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전환은 곧 에너지 자립…韓, 해상풍력 선도할 수 있어"
전세계 동시다발적 기후변화
우크라전쟁에 에너지 위기까지
녹색 에너지 전환 속도낼 때
韓, 해안선 길고 인근 산단 커
해상풍력 경쟁력 세계적 수준
◆ 다시보는 세계지식포럼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초래된 유럽의 에너지 위기는 에너지 다각화와 에너지 자립이 긴밀하게 연관돼 있음을 보여준다. 소비자 에너지 가격이 치솟으면서 풍력과 태양열 같은 '해당 지역산' 솔루션들이 에너지 수입 의존을 벗어나게 하고 있다.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 등 에너지 수입 비중이 높은 아시아·태평양은 기후변화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지역이다. 아태지역 여러 나라는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는 녹색 전환을 위해 탈탄소화 목표를 수립하고 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아태지역에서도 녹색에너지가 가파르게 성장할 것"이라면서 "에너지 산업 분야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이 해상풍력, 녹색에너지의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 용량 목표는 30기가와트에 달하며 현재 속도라면 이 목표를 무난히 달성할 수 있을 것 같다"며 "한국에서도 현재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머지않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스테드는 원래 석유·가스·원자력을 아우르는 종합 에너지 기업이었지만 10년 전 완전한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전환을 결정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4년 연속 전 세계에서 가장 친환경적인 에너지 기업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것이 매우 중요한 이유는 녹색 전환을 가속화하려는 여러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고무적인 사실은 녹색에너지 전환 비용이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점이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처음 여정을 시작했을 때는 터빈의 용량은 아주 작았고 많은 보조금을 받아야 사업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계속 기술을 발전시켰고 지금은 12메가와트 풍력 터빈까지 만든다. 이제 풍력이 경쟁력 있는 에너지가 됐다"고 설명했다.
아태지역의 미래 에너지 전망은 어떨까. 그는 특히 한국의 해상풍력발전 경쟁력을 매우 높게 평가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대표적인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인천에서 하고 있다. 아태지역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발전소로 완공 시 총설치용량은 6.1기가와트에 달한다. 하지만 이것은 시작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사업을 통해서 한국이 아태지역의 리더 국가가 될 수 있다. 한국은 해안선이 아주 길게 형성돼 있을 뿐 아니라 해안가에 산업단지가 발달해 있고 그리드 연결 수준도 아주 높다"며 "한국의 철강, 부품, 재료 설비를 해상풍력 사업에 사용해왔고 2조3000억원에 달하는 계약을 따내서 여러 파트너사와 함께해왔다"고 덧붙였다.
그는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규모의 경제'라고 조언했다. 그는 "해상풍력발전은 특히 일정 규모 이상을 갖춰야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한다"고 강조했다. 베트남의 경쟁력에도 주목했다. 그는 "베트남 같은 경우에는 지켜보고 있는 시장인데 3000㎞가 넘는 굉장히 긴 해안선을 갖고 있다. 해상풍력발전을 하기 좋은 조건"이라고 말했다.
풍력발전도 앞으로 혁신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앞으로 우리가 기술 발전을 통해 예전에 시도하지 않았던 영역도 도전해 볼 수 있다. 이제 해상풍력 기술도 성숙 단계에 들어가고 있다. 오프쇼어 윈드팜을 많이 건설하고 있지만 부유식 윈드팜도 등장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윈드팜은 거대 풍력발전단지를 뜻하는 용어며 이 중 부유식 윈드팜이란 풍력발전기를 해저에 고정하지 않고 바다 위에 둥둥 띄워놓는 형태를 뜻한다. 이를 통해 수심이 깊은 먼바다에도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다.
오스테드는 바이오에너지발전을 비롯해 수소연료산업 등 다양한 영역의 재생에너지산업을 연구하고 있다. 크리스텐센 대표는 "이퓨얼(e-fuel)은 수송이나 운송에 적합하고 중공업에도 어울린다. 수소도 많은 산업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항공기 운송이나 교통, 수송에서는 그린수소의 사용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강연 말미에 에너지 빈국인 한국에 제안할 정책은 없는지 물었다. 크리스텐센 대표의 대답은 명확했다. 그는 "우선 원스톱식으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는 게 좋다. 두 번째는 국산화 비중을 높이는 것도 좋지만 경쟁력을 고려해 국산화 비율을 적절히 조율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충고했다.
[김슬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40개국 한상 2천여명, 코로나 이후 새 사업기회 찾는다
- 킹달러·高물가·수해…철강업계 `삼중苦`
- 뉴삼성 함께할 `이재용 사람들`…한달후면 드러난다
- "에너지 전환은 곧 에너지 자립 … 韓, 해상풍력 선도할 수 있어"
- 현실화된 반도체 겨울 10월 D램값 22% 급락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카카오식 AI ‘카나나’…시장은 냉혹했다
- ‘흑백요리사’ 트리플스타, 취업비리X전처·전여친 사생활 폭로 파문 [MK★이슈]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