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핑크 타이드’에 미국의 ‘베네수엘라 고립 정책’ 무너지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콜롬비아 대통령이 1일(현지시각) 베네수엘라 방문해 정상회담을 했다.
라틴 아메리카에 잇따라 좌파 정부가 잇따르며 '분홍빛 물결'(핑크 타이드)이 넘실대자, 베네수엘라가 오랜 고립을 벗고 국제무대 복귀를 서두르는 기지개를 켜고 있다.
미국의 오랜 맹방인 콜롬비아는 도널트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베네수엘라의 대선을 부정선거라고 규정하고 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의 후계자인 마두로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자, 그 뜻을 이어받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콜롬비아 대통령이 1일(현지시각) 베네수엘라 방문해 정상회담을 했다. 라틴 아메리카에 잇따라 좌파 정부가 잇따르며 ‘분홍빛 물결’(핑크 타이드)이 넘실대자, 베네수엘라가 오랜 고립을 벗고 국제무대 복귀를 서두르는 기지개를 켜고 있다.
구스타보 페트로 콜롬비아 대통령은 이날 베네수엘라의 수도 카라카스에서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을 만났다. <에이피>(AP) 통신은 두 정상이 이날 만남에서 양국 간 교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 관계 정상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고 전했다. 페트로 대통령은 보수우파의 기반이 탄탄한 콜롬비아에서 탄생한 최초의 좌파 대통령이다.
페트로 대통령은 정상회담 뒤 “이웃나라인 두 나라가 소원하게 지내는 것은 자살 행위”’라며 두 나라의 협력을 강조했다. 또 베네수엘라가 2006년 탈퇴한 지역협의체인 ‘안데스 공동체’에 재가입하는 방안과 콜롬비아 정부와 반군 간 대화를 베네수엘라가 지원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도 협의했다고 밝혔다. 마두로 대통령도 성명을 내어 “집중적이고 생산적인 회담이었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두 나라의 ‘밀월’은 올 초만 해도 상상하기 어려웠다. 미국의 오랜 맹방인 콜롬비아는 도널트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18년 베네수엘라의 대선을 부정선거라고 규정하고 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의 후계자인 마두로를 대통령으로 인정하지 않자, 그 뜻을 이어받았다. 미국의 뒤를 따라 베네수엘라 정부와 관계를 끊은 것이다.
변화가 시작된 것은 지난 6월 좌익 게릴라 출신인 페트로 대통령이 당선된 뒤였다. 8월 취임한 페트로 대통령은 전날 정상회담을 앞두고 “두 나라 사이에는 6년간 공백이 있었기 때문에 할 이야기가 많다”고 말했다.
이날 회담은 베네수엘라를 고립시키려는 미국의 정책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흐름은 최근 몇 년 사이 주변 라틴 아메리카 나라에서 좌파 진영이 차례차례 집권하면서 분명해졌다. 2020년엔 볼리비아의 루이스 아르세 정부, 지난해 페루의 페드로 카스티요 정부, 올 초 아르헨티나의 알베르토 페르난데스 정부가 차례로 마두로 정부와 관계 정상화에 나섰다. 특히 지난달 30일 라틴 아메리카 최대국 브라질에서 좌파 정치인인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가 대통령에 당선되며 이 흐름이 더 분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마두로 정부를 둘러싸곤 여전히 인권 탄압과 부정부패 등의 논란이 남아 있다. 2014년 이후 경제난으로 베네수엘라 인구의 거의 4분의 1에 이르는 700만명 이상이 베네수엘라를 떠났다. 이들은 칠레·페루·콜롬비아 등으로 흩어져 해당 국가에서 여러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중이다. 이들이 고향을 등진 것은 미국의 가혹한 경제제재 때문이기도 하지만, 베네수엘라 정부의 부정부패와 정치적 탄압 등의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 베네수엘라의 이런 ‘어두운 면’에 대해선, 가브리엘 보리치 칠레 대통령 등 일부 좌파 진영도 비판적이다.
이번 회담에 대해 베네수엘라의 야당 지도자 후안 과이도는 소셜미디어에 “페트로 대통령이 독재자 마두로를 만나 대통령이라고 부르는 것은 베네수엘라 정부의 인권 탄압과 최악의 이민 위기를 정당화할 수 있는 행위”라고 반발했다. 국제 인권단체 ‘휴먼라이츠’도 베네수엘라에 정치범 240명 이상이 남아 있다며 페트로 대통령이 양국관계 정상화 이전에 구체적인 인권보호 약속을 받아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마지막 등교 잘 마치고 갑니다”…마지막 등교는 울음바다가 됐다
- “밥 한 끼는 먹여야지”…상인 눈물에 시청자도 운 ‘피디수첩’
- [단독] 참사 전날 이태원역 이용객 역대급…“인파 예측 가능”
- ‘참사 희생자’ 아니라 ‘사고 사망자’란 정부…펼침막 담긴 속내는?
- “퇴원하면, 한강에서 라면 먹자” 이태원에서 떠난 16살의 약속
- “지휘부는 아무 일 안 하더니 현장이 책임지라?”…경찰들 허탈
- 공군, NLL 이북 공해상에 미사일 3발 발사 맞대응
- [단독] 질병청 ‘백신 뒤 뇌질환’ 항소 포기…관련성 의심 질환 인정
- NLL 넘어온 북 미사일…동·서해로 10여발 섞어 쐈다
- 미소 띤 한덕수 “사고(Incident)”…외국 기자는 “참사(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