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국민이 없으면 국가도 없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국희 기자(re995@naver.com)]젊음의 열정과 웃음으로 넘쳐나던 이태원 거리에 추모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이태원 뿐아니라 고인들을 애도하는 마음은 전국으로 퍼져 곳곳에 합동분향소가 차려졌다.
국가가 먼저, 고통과 비탄에 잠긴 국민을 위해 걱정어린 따뜻한 말로 위로해주면 어땠을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국희 기자(re995@naver.com)]
젊음의 열정과 웃음으로 넘쳐나던 이태원 거리에 추모의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이태원 뿐아니라 고인들을 애도하는 마음은 전국으로 퍼져 곳곳에 합동분향소가 차려졌다.
현장 분위기를 살펴보고, 무엇보다 추모 분위기에 동참하기 위해 지난 달 31일 경기 안양시청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았다.
마치 기다리기라도 한듯 시민들이 분향소를 찾아 하얀 국화를 올리며 떠나간 젊은 영혼을 위로했다.
안타까움이 가득한 눈으로 한참을 분향소에 머물던 한 시민은 깊은 한숨을 내쉬며 자리를 떠났고 눈물을 훔치는 시민들의 모습도 볼 수 있었다.
분향소 조문을 마친 시민들과 이야기를 나눠볼까 했지만 그만뒀다. 마스크에 가려졌지만 그들의 비통한 마음이 선명하게 보였고, 기자의 공연한 간섭이 이들의 애도하는 마음을 방해할까 싶은 마음이 들었기 때문이다.
지난 29일 서울 한복판 이태원 길거리에서 불과 몇 시간만에 300여 명의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거나 다치는 참사가 일어났다. 하루아침에 생때같은 자식을 하늘나라로 보낸 부모, 그들의 가족, 친구들은 찢긴 가슴을 부여잡고 울부짖었다.
유가족의 외침이 들리지 않은 걸까. 정부와 관할 지자체와 경찰, 모두가 책임을 미루는 듯한 모습을 접하면서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국가가 먼저, 고통과 비탄에 잠긴 국민을 위해 걱정어린 따뜻한 말로 위로해주면 어땠을까.
경찰과 소방 인력 투입은 적정 수준이었다는 장관, 법을 들이밀며 축제가 아닌 '현상'이었다고 말한 관할 지자체장까지…. 할만큼 했다는 듯한 이들의 발언에 유가족뿐 아니라 국민들은 또 한번 상처받을 수 밖에 없었다.
뒤늦은 사과와 유감 표명도 여론에 떼밀려 마지 못해 한 퍼포먼스가 아니길 바랄 뿐이다.
'대한민국 헌법 7조 1항 공무원은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이며 국민에 대하여 책임을 진다'라고 명시돼 있다. 뿐만아니라 '관할'이라는 사전적 의미는 일정한 권한을 가지고 통제하거나 지배함. 또는 그런 지배가 미치는 범위라는 뜻이다.
주무 장관과 관할 지자체장 등은 이런 법과 의미를 알고 있었는지 되묻고 싶다.
국가와 지방정부는 충분히 통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고 현장에선 도와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하지만 수많은 'SOS' 외침은 외면 당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이번 이태원 참사에 대응하는 당국의 행태를 보면서, 진정 도움이 필요한 국민이 손을 내밀 수 있는 곳은 과연 있는걸까 하는 자괴감이 드는 건 왜일까. 국민은 국가에 세금을 내며 국민의 의무를 다하고 있다. 그렇다면 국가도 국민을 위한 의무를 다 해야하는 게 아닐까.
[김국희 기자(re995@naver.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중간선거 직전 바이든 지지율 역대 최저 수준…위기의 민주당
- 북한, 미사일에 포 사격까지…한반도 군사적 긴장 고조
- 유승민, 한덕수 총리 경질 요구 "尹대통령 결단을 촉구한다"
- '딴따라'들은 입 다물어라? "애도 방식의 다양성 존중해야"
- 與 이상민 장관 퇴진론 분출…안철수 "변명의 여지 없다…이상민 자진사퇴해야"
- 정부, 이태원 '참사' 아닌 '사고' 표현 새로운 이유 제시 "상권 보호하려고"
- 북한 미사일 1발에 軍 3발로 대응...남북 군사적 충돌 현실화되나
- '브라질의 트럼프', 대선 패배 권력 이양 승인해놓고 선거 불복 시위 독려
- 경찰 정보국 문건 파문…"경찰, 시민사회 '이태원' 동향 완전 날조"
- 오세훈 재임하면서 서울시 안전 예산 6.2% 삭감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