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强달러에 한국기업 싸져"…해외PEF 매물 독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50억달러를 굴리는 싱가포르계 자산운용사인 케펠인프라스트럭처트러스트는 지난달 국내 인수합병(M&A)시장에 처음 이름을 올렸다.
케펠인프라는 인수자금으로 환율 1400원 기준 5억3940만달러를 지급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캐나다를 기반으로 한 자산운용사 브룩필드는 인수 자금으로 환율 1400원 기준 약 7억7700만달러를 지급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연초였다면 1100원 기준 9억8890만달러를 써내야 했지만 2억달러 이상 싼 가격에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G ETS 폐기물사업부 빼곤
해외자본이 M&A시장 싹쓸이
토종 PEF는 자금조달 애로
"알짜 다 팔려나간다" 우려도
50억달러를 굴리는 싱가포르계 자산운용사인 케펠인프라스트럭처트러스트는 지난달 국내 인수합병(M&A)시장에 처음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21일 토종 폐기물 처리업체 EMK(에코매니지먼트코리아)를 약 7700억원을 주고 인수를 마무리하면서다. 이 거래는 상각전영업이익(EBITDA) 배수 기준 20배 안팎 수준에 이른다. 회사 성장성을 고려하더라도 금리 인상 등 대내외 환경을 감안하면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가격을 써내 모두를 놀라게 했다.
케펠인프라가 이 같은 베팅이 가능했던 것은 ‘킹달러’ 덕분이다. 원화 가격이 추락하면서 한국 기업을 상대적으로 싸게 인수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케펠인프라는 인수자금으로 환율 1400원 기준 5억3940만달러를 지급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거래가 시작된 올초 기준으로 환율 1100원을 적용하면 6억8650만달러를 내야 했다.
외국계 독무대 된 국내 M&A 시장
글로벌 PEF가 킹달러를 등에 업고 올해 M&A 시장에 나온 기업들을 사실상 독식하고 있다. 가격 경쟁이 승부를 가르는 경쟁 입찰 거래는 해외 PEF의 독무대가 되고 있다. 올해 5000억원 이상 규모의 국내외 PEF 거래 중 E&F프라이빗에쿼티(PE)가 인수한 KG ETS 폐기물사업부를 제외하고 대부분 해외 PEF가 새 주인이 됐다.
이 같은 현상은 하반기 들어 더욱 심해지고 있다. 지난 8월 말까지만 해도 환율이 1300원 수준을 유지했지만 지난달 처음 1400원을 돌파하면서다. 10월 들어서만 EMK와 브룩필드가 인수한 1조원 규모의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 산업가스 설비 거래가 잇따라 성사됐다. 캐나다를 기반으로 한 자산운용사 브룩필드는 인수 자금으로 환율 1400원 기준 약 7억7700만달러를 지급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연초였다면 1100원 기준 9억8890만달러를 써내야 했지만 2억달러 이상 싼 가격에 인수하는 데 성공했다.
베어링PEA가 인수한 PI첨단소재 거래 역시 마찬가지다. 베어링PEA는 지난 6월 글랜우드PE로부터 PI첨단소재를 1조3000억원(주당 8만원 수준)에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현재 주가가 3만원 수준까지 떨어져 거래 성사 여부를 놓고 우려가 있지만 당시보다 달러 가치가 크게 올라 큰 영향이 없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알짜 기업, 해외 자본 ‘싹쓸이’ 우려
토종 PEF로서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블라인드 펀드에 자금을 대주는 기관출자자(LP) 대부분이 국내 연기금이나 공제회 같은 기관투자가이기 때문이다. 원화로 자금을 받아 인수자금을 지급한다. 게다가 고금리 영향으로 인수금융이 연 8% 이상으로 치솟으면서 자금 조달에도 애로를 겪고 있다.
국내 PEF 중에서는 MBK파트너스와 한앤컴퍼니가 킹달러 덕을 보고 있다. 토종 운용사지만 해외 LP로부터 펀드 자금을 출자받아 달러로 인수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이다. 한앤컴퍼니가 1조6000억원 규모의 SKC 필름사업부를 인수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던 것도 달러로 자금을 내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일각에선 국내 알짜 기업이 해외에 잇따라 팔리는 것에 우려 섞인 시각도 나타나고 있다. 킹달러 현상이 지속되면 가격적으로는 국내 기업과 PEF가 경쟁상대가 되지 않아 해외 자금의 국내 M&A 독식 현상이 심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은행(IB)업계 관계자는 “킹달러 추세가 지속되면 M&A 시장에서의 양극화 현상은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고액 아르바이트 구직자 찾는다" SNS서 본 글 알고 보니…
- "20조 풀어도 그림의 떡…돈 구할 방법이 없다" 건설사 '비명'
- "따이궁 기다리다 목 빠지겠네"…면세점 한숨 깊어지는 이유
- 코인 대박 난 줄 알았는데…"어떡해" 주부까지 당했다
- "아파트 한 채 값이 순삭"…강남 랜드마크도 수억씩 '뚝뚝' [김은정의 클릭 부동산]
- [전문] '50억 자산' 10기 정숙, 짝퉁 의혹에 "그게 중요하냐, 돈 있는 척 피해줬냐" 분노
- 이근, 이태원 참사 관련 악플러에 "쓰레기XX"
- '유방암 투병' 서정희, 前남편 서세원과 결혼 생활 "위태할 때마다 이 악물어"
- '무면허 음주운전' 노엘, 석방 3주 만에 SNS로 근황 전했다 "속상해"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