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주파수 또 격돌… SKT 추가요구에 `알박기` 논란
품질 직결 통신사간 셈범복잡
항공기 전파간섭 문제 지적도
LG유플러스가 SK텔레콤, KT 등 경쟁사와 동일한 100㎒(메가헤르츠) 폭 주파수를 확보하면서 5G 이동통신 속도 경쟁이 뜨거워지고 있다. 이 가운데 SK텔레콤이 올 초 정부에 신청했던 3.7~3.72㎓ 대역 20㎒ 폭 추가 할당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이동통신사간 주파수 논쟁이 또다시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주파수 폭은 통신품질과 직결되는 만큼 통신사간 셈법이 복잡해질 전망이다.
1일 LG유플러스는 자사가 구축한 농어촌 5G 공동망 지역에 100㎒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농어촌 공동망 구축지역에서는 LG유플러스 외에 다른 통신사 가입자도 5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공동망 구축 지역은 강원도 일부, 전라북도, 전라남도, 제주도 지역이다.
그동안 LG유플러스는 타사보다 20㎒ 적은 80㎒ 폭의 주파수를 보유해 SK텔레콤, KT보다 상대적으로 통신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SK텔레콤은 3.6~3.7㎓ 대역, KT는 3.5~3.6㎓ 대역에서 각각 100㎒ 폭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이에 지난 7월 LG유플러스는 5G 주파수 추가 경매에 단독 입찰해 총 1521억원에 3.40∼3.42㎓ 대역 주파수를 추가 할당 받았다. 다만, 오는 2025년 12월까지 15만국의 5G 무선국을 구축해야 한다는 조건도 부여받았다. 사용 기한은 2028년 11월 30일까지로, 기존 5G 주파수 이용종료 시점과 같다. 농어촌 공동망 구축 완료 시점도 내년 12월로 6개월 단축됐다. LG유플러스는 15만국의 5G 무선국 구축에 속도를 내고 수도권 서비스를 최대한 빨리 개시한다는 방침이다. 작업환경, 비용 등의 걸림돌이 있지만, 이르면 내년께 조건이 충족될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의 주파수 보유량이 타사와 동등해지면서 앞선 2개 기업과의 격차를 좁힐 가능성이 커졌다. SK텔레콤이 지난 1월 LG유플러스의 주파수 추가 할당 요청과 맞물려 3.7~3.72㎓ 대역 할당을 요청한 것도 이를 견제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5G 주파수 연구반은 이동통신 3사로부터 SK텔레콤 5G 주파수 추가할당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고 수요 조사를 했다.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많은 5G 가입자를 보유한 SK텔레콤은 가급적 빠른 시일 안에 정부에 요청한 5G 주파수 추가 할당이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5G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트래픽이 폭증하는 상황에서 추가 주파수 할당이 이뤄지면 경쟁이 활성화되고 고객 서비스 품질도 높아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이 대역은 SK텔레콤 주파수 인접 대역이라 경매 시 SK텔레콤이 낙찰받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대해 반대 목소리도 나온다. SK텔레콤의 인접 대역만 별도로 할당하는 것이 주파수 '알박기'라는 주장이다. 특히 해당 대역에서 항공기 전파고도계 간섭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전파고도계는 4.2~4.4㎓ 대역을 사용하는 비행기 고도 측정장치로, 이착륙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SK텔레콤 측은 신청한 주파수 대역에서는 간섭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지만, SK텔레콤이 할당을 요청한 3.7㎓ 이상 대역에서 간섭문제가 자유롭지 못하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지난 6월 과기정통부는 3.7㎓ 이상 대역에 대한 세부 할당방안 마련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종합 검토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반에서는 일부 대역(20㎒ 폭)을 분리해 공급하는 경우 잔여 280㎒ 폭의 이용효율이 낮아질 수 있고, 향후 통신경쟁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장 업계는 과기정통부가 매년 발표하는 통신품질 평가 결과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해 12월 과기정통부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발표한 품질평가에 따르면, 5G 다운로드 속도가 가장 빠른 통신사는 SK텔레콤으로, 929.92Mbps였다. 이어 KT 762.50Mbps, LG유플러스 712.01Mbps 순이었다. 이번 LG유플러스의 주파수 추가 할당으로 순위에 변동이 일어날지 주목된다. 다만 올해는 이미 평가가 마무리 단계이고 LG유플러스 주파수 추가 할당 효과는 내년에나 반영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어머니의 통곡…"밝고 성실한 우리 아이, 되돌릴 수 없는 현실 마음 아파"
- "밤새 시신 50구 날랐다"…20대 업소 직원이 전한 그날 참상
- `이태원 압사 참사` 군인·군무원 등 3명 숨져…음주회식·골프금지
- 이태원 참사, 여성 사망자가 왜 많았나…"100명 밀리면 압력만 5톤"
- 실종자 가족들, 생사 확인 후 희비 엇갈려…"살아있다니 다행" vs "사망했대"
- "김영선 좀 해줘라" 尹대통령-명태균 녹취록 공개 파장… 대통령실 "공천 지시 아냐, 그저 좋게
- 생산·소비 `동반 추락`… 설비투자 홀로 8.4% 반등
- `합병 SK이노` 1일 출범…무자원 산유국서 `친환경` 에너지강국 도약 이정표
- "기술혁신이 ESG"… AI로 고령화 해결 나선 제약바이오기업들
- "가계대출 총량규제 맞춰라"… 신규억제 넘어 중도상환 유도하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