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 광산사고 진입로 추가 확보…음향탐지기 투입(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봉화 광산 매몰사고 8일째인 2일 구조 당국이 구출 진입로에 처음으로 도보 진입해 수색에 돌입했다.
이상권 광산업체 부소장은 이날 경북 봉화소방서가 연 언론 브리핑에서 "구출 진입로 1·2구간 145m를 걸어서 통과했다"며 "막힌 것으로 예상한 지점이 오히려 뚫려 있었고, 뚫려 있을 거라고 본 '구조 예정 지역' 주변은 오히려 암석으로 폐쇄돼 뚫는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구조 당국은 갱도 내 진입로 확보에 앞서, 음향 탐지기로 생존 신호를 확인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동장관 "속 타들어가"…중대재해법 적용 여부엔 "지금은 구조 시급"
(봉화·서울=연합뉴스) 김선형 김승욱 기자 = 봉화 광산 매몰사고 8일째인 2일 구조 당국이 구출 진입로에 처음으로 도보 진입해 수색에 돌입했다.
당국은 음향탐지기를 동원해 생존 신호 여부를 확인 중이다.
이상권 광산업체 부소장은 이날 경북 봉화소방서가 연 언론 브리핑에서 "구출 진입로 1·2구간 145m를 걸어서 통과했다"며 "막힌 것으로 예상한 지점이 오히려 뚫려 있었고, 뚫려 있을 거라고 본 '구조 예정 지역' 주변은 오히려 암석으로 폐쇄돼 뚫는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이 부소장은 "구출 진입로 2구간(폭 2.1m, 높이 2.1m, 길이 100m) 곳곳에 암석들이 쌓여 있지만, 사람이 걸어서 진입할 수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그간 평면도 상 폐쇄된 것으로 추정한 '상단 갱도'는 예상과 달리 수평 거리 120m 구간이 뚫려 있어 구조 당국이 걸어서 통과했다.
상단 갱도 내 막힌 지점을 뚫고 나면, 남은 구간 상단 갱도 수평 거리는 20∼25m다.
관통 지점에서부터 고립된 작업자들이 마지막으로 목격된 장소는 직선거리로 30m다.
상단 갱도는 4∼5년 전까지 사용했다고 광산업체 측은 밝혔다.
기존에 대피 예상로로 불려온 '하단 갱도'(폭 4.5m, 높이 4.5m, 길이 150m)에서 막혀 있을 것으로 예상한 구간이 뚫려 있었다.
제2 수직갱도에서부터 하단 갱도 쪽으로 확보한 구출 진입로 수평 거리는 총 165m다.
오히려 '구조 예정 지역' 일대 바로 앞은 암석으로 뒤덮여 있었다.
구조 당국은 갱도 내 진입로 확보에 앞서, 음향 탐지기로 생존 신호를 확인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광해광업공단이 구조 예정 지역 지표면에서 실시한 1·2차 시추 작업은 모두 실패했다.
광해광업공단은 이날 자정까지 천공기 총 12대를 배치해 시추를 계속할 계획이다.
광해광업공단 관계자는 "신속하게 진행하려다가 보니 갱도 내 오차가 5m 정도 있었다"며 "추가 수배한 시추기는 급경사 지점에 배치할 예정인데, 현실적으로 지형 자체가 쉬운 지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봉화 광산 매몰사고는 지난 26일 오후 6시께 경북 봉화 재산면 아연 채굴광산 제1 수직갱도에서 펄(토사) 약 900t(업체 측 추산)이 수직 아래로 쏟아지며 발생했다.
조장 박씨(62)와 보조작업자 박씨(56)가 제1 수갱 지하 190m 지점에서 고립됐다.
업체는 사고 발생 14시간 만에 119에 신고하고, 고립된 작업자 가족에게 사고를 통보해 비난을 받았다.
해당 업체는 지난 8월에도 동일한 수갱 다른 지점에서 붕괴 사고로 사상자 2명을 냈다.
한편 구조 현장에는 2일 오전 9시께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이 장관은 "(윤석열) 대통령님이 걱정의 말씀을 여러 차례 하셨고, 아직 구조되지 못해 저도 속이 타들어 가는 심정"이라며 "관계기관과 협력해 근로자들이 하루라도 빨리 구조될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그는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와 관련해서는 "지금은 구조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대재해처벌법상 중대산업재해는 ▲ 사망자 1명 이상 ▲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 가운데 하나 이상에 해당해야 한다.
고립된 작업자의 상태가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여부 언급은 이르다는 것이 노동부 입장이다.
sunhyu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돌덩이 넣고 피해자 행세까지 했지만…부메랑 된 '시신 유기' | 연합뉴스
- 베트남 여성, 전신 레깅스 입고 경복궁서 요가…SNS서 논란 | 연합뉴스
- '독버섯' 오재원 방치한 결과는 '대리처방' 무더기 전력 누수 | 연합뉴스
- 한밤중 한라산서 4t 무게 자연석 훔치려다 등산로에 떨어뜨려 | 연합뉴스
- 백종원, 통영 해산물 축제 불편에 사과…"교훈 삼겠다" | 연합뉴스
- '프로포폴 상습 투약' 강남 병원장 수사…아내도 중독으로 숨져 | 연합뉴스
- 스스로 넘어진 음주 오토바이에 뺑소니 오인신고 소동(종합) | 연합뉴스
- '병력난' 호주군, 장기복무 결정 시 4천500만원 일시불 보너스 | 연합뉴스
- [삶-특집] "정규직-비정규직 다니는 길 가로등 밝기 마저 차이 있었다"(종합) | 연합뉴스
- 땅속 송유관 드릴로 구멍 내 석유 180L 훔친 일당 최대 징역6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