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200만원, 자식이 주는 용돈으로는 빠듯…취업하는 노인들
10년새 80% → 65% 급감
노년 생활비도 30%나 올라
국내 고령층의 취업자 수는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순증한 전체 취업자 325만명 중 60세 이상의 비율은 82%에 달한다. 인구 대비 근로자 수를 뜻하는 고용률도 전체 연령에서는 소폭 증가(58.9%→60.5%)한 반면 고령층에서는 36.2%에서 42.9%로 크게 늘었다.
보고서는 이 같은 구조적 변화 배경에 생활비를 충당하기 위해 '비자발적'으로 일터로 뛰어든 노인들이 있다고 봤다.
우선 고령층이 자녀로부터 받는 지원은 2008년 연간 250만원에서 2020년 200만원으로 쪼그라들었다. 실제 지원을 받는지를 뜻하는 지원 비율도 2010년대 초중반에는 80%에 육박했지만 2020년에는 65% 수준으로 급락했다. 우리나라의 고령층 부양 기조가 자녀 중심의 사적 부양에서 국가·사회 중심의 공적 부양으로 전환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생활비는 훌쩍 뛰었다. 2012년 고령층의 실질 소비지출은 연간 1500만원이었는데 지난해에는 1900만원으로 30% 가까이 늘었다. 전체 연령층에선 같은 기간 2500만원에서 2700만원으로 상대적으로 덜 증가했다. 국민연금 수령액도 같은 기간 상승했지만 증가율이 높지 않아 늘어난 생활비를 충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실제 1인당 평균 생활비에서 공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62.9%에서 2020년 59.6%로 오히려 하락했다. 생활비 대비 자산소득도 39%에서 38.5%로 낮아졌다.
이 밖에 고령층의 건강 상태가 개선되고 은퇴 시기를 맞추기 위해 배우자가 취업하자 함께 일터로 가는 이들이 많아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소일거리가 아닌 생활비가 목적인 취업자가 많다는 것은 저소득층일수록 일자리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실제로 공적연금이 없거나 자녀의 지원이 없는 경우, 자산소득이 낮은 경우 고용률 상승폭이 높게 조사됐다. 재취업 일자리의 상당수도 과거 직장과 관련성이 낮고 임금 수준도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고령층의 비자발적인 노동 공급을 줄이는 대신 자발적 노동 공급을 장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기초연금 수준 증대 등을 통해 저소득 고령층이 소득 기반을 확충하고 퇴직 후 재고용 등을 통해 축적된 인적자본의 효율적 활용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류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K원전 유럽에 교두보 … 폴란드에 42조원 규모 수출 `물꼬`
- 반짝했던 소비 한달만에 싸늘…생산·투자도 뒷걸음
- 세금 안내고 버티는 부자 수두룩…체납국세 100조 넘어
- 강릉수력발전소, 20년만에 재가동 추진
- 1년 200만원, 자식이 주는 용돈으로는 빠듯…취업하는 노인들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카카오식 AI ‘카나나’…시장은 냉혹했다
-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 취업비리X전처·전여친 사생활 폭로 파문 [MK★이슈]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