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좁은 골목도 있고, 인파 몰린 게 처음 아닌데…왜 ‘그때 그 골목’이었나

이홍근·김나연 기자 2022. 11. 1. 21: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참사 현장 분석해보니
사고 골목 옆에 이태원 최대 클럽들…입장·퇴장 인원 뒤엉켜
오후 10시쯤 다른 지역서 ‘2차’ 온 사람들로 인파 더욱 늘어
군집 상태 자주 경험하며 위험 인지 못해 많은 사상자 나온 듯

지난달 29일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당시 156명이 압사한 주된 이유는 많은 인원이 순식간에 좁은 내리막길로 내몰렸기 때문이다.

사고가 난 골목 외에도 이태원역 대로변에서 세계음식거리로 진입할 수 있는 골목은 세 군데가 더 있다. 이들 골목은 모두 내리막길이고, 한 골목은 사고가 난 골목만큼 좁다. 그러나 사고는 한 골목에서만 발생했다. 또 최초 신고가 접수된 오후 10시15분 이전에도 비슷한 수준의 인파가 몰렸으나 압사 또는 깔림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왜 ‘그때 그 골목’에서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지난달 31일 세종사이버대 소방방재학과 박청웅 교수, 당시 현장에 출동했던 용산소방서 의용대원 A씨와 현장을 둘러봤다.

사고 골목에서 세계음식거리로 이어지는 삼거리 ‘T존’에는 이태원을 대표하는 대형 클럽 라운지바들이 몰려 있다. 박 교수와 A씨는 이 라운지클럽들 주위로 인파가 몰리면서 사고가 일어났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일어서서 춤을 추는 클럽은 앉아서 식사를 하는 음식점보다 단위면적당 수용 인원이 많다. 라운지클럽에 있던 손님들이 골목으로 나오거나 또는 이 클럽에 입장하기 위해 사람들이 몰리면서 T존에 사람들이 과밀됐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사고 근방 라운지클럽들을 바라보며 “사람이 가장 많이 몰리는 곳 앞에 위치한 골목이 가장 좁다 보니 사고가 난 것”이라고 했다.

세계음식거리로 들어가는 네 골목 중 맨 왼쪽 골목은 사고가 난 골목만큼 좁으나 주변에 대형 라운지클럽이 없다. 또 왼쪽부터 세 번째와 네 번째 골목 주변엔 유명 클럽들이 있으나 사고 골목들보다 폭이 넓다. 이런 조건에다 다른 지역에서 밥을 먹고 라운지클럽에서 ‘2차’를 즐기기 위해 넘어온 사람들이 더해져 인파가 늘어났다. 이태원 상권 가격이 비싸다보니 근처에서 저녁을 먹은 뒤 오후 9시30분에서 10시쯤 이태원으로 넘어와 술을 마시며 축제를 즐긴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압사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일반인이 인지하기 어려운 점도 많은 사상자가 나온 이유로 꼽았다. 대규모 군집 상태를 자주 경험하지만 사고로 이어지는 사례가 별로 없어 위험한 상황이라고 알아차리기가 불가능했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지하철의 경우 (열차가 오면) 군집 상황이 조금 있으면 해소되고, 보신각 타종 때도 사람들이 밀려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지만 압사까지는 안 간다”며 “군집 상태가 위험한 상황으로 변하는 건 순식간인데, 군중에 속한 개인이 이를 알아차리기는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개인뿐만 아니라 정부와 지자체, 경찰 등이 압사 사고 발생 가능성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점도 사고를 키웠다. 이 때문에 소방당국은 소방관 이외에도 행사를 도울 100명 이상의 소방 자원봉사단체를 활용하지 못했다. 용산소방서 의용소방대원 A씨는 “용산소방서에만 가용 가능한 소방 관련 자원봉사자가 120명이 있다”면서 “별다른 지원 요청이 들어오지 않아 3명씩 2개조로 오후 10시까지 순찰만 돌았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주최 측이 없더라도 대규모 행사에는 경찰 등이 관리 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자율적으로 하는 행사라도 사람이 많이 모인다면 행정기관이 관리 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제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홍근·김나연 기자 redroot@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