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폐지 사전 징후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주식발행 잦은 기업 주의
국내 주식시장에서 상장폐지되는 기업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상장폐지된 기업들은 상장폐지 전까지 ‘관리종목’이나 ‘실질심사대상’ 지정 사유가 잇달아 발생하고, 대규모 순손실을 모면하기 위해 유상증자 등으로 빈번한 자금조달을 하는 경향을 보였다.
2일 금융감독원은 2017년 이후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폐지된 75개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특징을 분석해 발표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상장폐지된 기업은 2017년 12곳, 2018년 15곳, 2019년 4곳, 2020년 15곳, 2021년 20곳으로 전체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6월까지는 9곳의 기업이 상장폐지됐다.
상장폐지된 기업들은 상장폐지 전까지 영업손실 지속 등 ‘관리종목’ 지정 사유나 횡령·배임 혐의 등 ‘실질심사대상’ 지정 사유가 연쇄·복합적으로 발생했고, 관련 사유 최초 발생 후 3년 이내에 상장폐지에 이르는 경향을 보였다.
재무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상장폐지된 기업들은 상장폐지 직전에 대규모 당기순손실이 확대돼 자본잠식이 심화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를 모면하기 위해 유상증자와 전환사채(CB) 발행 등 대규모 자본 확충을 시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금감원에 따르면 상장폐지 5년 전부터 1년전까지 75개 상장폐지 기업의 주식 관련 사채 및 주식 발행 건수는 연평균 2.05건 수준이었다. 상장 폐지 기업을 제외한 상 2229사의 주식 관련 사채 및 주식 발행 건수가 2021년 기준 0.47건이었던 것에 비해 건수가 많았다.
자금조달 방식은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가 없는 사모 또는 소액 공모 방식이 많았다.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가 있는 공모 방식의 발행을 하는 경우는 적었다. 상장폐지된 75개 기업의 자본조달 방식을 보면 772건 중 사모가 620건, 소액공모가 100건을 차지했으며 공모는 52건에 불과했다.
다만, 상장폐지 연도에 근접할수록 증권 발행을 시도하다 발행이 무산·불발된 사례가 증가했다. 증권 발행이 무산·불발된 사례는 상장폐지 5년 전에는 9건(7개사)에서 상장폐지 1년 전에는 35건(18개사)로 증가했다.
비재무적으로는 최대주주 변경이나 내부통제 부실 등에 따른 불성실공시가 빈번하게 증가하는 특징이 나타났다. 상장폐지기업의 최대 주주 변경 공시 건수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발생 건수는 상장기업과 비교해 각각 5.4배, 9.2배 많았다.
금감원은 “투자자들의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증가했지만, 최근 고금리 등 영향으로 상장기업들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현명한 투자 판단이 요구된다”며 “상장기업이 금감원과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공시한 사항을 자세히 살펴봐야 한다”고 투자자들에게 조언했다.
박채영 기자 c0c0@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공군 대령, ‘딸뻘’ 소위 강간미수···“유혹당했다” 2차 가해
- 김재섭, 윤석열-명태균 통화에 “부끄럽고 참담···대통령실 해명 누가 믿냐”
- [스경X이슈] ‘나는 솔로’ 23기 정숙, 하다하다 범죄전과자까지 출연…검증 하긴 하나?
- 친윤 강명구 “윤 대통령, 박절하지 못한 분···사적 얘기”
- 70대 아버지 살해한 30대 아들, 경찰에 자수…“어머니 괴롭혀와서” 진술
- [한국갤럽]윤 대통령 지지율 19%…20%대 첫 붕괴
- [단독] ‘김건희 일가 특혜 의혹’ 일었던 양평고속도로 용역 업체도 관급 공사 수주↑
- 김용민 “임기 단축 개헌하면 내년 5월 끝···탄핵보다 더 빨라”
- 미 “북한군 8000명 러서 훈련 받아…곧 전투 투입 예상”
- “선수들 생각, 다르지 않았다”···안세영 손 100% 들어준 문체부, 협회엔 김택규 회장 해임 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