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눈·입 마르게 하는 희귀질환 원인 찾았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유식·임성갑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이윤종 서울대병원 교수,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를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김유식 KAIST 교수는 "연구를 통해 난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쉐그렌 증후군에서 mt-dsRNA라는 새로운 병인을 제시했다"면서 "특히 mt-dsRNA 발현량 조절을 통한 면역 과활성화의 완화 효과를 고려했을 때 쉐그렌 증후군 외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도 mt-dsRNA라는 새로운 생태 병리학적 마커를 활용한 진단·치료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유식·임성갑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이윤종 서울대병원 교수, 차승희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교수 공동 연구팀이 희귀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인 쉐그렌 증후군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를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쉐그렌 증후군은 원인불명의 만성 전신 염증 질환으로 눈물샘과 침샘 등 외분비샘을 주로 침범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증상으로는 안구와 구강건조증 등 외분비샘 기능 저하가 가장 흔하지만, 이외에도 장기 침범이 다양하고 악성 림프종·합병증에 대한 위험이 있다.
특히 조기 사망할 수 있는 질환임에도 질환의 병태생리를 대변하는 유전자 마커 없이 환자의 증상을 기반으로 진단이 이뤄지고 있으며 치료제도 존재하지 않는 희귀성 난치질환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쉐그렌 증후군에서 비정상적인 면역 활성을 유발하는 물질로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mt-dsRNA)에 주목했다. 이에 연구팀은 mt-dsRNA가 질환 발병에서 중요한 기능을 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결과, mt-dsRNA의 발현이 면역 활성이 유발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증가해 면역 활성의 촉진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했다. 특히 mt-dsRNA의 발현을 억제하면 면역 활성이 감소해 질환의 특징이 일부 복원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이 연구는 mt-dsRNA라는 쉐그렌 증후군 증상 조절 인자를 최초로 확립해 비침습성 조기 진단법과 치료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유식 KAIST 교수는 "연구를 통해 난치병으로 인식되고 있는 쉐그렌 증후군에서 mt-dsRNA라는 새로운 병인을 제시했다"면서 "특히 mt-dsRNA 발현량 조절을 통한 면역 과활성화의 완화 효과를 고려했을 때 쉐그렌 증후군 외 다른 자가면역질환에서도 mt-dsRNA라는 새로운 생태 병리학적 마커를 활용한 진단·치료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정숙 샤넬재킷' 포렌식한다…검찰, '반납 의혹 수사' 속도 - 대전일보
- 정부 혁신도시 시즌2 밑그림 임박… 속타는 대전·충남 - 대전일보
- 무산된 '세종 빛축제' 시민 주도로 부활하나…"시민추진단 출범" - 대전일보
- 코로나 직격탄 맞은 온천업… 대전 유성지구, 회복세 더디다 - 대전일보
- 민주, 명태균 '공천개입' 통화 공개…"尹, '김영선 좀 해줘라" - 대전일보
- 대전일보 오늘의 운세 양력 11월 1일, 음력 10월 1일 - 대전일보
- "개발제한구역에도 농촌 체류형쉼터 허용해야" - 대전일보
- "학군지 포기했습니다"…월세行 속출 - 대전일보
- 대통령실 “尹당선인-명태균 통화, 기억에 남을 중요 내용 아냐” - 대전일보
- 尹-명태균 육성 공개 후폭풍… 민주 "철저한 진상조사" vs 與 "사적 통화"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