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대신 사망자로"‥책임이 명확하지 않아서?
[뉴스데스크] ◀ 앵커 ▶
이태원 참사 바로 다음날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참사에 대한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고 '피해자' 대신 '사망자'라고 쓰자고 결정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정부의 지침에 따라서 추모 공간도 '희생자 분향소'가 아닌 '사망자 분향소'가 됐는데요.
정부는 '가해자와, 책임 부분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남효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오늘도 이태원 참사를 가슴 아파하며 많은 시민들이 분향소를 찾았습니다.
그런데 정부가 마련한 추모 장소의 이름은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
세월호 참사 등 예전엔 통상 '희생자' 분향소로 부르던 것과 차이가 납니다.
분향소가 이렇게 꾸려진 건 정부가 '이태원 사고 사망자'라고 쓰라는 공식 지침을 내렸기 때문입니다.
참사 바로 다음 날 열린 중대본 회의에서 관련 논의가 이뤄졌습니다.
행안부는 지자체 부단체장들과의 회의에서 '10월 30일 오전 중대본 회의의 주요 내용'이라며, 사고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기로 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피해자가 아닌 "사망자", "사상자" 같은 객관적 용어를 쓰라는 지침도 내렸습니다.
이에 대해 대형 참사가 벌어졌는데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사건을 축소하는 데 급급한 게 아니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형석/더불어민주당 의원] "국내 언론 어디에도 '사고'라고 표현을 쓰는 곳은 없습니다. 중대본이 이태원 참사 자체를 축소하려는 그리고 또 정부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대단히 개탄스러운 행태다."
중대본은 사고의 책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서 중립적인 단어를 쓴 거라고 밝혔습니다.
[김성호/행정안전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책임 이런 부분이 이제 명확하게 나온 부분에 대해서는 사실 뭐 '희생자'라든가 '피해자' 이렇게 용어도 사용합니다만, 명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는 좀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지 않을까."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식적인 행정 문서에서 표현하는 것을 현 정부가 가진 애도의 마음과 혼돈하지 말라"면서 '행정상 표현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와 별도로 총리가 이태원 참사를 애도할 때 '근조' 같은 글자가 없는 리본을 쓰라고 지시한 것도 논란이 됐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리본을 새로 사거나 뒤집어 쓰는 등 혼란이 벌어지자, 지침을 만든 인사혁신처는 "신속히 준비할 수 있는 단순한 형태의 리본을 안내한 것"이라며 "검은색 리본이면 규격에 관계없이 착용할 수 있다"고 입장을 바꿨습니다.
MBC 뉴스 남효정입니다.
영상취재: 김경배 / 영상편집: 김현국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김경배 / 영상편집: 김현국
남효정 기자(hjhj@mbc.co.kr)
기사 원문 - https://imnews.imbc.com/replay/2022/nwdesk/article/6422882_35744.html
[저작권자(c) MBC (https://imnews.imbc.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참사 한참 전부터 112 신고‥'압사'만 6차례 경고
- "진입통제", "일방통행" 거듭된 요청에도 응답 없었다
- 112 신고 장소 자세히 보니‥'해밀톤 호텔' 주변 압축
- 11건 신고에도 4번만 출동‥"용인할 수 있는 불편 신고"?
- 졸업사진이 영정사진으로‥화장장엔 쉴 틈 없는 운구행렬
- 이상민 장관, 참사에는 '사과'‥발언에는 '유감' "국회가 들러리냐?"
- 고개 숙인 경찰청장 "대응 미흡했다"‥거취 표명은 '유보'
- "그곳에서 못 이룬 꿈 이루라"‥오늘부터 발인 시작
- 질문은 달랐지만‥"주최가 없는 행사라" 반복한 중대본
- 러시아, 30만 명 동원령 끝나자마자 또 12만 명 정례 징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