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시선] 이태원 참사로 본 안전교육 현주소
안전교육 1년에 한두 번… 영상 대체 일쑤
참으로 혼란스럽다. 황망한 사고다. 오래전부터 행해져 온 이태원의 핼러윈 행사가 코로나19 방역 완화로 3년 만에 다시 열려 사람들 마음도 더욱 들떠 있었던 것 같다. 10만여명이란 인파가 몰린 행사였는데 지자체의 안전관리 부실, 시민들의 안전의식 결여, 이태원 거리의 구조적 문제 등으로 150여명이 압사하는 대참사의 안타까운 결과를 냈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우리나라 안전교육 시스템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번 참사의 경우 시민들의 안전의식 결여를 무시할 수 없다. 안전의식 향상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어릴 때부터 어른이 되기까지 체험을 통해 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교육을 생활화해야만 가능하다. 우리나라 안전교육 시스템은 아직 갈 길이 멀다. 현재 유치원과 초중고교 안전교육은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등 7대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군중 밀집지역 관련 교육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번에 정부는 향후 학교 안전교육에 이를 추가한다고 한다. 또 중학교만 가도 학생들이 대학입시에 시달리며 안전교육은 뒷전으로 밀린다. 1년에 한두 번 하는 안전교육조차 이론 위주로, 그것도 영상으로 대체되기 일쑤다. 이렇게 해서는 안전의식이 향상될 수 없다.
미국은 유치원부터 고교까지 안전교육 과목을 실습 위주의 필수 교과로 채택하고 있다. 일본도 유치원에서 고교까지 분야별 안전 전문교육을 실습 위주로 실시한다. 영국의 경우 중고교에서 안전교육을 정규 과목으로 도입하되, 체화할 수 있도록 실습 위주로 이뤄진다. 독일 역시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연령에 따라 단계별 안전교육 계획을 세부적으로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또한 실습 위주의 교육이다. 유럽에는 안전교육 과목이 대학의 정규 교과로 채택된 나라가 있을 정도다.
이번 참사 희생자 중에는 중고생이 6명이나 포함되어 있다. 또 20대가 100여명으로 희생자의 대부분이다. 이에 교육부는 “시·도 교육청, 대학교육협의회, 전문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협력해 학교 안전교육을 보완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많은 전문가는 이번 사고의 1차 책임이 정부나 지자체에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시민 안전의식이 향상되지 않는 이상 정부나 지자체가 아무리 안전관리를 철저히 해도 이런 사고는 되풀이될 수밖에 없다. 정부, 지자체, 시민이 삼위일체가 되어 안전을 가장 우선순위에 두고 행동할 때 비로소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우리가 누군가. 한다면 반드시 해내고야 마는 대한민국 국민 아닌가.
공하성 우석대 교수·소방방재학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윗집男 칼부림에 1살 지능된 아내”…현장 떠난 경찰은 “내가 찔렸어야 했나” [사건 속으로]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이 나이에 부끄럽지만” 중년 배우, 언론에 편지…내용 보니 ‘뭉클’
- “39만원으로 결혼해요”…건배는 콜라·식사는 햄버거?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식대 8만원이래서 축의금 10만원 냈는데 뭐가 잘못됐나요?” [일상톡톡 플러스]
- “북한과 전쟁 나면 참전하겠습니까?”…국민 대답은? [수민이가 궁금해요]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