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주민대피시설 건립시급…사상 첫 공습경보발령에 주민대피 할곳 없어 우왕좌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독도의 모섬인 경북 울릉군에 정부 차원의 대피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일 오전 8시 51분 북한 탄도 미사일이 울릉도 방향으로 발사 된후 8시55분 공습경보가 울릉도 전역에 사상처음 발령 됐지만 방호시설이 가능한 주민대피시설이 없어 주민 혼란이 발생 했기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울릉)=김성권 기자]독도의 모섬인 경북 울릉군에 정부 차원의 대피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2일 오전 8시 51분 북한 탄도 미사일이 울릉도 방향으로 발사 된후 8시55분 공습경보가 울릉도 전역에 사상처음 발령 됐지만 방호시설이 가능한 주민대피시설이 없어 주민 혼란이 발생 했기때문이다.
실제로 현지 주민들은 군 전역에 울린 공습경보 사이렌 소리와 문자로 알려온 대피령에 안전한 곳을 찾지 못한 채 안절부절하며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만 했다.
주민 A씨(54.울릉읍 저동)는 “주변 지하 대피시설로 대피하라는 안내 문자에 포탄이 머리위에서 떨어지는 듯한 긴박한 상황에서 대피시설이 없어 어디로 피해야 할지 몰라 다리가 떨려 담벼락에 한참을 기대있었다”며 당시 긴박한 상황을 설명했다.
울릉군 사회단체 한 관계자는“ 울릉도는 동해 유일의 섬으로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와 같이 위험성이 존재하며 독도 침탈을 위한 일본의 야욕 등 서해 5도와 동일한 동북아 지역의 화약고로 군민과 관광객 안보 차원에서 대피시설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에 울릉군도 향후 동일한 상황 발생 시 예방을 위한 정부 차원의 대피 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국회와 정부에 건의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한권 울릉군수는 “북한과 일본의 영유권 도발과 해양 접경지역인 동해 유일의 섬 울릉도 지역의 안전을 위해 국가 안보차원에서 마을별 주민대피시설 건립 지원을 건의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울릉도 실정에 걸맞는 대형 대피시설은 도동, 저동, 태하지역 3곳에 약3000여명이 수용할 수 있는 5,000㎡(1,500평) 정도 규모와 독도를 제외한 24개동에 120여명이 수용할수 있는 165㎡(50평정) 정도 규모의 소형 대피시설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본 사업이 추진될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릉도 지역에 2일 내려졌던 경계경보가 오후10시를 기해 해제됐다.
합동참모본부는 경보 해제 사실을 알리며 "우리 군은 현재 북한군 활동에 대해 면밀히 추적 감시하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군사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북한이 동해상 북방한계선(NLL) 이남 울릉도 방향으로 향하는 탄도미사일을 쏘면서 울릉도 지역에는 오전 8시55분께 공습경보가 내려졌다.
군은 위협 평가를 거쳐 오후 2시께 공습경보보다 낮은 단계인 경계경보로 하향 조정했고 8시간 지나 경계경보도 해제했다.
공습경보는 적의 공격이 긴박하거나 실시되고 있을 때, 경계경보는 적의 공격이 예상될 때 발령한다.
ksg@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주시, '시민이 감동하는 소통과 섬김 행정' 실현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2016 한국원자력연차대회' 개최
-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2016학년도 입학식' 개최
- 구미시 산후조리원 종사자 결핵예방사업 확대 추진
- 포스코, '2016년 포스코청암상' 수상자 선정
- '나는 솔로' 정숙 '성매매·절도 의혹' 결국…사상 초유의 일 벌어졌다
- '성유리 남편' 안성현, 징역 7년 구형…성유리 "억울하고 힘든 일"
- “툭하면 담배 물고” 수지 연기 너무하다 했더니…결국 터진 OTT 논란
- “결혼해도 '물장사' 할 거냐?” 남친 엄마 말에 5년 열애 ‘바싹’
- ‘이혼’ 김민재, 재산분할만 최소 80억 이상?…양육비는 별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