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대씩 팔다가 0대, 또 0대… 현대차 ‘러시아를 어쩌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의 '탈(脫)러시아'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3월 이후 생산 중단이 계속되고 있는 현대차 러시아법인(HMMR)은 지난 7월 14대를 끝으로 8월부터 차량을 단 한 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전쟁 발발 전인 올 1~2월에만 해도 한 달에 1만 7000여대의 차량을 판매하던 현대차 러시아법인은 부품 공급 등이 끊기며 생산이 중단된 뒤 지난 7월 14대를 마지막으로 판매가 끊겼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 3월 이후 현지 생산 중단
7월 14대 끝으로 전혀 판매 안 돼
공장 폐쇄·정리해고 등 가능성도
철수 땐 재진출 어려워 심사숙고
포드도 ‘5년 내 재매입’ 옵션 넣어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의 ‘탈(脫)러시아’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현대자동차도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 3월 이후 생산 중단이 계속되고 있는 현대차 러시아법인(HMMR)은 지난 7월 14대를 끝으로 8월부터 차량을 단 한 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포드와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최근 러시아 사업 철수 방침을 세우고 지분 매각 등의 절차를 완료했거나 추진하고 있다.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상황이 끝을 알 수 없이 길어지는 러시아에서 정상적인 사업을 이어 갈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벤츠는 생산 자회사의 지분을 현지 업체에 넘길 방침이며, 포드는 이미 합작사의 지분 49%를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가장 빨리 러시아에서 손을 턴 회사는 프랑스의 르노다. 지난 5월 현지에서 운영하던 자동차 회사 ‘아브토바즈’의 지분 68%를 단돈 2루블에 넘기며 화제가 됐다. 수천억원의 손실을 기꺼이 감수하고서라도 러시아에서는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의지였다. 이후 일본 정부가 러시아와 강력한 대립각을 세우면서 일본 경제계를 대표하는 도요타도 지난 9월 말 법인 청산을 결정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경쟁사들은 속속 러시아에서 빠져나가고 있지만 현대차는 아직 잠잠하다. “러시아법인과 관련해 아직 특별히 달라진 방침은 없다”는 게 현대차의 공식적인 입장이다. 최근 현대차 실적 콘퍼런스(발표회)에서도 러시아법인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
다만 물밑에선 현대차도 경쟁사의 동향을 살피며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 두고 사업 방침을 정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앞서 러시아 현지 언론에서는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의 가동을 중단한 현대차가 장기간 폐쇄를 염두에 두고 장비나 시설이 녹슬지 않도록 하는 ‘모스볼링’ 작업에 착수했다”면서 “10월 중 직원들의 정리해고를 포함한 인력 관련 후속 조치를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전쟁 발발 전인 올 1~2월에만 해도 한 달에 1만 7000여대의 차량을 판매하던 현대차 러시아법인은 부품 공급 등이 끊기며 생산이 중단된 뒤 지난 7월 14대를 마지막으로 판매가 끊겼다. 제대로 된 사업이 전혀 이뤄지지 않는데도 공장을 유지하는 비용만 계속 들어가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러시아 제재 속에서 현지 유동성 공급도 불가능해 언제까지 버틸지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번 철수를 결정하면 다시 진출하는 건 사실상 불가능한 만큼 현대차가 최대한 신중하게 결정하기 위해 심사숙고하는 데 시간을 들인다는 시각도 있다. 현대차가 러시아 시장에 진출한 것은 2010년으로, 10년 만인 2020년엔 제너럴모터스(GM) 공장까지 추가로 인수하는 등 현지 시장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했었다. 전쟁만 아니었다면 러시아는 쉽게 포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뜻이다. 실제 포드도 합작사의 지분을 매각하면서 ‘글로벌 상황이 바뀔 경우 5년 내 다시 매입할 수 있다’는 옵션을 계약에 집어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오경진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