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CCTV 8만개, AI 접목해 위험 미리 알리게 하자”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대규모 인파(人波) 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폐쇄회로(CC)TV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기지국 접속 정보를 통해 인구 밀집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CCTV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시켜 위험 상황을 미리 알리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6월 말까지 서울 25구에 설치된 CCTV 개수는 8만5242개다. 주로 범죄 수사와 사고 조사 목적으로 쓰이지만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면 이 같은 대형 사고를 사전 예방하는 데도 쓰일 수 있다. AI 스타트업 관계자는 “8만 대가 넘는 CCTV를 사람이 하루 종일 들여다볼 수 없기 때문에 위험 상황을 감지하도록 학습된 AI를 여기에 활용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CCTV상에 단위 면적당 특정 인원수 이상이 모인 게 보이면 알람이 울리도록 하는 기능은 지금도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서울시는 지난 1월부터 한강 10개 교량에 있는 CCTV에 AI 시스템을 적용해 다리 아래로 떨어지는 사람들을 구출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2337개 사고 영상을 학습한 AI 시스템이 572개 CCTV에서 송출되는 모든 영상을 살펴보다 이상 징후를 감지하면 관제 센터에 경고 알림을 보낸다. 기존에는 하루 최대 9명의 관제사가 CCTV를 지켜봐야 했다.
이동전화 기지국의 접속 정보를 활용하면 인파가 몰리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실종자 수색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미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KT의 기지국 접속 데이터를 이용해 실시간 인구 밀집도를 5분 단위로 파악하고 있다. 서울 주요 지역 KT 기지국 50군데서 5분 동안 수집된 휴대폰 신호를 집계한 뒤 해당 특정 지역에 있는 사람 수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재난이나 사고 예방에 활용하기 위해선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합류해 보다 광범위한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통신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집회나 공연이 열릴 때 행정안전부가 요청하면 통신 3사는 기지국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기지국 접속 정보로는 이번 사고처럼 특정 골목에 몇 명이 모여 있는지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는 약점은 있다. CCTV 정보가 뒷받침돼야 하는 이유다.
다만 기지국 접속 정보 활용에는 개인 정보 침해 논란이 제기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지국 접속 정보엔 휴대폰 사용자의 동선과 같은 사생활 정보도 남아있기 때문이다. 통신 업체 관계자는 “팬데믹 기간 중에는 전염병특별법에 따라 통신 업체가 개인의 휴대폰 기지국 접속 정보를 정부에 제공해야 했다”며 “그런 예외적 상황이 아닌 이상, 특정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기지국 접속 정보를 제공하진 않는다”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SEAN-Korea Centre to Host ASEAN Week 2024, celebrating 35 years of partnership
- 2040년 전국 12도시 에너지 10% 수소로 충당… 동해·삼척·포항 특화단지 지정
- 인천 서구 검암·경서동 토지거래허가구역 615만㎡…6년만에 해제
- “尹 퇴진” 글 올린 정대화 국교위 상임위원, 공무원법 위반 고발 당해
- ”안전 시설 미흡”…제주 골프장 카트 이용객 사망, 골프장 책임자 검찰 송치
- 공수처 ‘디올백’ 맡은 송창진 수사2부장 사의...인력난 심화
- “버릇 없다” 후배 조폭 살해하려 한 40대 조폭…경찰, 살인미수 혐의 구속 송치
- 이재명 “정치적 비상상황”...민주 ‘尹 임기단축 개헌’ 빌드업 나섰다
- 文이 서평 올리자...김남국 “눈치 없고 생각 없어, 신선놀음 그만”
- “모친 수배로 학업 1년 중단”… 한소희, 나이 한살 속인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