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경제활동인구 비중 2000년來 '최저'…고령화에 60세 이상만 늘어

오종택 2022. 11. 1. 12:3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통계청,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비경제활동인구 1624.6만명…50.2만명 감소
비중 35.9%로 1.3%p↓…"취업자 증가 영향"
"창업시 개인 적성 중요하다는 비중 늘어"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서울 광화문 사거리 시민들 모습. 2022.10.12. kkssmm99@newsis.com

[세종=뉴시스] 오종택 기자 = 코로나19로 인한 고용 한파의 긴 터널을 지나 고용 시장이 점차 회복세를 보이면서 15세 인구 중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이 2000년대 들어 최저 수준을 나타냈다.

고용 호조에 모든 연령층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줄었지만 60세 이상에서만 증가했다. 퇴사 후 계속 쉬는 비중도 늘어 가파른 고령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1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2년 8월 비임금근로 및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비경제활동인구는 1624만6000명으로 전년(1675만8000명) 대비 51만2000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만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을 뜻한다. 2016년 이후 4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다가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한 2020년 1686만4000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5년 만에 증가세가 꺾인 뒤 2년 연속 감소세를 이었다.

코로나 발생 첫해인 2020년 비경제활동인구가 전년보다 50만명 넘게 급증하며 고용충격이 고스란히 나타났고, 일상회복을 시작한 올해는 50만 넘게 줄면서 고용 호조세가 반영됐다.

특히 15세 이상 인구에서 비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35.9%로 전년보다 1.3%포인트(p) 하락했다. 이 비중이 36% 밑으로 떨어진 것은 1999년 바뀐 통계 기준에 따라 집계한 이래 처음이다.

연령 계층별로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15~19세(203만9000명), 20대(222만9000명), 30대(140만7000명), 40대(165만명), 50대(186만4000명) 등 전년보다 감소했다. 경제허리인 '3040'은 전년보다 각각 20만명, 5만명가량 쉬는 줄었다.

반면 60세 이상은 705만7000명으로 전년보다 13만5000명 늘었다. 구성비도 감소하거나 변동이 없는 다른 연령대와 달리 60세 이상은 전년보다 2.1%p(43.4%) 증가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줄었던 취업자 수가 작년 3월을 기점으로 늘기 시작해 올해도 증가세가 계속되며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도 223만9000명으로 전년(240만4000명)보다 16만6000명 감소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35만6000명)와 30대(25만5000명)에서 6만여명씩 줄었다. 50대(38만3000명)도 3만6000명 감소했다. 60세 이상(95만1000명)도 9000명 줄었지만, 40대(27만명)는 8000명 늘었다.

[세종=뉴시스] 통계청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재판매 및 DB 금지

고령층을 포함하는 60세 이상을 제외하면 경제 허리층인 40대의 '쉬었음' 인구 증가가 눈에 띄었다.

'쉬었음'의 주된 이유로는 몸이 좋지 않아서(39.4%), 원하는 일자리(일거리)를 찾기 어려워서(18.1%), 퇴사(정년퇴직) 후 계속 쉬고 있음(17.3%) 순으로 높았다.

1년 이내 취업·창업을 원하는 비경제활동인구는 350만1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6%로 전년 대비 2.2%p 하락했다.

연령 계층별 구성비를 보면 20대(46.1%), 30대(41.6%), 40대(31.2%), 50대(28.9%), 60세 이상(10.9%) 순이다.

1년 내 취업이나 창업을 원하는 주된 이유로는 생활비·용돈을 벌려고(69.7%)가 가장 많았다. 이어 자기계발·자아 발전을 위해(20.1%), 지식이나 기술을 활용하려고(5.0%) 순이다.

1년 전과 비교해 경제적인 이유로 취·창업을 희망하는 비율은 2.3%p 줄고, 자아 발전을 위한 비중은 2.4% 늘었다. 희망 고용 형태는 임금근로자가 93.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나머지 6.8%는 비임금근로자이다.

1년 이내 취업 시 주요 고려 사항에는 근무 여건(28.0%), 수입·임금 수준(26.2%), 자신의 적성 및 전공(23.9%) 등이다.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300만원 미만(44.8%), 100~200만원 미만(27.4%), 300만원 이상(20.8%) 순으로 조사됐다.

취업을 희망하는 분야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59.0%)이 절반을 넘었다. 이어 도소매·숙박음식업(13.5%), 전기·운수·통신·금융업(12.2%) 순이다.

취업을 희망하는 직업은 관리자·전문가(28.7%), 사무종사자(23.4%), 서비스·판매종사자(22.1%) 순으로 높았다.

1년 이내 창업 시 주요 고려 사항은 수입이 48.3%로 절반에 육박했다. 자신의 적성 및 전공(26.2%), 자본금 규모 및 성장 가능성(15.5%) 등의 답변이 있었다.

창업 희망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21.3%), 도·소매업(20.1%), 부동산업·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17.7%) 순으로 많았다.

통계청 관계자는 "1년 전과 비교해 창업 시 고려 사항 중 수입이 중요하다는 비중은 줄고, 개인 적성이 중요하다는 비중은 커졌다"며 "코로나 이후 음식·숙박업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만 하다"고 전했다.

[세종=뉴시스] 통계청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비경제활동인구 1년이내 취업 또는 창업 의사.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ohjt@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