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2시간 뒤 온 '재난문자'…가입자 이동정보 공유됐다면
이에 사고 발생 전 휴대전화 사용자들의 CPS데이터가 당국에 사전 공유됐다면 좀 더 일찍 분산 조치할 수 있었다는 의견이 나온다. KT·SK텔레콤·LG유플러스 등 통신사별로 관리되는 CPS는 휴대전화 사용자의 현위치를 기지국을 통해 파악하는 데이터다.
정창삼 인덕대 스마트건설방재학과 교수는 "CPS 데이터를 통해 어떤 지역에 특정 망을 쓰는 인원이 몇명인지 알 수 있다"며 "통신사들의 데이터가 사전에 빠르게 공유됐다면 좀 더 일찍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해 분산 조치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정지역과 특정시간에 이용자 밀집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면 당국이 직간접적으로 통행을 제한하거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을 파악해 실시간 대응하는, CPS활용 재난 관리 시스템이 갖춰져야한다는 뜻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기지국 정보를 활용해서 재난 대응할 수 있도록 행안부가 정보 제공 요청을 할 수는 있다"며 "필요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사전에 받는 건 침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만 데이터를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르면 중앙대책본부장 또는 지역대책본부장은 재난 대응에 필요한 경우 재난피해자 등에 대한 정보 제공을 통신사에 요청할 수 있다.
이동통신업계에선 사전 CPS 데이터 공유 체계 마련을 위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우선돼야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단순히 특정 장소에 인원이 밀집된다는 이유만으로 데이터가 무분별하게 공유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공연이나 지자체 행사 등은 지역 통화 품질 관리를 위해 통신사들이 특별 관리를 하고 있다"며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면 통화 관련 데이터가 정부기관에 무분별하게 제공될 수 있어 가이드라인이 명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제공 자체가 민감할 수 있는 만큼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이 일반 대중들에게 먼저 인식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개인정보 침해와는 무관하다는 의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특정 지역 기지국에 접속한 단말기 대수나 접속 시간 등은 개인을 특정하지 않고 제공 가능하다"며 "중요한 건 지자체의 활용 목적이다. 인구 밀집에 대한 데이터를 재난 방지 등에 어떤 식으로 적용할지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이혼한 아내와 19년 동거…70대 중견배우의 속사정 - 머니투데이
- 서정희, 전남편 서세원과의 결혼 생활 언급 "위태할 때 이 악물어" - 머니투데이
- "김구라 아내, 키 크고 얼굴 예뻐"…실물 본 장영란 '극찬' - 머니투데이
- '왕년의 CF퀸' 엄유신 "팔 보였다고 과다노출…출연정지 당했다" - 머니투데이
- 서장훈, 2세 얘기에 한숨 "애는 있어야 하지 않나 생각하는데…" - 머니투데이
- 대통령실 "명태균, 매몰차게 끊었다"…野 "거짓말" vs 與 "녹취 조작" - 머니투데이
- '이다은과 재혼' 윤남기, 대치동 금수저 맞았다…"없는 게 없는 집"
- 6000만이 했다는 미국 사전투표…"해리스가 19~29%p 앞서" - 머니투데이
- '사생활논란' 타격 없었다…트리플스타 식당, 예약 열리자 1분 마감 - 머니투데이
- 보잉 이긴 탄탄한 K-기업 몰락 이유…"상속세 148억 더? 결국 회사 매각"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