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희생자’ 대신 ‘사고’ ‘사망자’라 부르라는 정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이태원 참사 이튿날(10월30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참사의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고, '희생자'나 '피해자' 대신 '사망자' '사상자' 등의 용어를 쓰도록 결정한 사실이 1일 드러났다.
실제 이후 정부 관계자들은 이 지침에 따라 일관되게 사고, 사망자 용어를 쓰고 있으며, 전국 합동 분향소에도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 펼침막이 일제히 걸렸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이태원 참사 이튿날(10월30일)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번 참사의 명칭을 ‘이태원 사고’로 통일하고, ‘희생자’나 ‘피해자’ 대신 ‘사망자’ ‘사상자’ 등의 용어를 쓰도록 결정한 사실이 1일 드러났다. 실제 이후 정부 관계자들은 이 지침에 따라 일관되게 사고, 사망자 용어를 쓰고 있으며, 전국 합동 분향소에도 ‘이태원 사고 사망자 합동 분향소’ 펼침막이 일제히 걸렸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때는 ‘세월호 희생자 합동 분향소’가 차려진 바 있다.
행정안전부는 “가해자, 책임 부분이 객관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립적인 용어가 필요하다고 봤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는 국가애도기간을 설정해 전 국민이 추모에 나선 의미를 퇴색시키는 관료주의적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세월호 참사에 대해 일각에서 ‘교통사고’라 하던 일을 떠올리는 국민들도 있었을 것이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선 희생자 분향소를 차리고 싶어도 정부 지침 때문에 못 하는 일까지 벌어졌다고 한다. 현 정권에서 발생한 대규모 재난을 의도적으로 축소하고 정부의 관리 책임을 희석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지금이라도 사안의 본질과 국민의 깊은 애도 정서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용어로 바꾸는 게 정도다. 누구 주도로 왜 이런 결정이 나왔는지 추후에라도 규명할 필요도 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 등의 ‘책임 회피’ 언행이 국민 울화를 돋운 가운데, 여당마저 이를 따지기는커녕 ‘정부 책임론’ 방어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는 것도 무책임하다. 국민의힘은 ‘경찰 투입 인력이 부족했다’는 주장까지 ‘가짜뉴스’ ‘선동’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보고는 ‘애도기간 질의는 안 된다’는 여당 고집으로 정부의 일방적 보고만 받고 끝났다. 이 장관은 “사고가 발생한 데 사과 말씀을 드린다”고 했지만, 자신의 논란 발언에 대해서는 유감 표명에 그쳤다. 이래서야 국민의 슬픔과 분노만 키울 뿐이다. 정부·여당의 각성을 촉구한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112 녹취록] “대형사고 직전이에요” 4시간 전부터 빗발친 신고
- ‘막장’ 구조…엉뚱한 곳 172m 뚫고 “매몰된 광부 접촉 못해”
- ‘disaster’ 대신 ‘incident’, 웃으며 농담까지…논란의 한덕수 외신 간담회
- 상한 운동화…이태원 유실물 센터의 통곡 [영상]
- 112 신고, 비명까지 들렸지만…11번 SOS에도 출동 4번뿐
- ‘참사’ 아니라는 행안부…이태원 압사에 “사고” 또 책임 회피
- 오세훈, 참사 사흘 만에 ‘눈물 회견’…책임론엔 선 그어
- 119 첫 신고 “압사당하게 생겼어요, 소방차·경찰 다 보내주세요”
- ‘97명 압사’ 영국은 어떻게 27년만에 책임자를 단죄했나
- 고별장 유리 너머 떠나보낸 청춘…유족은 천장만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