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멍들어”…이태원 참사 생존자, 조심해야 하는 이유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2022. 10. 31. 16: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와 관련해 '압박 증후군' '크러시 증후군' 등으로 불리는 '압좌 증후군' 증상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압좌 증후군은 오랜 시간 무거운 물체에 눌리거나 압박된 상태에서 원인을 갑자기 제거 했을 때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이를 발에 밟히는 것 같은 외부 충격으로 장기가 파열됐을 가능성과 깔렸다가 갑자기 벗어났을 때 부종 등이 생기는 압좌 증후군의 일종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와 관련해 ‘압박 증후군’ ‘크러시 증후군’ 등으로 불리는 ‘압좌 증후군’ 증상에 주목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압좌 증후군은 오랜 시간 무거운 물체에 눌리거나 압박된 상태에서 원인을 갑자기 제거 했을 때 발생한다. 장시간 신체 압박으로 산소 공급이 중단돼 근육세포 등이 괴사할 경우 여기에서 생성되는 칼륨이나 미오글로빈 등의 독성물질이 체내에 쌓이게 된다. 이후 압박 상태가 풀리면 이 독성물질이 한꺼번에 혈액을 따라 퍼지면서 심장 부정맥 등 급성 장기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겉으로는 멍이 드는 정도로 가볍게 보이더라도 내부 장기에 출혈이나 기능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안심하지 말고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 국소적으로 골절과 내출혈, 수포 형성, 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전신적인 순환장애를 일으켜 환부를 마비시키고 맥박이 멈출 수 있다.
재난 사고 현장에서 구조된 이후 압좌 증후군으로 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압좌 증후군으로 인한 다발성 장기부전이 사인인 경우가 있을 것으로 일부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다.
당시 현장 구조에 참여했던 의사는 여러 사망자에게서 배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발에 밟히는 것 같은 외부 충격으로 장기가 파열됐을 가능성과 깔렸다가 갑자기 벗어났을 때 부종 등이 생기는 압좌 증후군의 일종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치료는 응급처치 후 내부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면, 그 결과에 따라 실시한다. 골절된 부위는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고정술을 시행한다. 사지가 눌려 혈관이나 신경이 손상된 경우 이를 복원하기 위해 미세수술이 필요하다. 사지를 복구하기 어려우면 절단해야 한다. 폐를 다쳤을 경우 인공호흡기와 흉관 삽입 등의 치료가 이뤄진다.
압좌 증후군은 오랜 시간 무거운 물체에 눌리거나 압박된 상태에서 원인을 갑자기 제거 했을 때 발생한다. 장시간 신체 압박으로 산소 공급이 중단돼 근육세포 등이 괴사할 경우 여기에서 생성되는 칼륨이나 미오글로빈 등의 독성물질이 체내에 쌓이게 된다. 이후 압박 상태가 풀리면 이 독성물질이 한꺼번에 혈액을 따라 퍼지면서 심장 부정맥 등 급성 장기부전을 일으킬 수 있다.
겉으로는 멍이 드는 정도로 가볍게 보이더라도 내부 장기에 출혈이나 기능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안심하지 말고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 국소적으로 골절과 내출혈, 수포 형성, 부종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전신적인 순환장애를 일으켜 환부를 마비시키고 맥박이 멈출 수 있다.
재난 사고 현장에서 구조된 이후 압좌 증후군으로 숨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번 이태원 참사에서도 압좌 증후군으로 인한 다발성 장기부전이 사인인 경우가 있을 것으로 일부 전문가들은 추측하고 있다.
당시 현장 구조에 참여했던 의사는 여러 사망자에게서 배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전문가들은 이를 발에 밟히는 것 같은 외부 충격으로 장기가 파열됐을 가능성과 깔렸다가 갑자기 벗어났을 때 부종 등이 생기는 압좌 증후군의 일종일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치료는 응급처치 후 내부 장기 손상 여부를 확인하면, 그 결과에 따라 실시한다. 골절된 부위는 부러진 뼈를 맞추거나 고정술을 시행한다. 사지가 눌려 혈관이나 신경이 손상된 경우 이를 복원하기 위해 미세수술이 필요하다. 사지를 복구하기 어려우면 절단해야 한다. 폐를 다쳤을 경우 인공호흡기와 흉관 삽입 등의 치료가 이뤄진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남성 5~6명이 ‘밀어!’”…경찰, CCTV 분석 나섰다
- 野서영석 의원, 이태원 참사 다음날 ‘술자리’ 논란
- “한명만 더”…이태원 현장서 난간 위로 시민 끌어올린 의인들
- “옷찢긴 심정지 언니에 맨투맨 입혀준분 찾아요”…이태원 참사 ‘은인 찾기’
- ‘이태원 참사’ 침착 브리핑하던 소방서장, 손은 덜덜 떨었다
- ‘프듀2’ 출신 배우 이지한·치어리더 김유나, 이태원 참사로 사망
- 尹대통령 부부, 이태원 참사 희생자 조문…말없이 헌화·묵념만
- 인도 다리 붕괴 참사…축제 인파 최소 130명 사망
- 참사 몇시간전…“내려가” “내려가” 여성의 ‘일방통행’ 외침에 무사
- “엄마 사진 보내”…‘초등학교 알림장’ 사칭한 문자 주의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