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종일 멍하고 하염없이 눈물" 집단 트라우마 우려 증폭

유주연,강민호 2022. 10. 31. 17:4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집단우울증 우려
일반인도 외상후 스트레스
심해지면 일상생활 힘들어
피해자 낙인찍기 절대 금물
위로하는 사회적 분위기 필요
31일 저녁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이태원 핼러윈 참사 추모 공간을 찾은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슬픔에 잠겨 있다. [이승환 기자]
경기 동탄시에 사는 직장인 이현성 씨(39)는 31일 새벽 두통에 속이 울렁거려 눈을 떴다. 이씨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려진 이태원 참사 영상과 글을 보다 겨우 눈을 붙였는데 3시간 만에 잠이 깼다"며 "내가 본 영상이 현실이 맞나 싶고, 하루 종일 멍해져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서울 동작구 사당동에 사는 주부 김경화 씨(57)도 "거리에서 20대 청년을 보면 눈물이 난다. 그 밝은 아이들이 허망하게 갔는데, 나는 일상을 살고 있다는 게 미안하다"고 했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로 인해 희생자 유가족들은 물론 구조자, 목격자, 일반 시민들까지 전 국민적으로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사고 직후부터 SNS를 통해 사고 현장 영상과 사진이 실시간으로 여과 없이 전달됐기 때문이다. 특히 모자이크 처리 없이 시신이 바닥에 눕혀져 있는 영상까지 시시각각 급속도로 퍼지면서 충격을 더 키웠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은 국민이 광범위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겪을 수 있다며 적극적인 치료와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신용욱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공포와 무서움의 기억이 계속 남아 있게 되면 불안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고 부른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극심한 우울증이 찾아오거나 알코올 의존증에 빠져 일상생활 자체가 힘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신 교수는 PTSD를 단순히 의지의 문제로 생각해 치료를 늦게 시작하거나 어려움에 대해 공감하지 못하는 주변 반응으로 증상이 더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고 우려했다. 또 신 교수는 "상처가 사라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듯, 무조건 잊어버리라는 조언보다는 환자들이 힘들어하는 것을 들어주고 필요할 때 곁에 있어주는 게 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PTSD는 1년 이상 장기간에 걸쳐 지속될 수 있다. 국립중앙의료원에 의하면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생존자 중 상당수가 완치 1년 후에도 PTSD나 우울증 등 정신건강 문제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생존자들이 PTSD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은 것은 감염자라는 사회적 낙인과 감염에 따른 불안감이었다.

정신건강의학 전문가들이 피해자에 대한 혐오 발언 등으로 인한 2차 가해를 우려하는 이유다. 석정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망 사건이 발생한 현장에 있었다는 것만으로 심리적으로 굉장한 충격이 있다"고 말했다. 석 교수는 "재난 경험자나 유가족들은 재난 상황에서 본인들이 통제할 수 없는 고통을 겪었고, 심적으로 매우 놀란 상태"라며 "재난 경험자나 유가족들이 최대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얘기를 듣고 위로해주는 것이 그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한국임상심리학회 등 관련 단체도 성명서를 내고 대규모 재난 사고 후 정신건강에 도움이 되는 수칙을 안내하고 있다. 한국임상심리학회는 트라우마 회복을 위해 △깊은 호흡 혹은 복식 호흡을 통한 긴장 완화 △충분한 휴식 △규칙적인 생활 △자기 격려 △주위에 도움을 요청하기 등 5가지 도움이 되는 행동을 안내했다. 반면 혼자 있거나 자책하고 사고와 관련된 것은 무조건 피하는 등의 행동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권고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는 마음을 안정시킬 수 있는 심호흡법과 나비포옹법, 착지법 등을 소개했다. 특히 나비포옹법은 스스로를 안아주는 자세인데, 두 팔을 X자 모양으로 교차한 후 양 손바닥으로 어깨를 톡톡 번갈아 두드리며 안심시켜주는 방법이다. 양 팔뚝에 양손을 두고 나비가 날갯짓하듯이 좌우를 번갈아 살짝살짝 10~15번 정도 두드리면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데 효과를 낸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이번 참사와 관련해 국가트라우마센터에 '이태원 사고 통합심리지원단'을 구성해 유가족과 부상자·목격자 등 1000여 명에 대해 심리 지원을 하기로 했다. 부상자 입원 병원에 공문을 발송해 심리 지원을 알리고 병원, 분향소 등을 방문해 현장 심리 지원도 한다. 지원단은 100명으로 꾸려져 1명이 10명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번 참사와 관련된 정신심리 상담은 복지부 정신건강 상담 전화(1577-0199)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유주연 기자 / 강민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