중고교의 상담 인력 배치율은 67.2%였다. 이는 정규·순회 상담교사, 전문 상담사를 모두 포함한 수치로, 학교 10곳 중 3곳은 전문 상담인력이 아예 없다는 의미다.
한편 교육부는 이날 이태원 참사로 인한 학생 부상자가 5명에서 7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추가 부상 학생은 초등학생 1명과 고교생 1명으로 모두 서울지역 학생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이태원 참사 부상 학생에게 1인당 최대 400만 원의 치료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사망자가 나온 5개 학교 학생은 심리상담비 및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비를 최대 200만 원 지원받을 수 있다.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NLL 넘은 北 미사일…10시간동안 25발 ‘소나기 도발’
- 美백악관 “北, 러시아에 무기 지원…중동·북아프리카行 위장”
- “정말 죄송합니다” 김건희 여사, ‘이태원 참사’ 빈소 조문
- 경찰청장, ‘이태원 참사’ 대통령보다 늦게 인지…보고 체계 안 지켜졌다
- 김만배 “영학이, 이재명님 靑 가면”…법정서 녹취록 공개
- 여행지서 찍은 사진이 영정사진으로…전국 곳곳서 눈물의 발인
- [단독]경찰, 보름전 축제땐 안전펜스-교통통제…핼러윈땐 경비 담당부서 뺐다
- 경찰 부실대응에 커지는 정부 책임론…대통령실 “감찰·수사상황 지켜볼 것”
- 시민단체 “5일 이태원 참사 추모 촛불집회”…서울시 “신청 기간 지나”
- 日언론 “尹·기시다, 이달 중순 한일 정상회담 조율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