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피 땐 한 줄로, 응급처치는 제대로 숙지…의성안전체험관서 배우는 안전교육
박성민 기자 2022. 11. 2. 14:18
1일 오후 경북 의성군에 위치한 의성안전체험관. 노래방 구조를 재현한 생활안전 체험관에 날카로운 화재 경보음이 울렸다. 7살 유치원생들은 한 줄로 질서를 지키며 좁은 복도를 차례로 빠져나왔다. 조명이 꺼져 앞을 내다보기 힘들었지만 아이들은 한 손은 벽을 짚고, 다른 손으로는 앞 친구의 위치를 확인하며 길이 6m, 폭 1.5m가량의 도를 안전하게 벗어났다. 체험을 마친 박윤슬 양(6)은 “수건을 물에 적시면 연기를 덜 마신다는 것을 실험으로 볼 수 있어 좋았다”며 웃었다.
● 세 방향으로 흔들리는 지진 체험
● 세 방향으로 흔들리는 지진 체험
의성안전체험관은 유초중고 학생들의 안전교육을 위해 경북도교육청이 지난해 1월 설립했다. 의성군뿐 아니라 안동시, 문경시 등 경북 북부지역 학생들이 방문해 반나절 또는 하루 종일 안전교육을 받는다. 방문 학생 수는 지난해 8700여명에 이어 올해는 지난달 말 기준 약 만 명에 이른다. 교통안전, 생활안전, 응급처치 등 5개 분야별로 나눠진 체험관에서 20여개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다.
생활안전 체험관 한 쪽은 가정집을 그대로 옮겨 놨다. 가스레인지, 세탁기, 베란다 등 안전사고 위험이 있는 곳에 QR코드를 붙여 뒀다. 학생들이 지급받은 태블릿PC로 QR코드를 읽으면 각 위치에서 주의해야 할 안전 수칙을 알려준다. 아이들을 인솔한 경북 상주 중앙초 부설유치원 조미진 교사는 “신발을 신지 않고 화장실을 이용하는 아이들이 많은데,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넘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니 아이들도 고개를 끄덕였다”고 말했다.
2016년 경주(규모 5.8), 2017년 포항(규모 5.4)등 최근 지진 피해가 컸던 경북 지역에선 지진 대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체험관은 학생들이 지진의 위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교실처럼 꾸민 세트에서 지진 규모가 3~9였을 때 바닥이 얼마나 흔들리고, 어떻게 대피하는지 배운다. 실제 지진처럼 느낄 수 있도록 상하좌우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까지 세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설계했다.
진동이 약할 때는 놀이기구를 타는 것처럼 즐거워하던 학생들도 흔들림이 커지자 진지하게 몸을 대피했다. 신효원 양(6)은 “지진이 나면 책상 밑으로 들어가 손을 올려 머리를 보호하라고 배웠다”며 “흔들림이 멈추면 다섯까지 센 뒤 넓은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실제 차량 가져다 ‘눈높이 교육’
생활안전 체험관 한 쪽은 가정집을 그대로 옮겨 놨다. 가스레인지, 세탁기, 베란다 등 안전사고 위험이 있는 곳에 QR코드를 붙여 뒀다. 학생들이 지급받은 태블릿PC로 QR코드를 읽으면 각 위치에서 주의해야 할 안전 수칙을 알려준다. 아이들을 인솔한 경북 상주 중앙초 부설유치원 조미진 교사는 “신발을 신지 않고 화장실을 이용하는 아이들이 많은데, 바닥에 물기가 있으면 넘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려주니 아이들도 고개를 끄덕였다”고 말했다.
2016년 경주(규모 5.8), 2017년 포항(규모 5.4)등 최근 지진 피해가 컸던 경북 지역에선 지진 대피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체험관은 학생들이 지진의 위력을 직접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교실처럼 꾸민 세트에서 지진 규모가 3~9였을 때 바닥이 얼마나 흔들리고, 어떻게 대피하는지 배운다. 실제 지진처럼 느낄 수 있도록 상하좌우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까지 세 방향으로 흔들리도록 설계했다.
진동이 약할 때는 놀이기구를 타는 것처럼 즐거워하던 학생들도 흔들림이 커지자 진지하게 몸을 대피했다. 신효원 양(6)은 “지진이 나면 책상 밑으로 들어가 손을 올려 머리를 보호하라고 배웠다”며 “흔들림이 멈추면 다섯까지 센 뒤 넓은 곳으로 대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 실제 차량 가져다 ‘눈높이 교육’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가을엔 교통사고 위험도 커진다. 교통안전 체험관에는 실제 버스, 승용차를 가져다 놓고 다양한 사고 위험을 가르친다. 보행안전 교육에서는 아이들은 직접 화물 트럭 운전석에 앉아 차량 바로 앞에 서 있는 친구들이 보이는지 확인한다. 운전자가 보행자를 발견할 수 없는 사각지대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체험 과정이다. 승용차에 탑승해 360도 회전하는 전복사고 교육도 있다. 아무리 큰 사고가 나더라도 안전벨트를 착용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는 걸 배우는 시간이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후 응급처치 교육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2014년 학교보건법 개정으로 학교에서 응급처치 교육이 의무화됐지만, 심폐소생술(CPR) 등 응급처치법을 제대로 숙지하고 있는 학생은 많지 않다. 올 5월 한국소비자원의 ‘응급처치 교육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등학교 시절 응급처치 교육을 받았던 대학생 중 응급처치 절차와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는 학생은 11.7%에 그쳤다.
체험관에서 강조하는 것도 정확한 CPR 자세와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정확한 속도와 깊이로 가슴을 압박해야 인체 모형의 머리 부분에 불이 들어오도록 장치를 해뒀다. 이동건 의성안전체험관 체험교사는 “CPR 방법이 잘 됐는지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교육 효과가 높다”고 말했다.
● “체험교육 늘려야 사고 대응 가능”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정부는 학교 안전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현재 학교에서 활용되는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군중 밀집 사고 대처 요령도 추가할 방침이다. 현행 표준안에는 이번 사고처럼 주최측이나 안전요원이 없는 야외 사고 대처 요령이 빠져 있다. 민병도 의성안전체험관장은 “화재 대피 훈련 등 생활재난 프로그램에 밀집 지역 안전수칙을 더 보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체험시설 안전교육을 더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수업시간에 교사가 일방적으로 전달하거나, 교실에서 진행하는 반쪽 체험만으로는 교육 효과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표준안 개정 작업을 맡고 있는 전북 무주군 부남초중 오준영 교사는 “학교에서 화재 대피 훈련을 하면 설렁설렁 걸어서 나가는 학생들도 있다. 체험 교육을 늘려야 아이들이 실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軍, 전투기로 미사일 맞대응…NLL 이북 공해에 3발 발사
- 한동훈 “검수완박으로 檢 대형참사 직접 수사 못해”
- “생존자들, 소변색 확인해야”…양다리 피멍 본 의사의 당부
- “서울청에 기동대 지원 요청했지만 거절당해” 이태원파출소 직원 주장
- “잘 안 들리는 책임은 누구”…한 총리 외신기자 질문에 말장난 논란
- 北미사일 속초 앞바다로 날아왔다…울릉도 공습경보 발령(종합)
- 임수향, 故이지한 발인서 한참 눈물 흘려…“더 좋은 말 해줄 걸”
- 112 최초 신고자 “웃으며 골목 올라가던 사람들…무서웠다”
- 軍 “분단 이후 처음 NLL 이남 우리 영해 인근에 北미사일…용납 불가”
- 한 총리, 외신 기자회견 말장난 논란에 “경위와 무관하게 사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