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지원은 줄고, 생활비는 늘고’…일하는 노인 늘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일자리를 찾는 60세 이상 고령층이 늘어나는 이유는 자녀의 지원은 줄었지만 생활비는 올랐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보고서는 질 낮은 일자리에도 고령층 고용률이 증가하는 이유로 자녀의 지원 감소를 꼽았다.
실제로 고령층이 자녀로부터 받는 지원은 2008년 연간 250만원에서 2020년 200만원으로 50만원 줄었다.
빠르게 불어난 생활비도 고령층이 일자리를 찾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자리를 찾는 60세 이상 고령층이 늘어나는 이유는 자녀의 지원은 줄었지만 생활비는 올랐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사회복지 지출을 늘려 고령층 소득 기반의 확대 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한국은행이 31일 내놓은 ‘고령층 고용률 상승요인 분석-노동 공급을 중심으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고령층 취업자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2021년 고령층의 고용률은 36.2%에서 42.9%로 6.7%포인트 상승했지만 전체 고용률은 58.9%에서 60.5%로 1.6%포인트 느는 데 그쳤다.
고령층 고용률은 늘었지만, 이들의 일자리는 임금이 낮은 직군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의 40%는 임금이 낮은 ‘노동 빈곤층’에 속한다. 이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는 질 낮은 일자리에도 고령층 고용률이 증가하는 이유로 자녀의 지원 감소를 꼽았다. 실제로 고령층이 자녀로부터 받는 지원은 2008년 연간 250만원에서 2020년 200만원으로 50만원 줄었다.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비율도 75%에서 65%로 10%포인트 감소했다.
빠르게 불어난 생활비도 고령층이 일자리를 찾는 원인으로 분석된다. 2012년에서 2021년 사이 고령층의 실질 소비지출은 의료비ㆍ식료품ㆍ주거비를 중심으로 29.2% 증가했다. 전체 소비 증가율(7.6%)보다 높은 수치다.
공적연금 증가율은 급격히 오른 생활비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 1인당 연평균 생활비 대비 공적연금 비율은 2008년 62.9%에서 2020년 59.6%로 하락했다.
이외에도 배우자의 취업 증가, 건강상태 개선 등도 고령층 고용률을 견인한 원인으로 언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배우자가 취업 상태에 있으면 일자리를 찾을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강상태가 과거보다 개선된 것도 고령층이 일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고령층이 자발적으로 일 할 수 있도록 이들의 소득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고서를 작성한 조강철 한은 금융통화위원실 과장은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 추세를 고려하면 고령층의 고용률 상승은 바람직한 현상이지만 일자리의 질을 고려해야 한다”며 “고령층의 비자발적 노동은 줄이고 자발적 노동 공급은 장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소진 기자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