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일하고 싶어한 딸 응원했는데”…외국인 희생자 안타까운 사연
“여러 가지 일에 도전하는 딸이었습니다. 멀리서 노력하고 있는 딸을 응원하고 있었는데…”
일본 홋카이도에 거주 중인 도미가와 아유무(60)는 31일 요미우리신문에 딸에 대해 이야기하며 더이상 말을 잇지 못했다. 그의 딸인 도미가와 메이(26)는 지난 29일 이태원 참사에서 희생된 일본인 2명 중 한 명이었다.
메이는 한국을 좋아해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고 싶어하는 학생이었다. 홋카이도 네무로시 출신인 메이는 삿포로시 전문학교 진학 후 도쿄에서 웹디자인과 악세사리 제작 등의 일에 종사한 뒤 한국에서 일하고픈 꿈을 위해 지난 6월부터 한국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메이는 평소 아버지에게 라인 메신저를 통해 한국 생활의 이모저모를 이야기하는 다정한 딸이었다. 그는 참사 당일 오후 7시쯤 아버지에게 “인사동이라는 곳에서 먹은 비빔밥 맛있었어!! 오늘은 같은 반 프랑스인과 만나”라고 메시지를 보냈다. 다음날 오전 메이의 아버지는 이태원 참사 소식을 듣고 메이에게 전화를 걸었다. 그러자 받은 건 “스마트폰을 주웠다”는 한국 경찰관이었다. 그는 딸이 무사하기를 기도했지만 저녁에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2명의 일본인 희생자 중 한 명이 메이였다는 최악의 소식을 들었다.
‘2022년 6월부터 한국 유학 중이며 액세서리 디자이너로 카페와 여행, 케이팝을 좋아한다’고 자신을 소개한 메이의 페이스북에 많은 일본인 네티즌들이 그의 명복을 기원하는 댓글을 남기고 있다.
“수억 번을 동시에 찔린 것 같았다. 세상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이태원 참사로 유명을 달리한 미국인 유학생 스티븐 블래시(20)의 아버지 스티브 블레시(62)가 3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이같이 말했다. 미국 국무부는 이태원 참사로 미국 국민 2명이 사망했고 3명이 부상당했다고 밝혔다. 미국 언론은 둘 다 스무살 대학생으로 한국에 단기 학업을 위해 왔다고 변을 당했다고 했는데 그중에 한 명이 바로 블레시의 아들이었다.
블레시의 아들 스티븐은 조지아주 케네소주립대 3학년으로 이번 가을학기를 한양대에서 지내던 중이었다. 블레시는 이태원 참사 소식을 듣고 걱정이 돼 아들에게 전화했지만 받지 않았다. 그는 아들의 소재를 알기 위해 트위터에 사진을 올리고 지인들에게 전화를 돌리던 끝에 주한미국대사관에서 전화를 받고 아들의 죽음을 알게 됐다. 그는 “이 모든 일이 벌어지기 30분 전쯤 아들에게 문자를 보내서 ‘네가 밖에서 돌아다니는 것을 다 안다. 안전하게 다녀라’라고 했지만 답장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워싱턴포스트(WP)에 “상상도 못했다. 군중을 통제하지 않았다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아들은 모험을 좋아했고 이게 첫 모험이었다. 우리 가족은 산산조각났다”라고도 했다.
앤 지제케 켄터키주립대 학생도 또 다른 미국인 희생자였다. 엘리 카필루토 켄터키주립대 총장도 성명을 내고 간호학 전공으로 해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한 학기 동안 한국에 갔던 지제케가 이태원 참사로 사망했다고 밝혔다. 그는 “인생은 공평하지도 않고 이해할 수도 없다. 하지만 이런 순간에 우리는 아끼는 사람들을 조금 더 소중히 여길 수 있도록 잠시 멈춰야 한다”고 추모의 마음을 학생들과 나눴다. 폭스뉴스는 지제케가 전날 생일이었다고 했다. 그가 사는 켄터키주 포트미첼시는 페이스북에 “딸을 잃어 황폐하고 가슴이 아프다”는 부모의 언급을 전했다.
희생자 중에는 호주 시드니의 영화사 직원이었던 23세 여성 그레이스 래치드도 있었다. 호주 언론 WA 투데이는 래치드의 친구로 네이선 타베르니티가 밝힌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들은 골목에 서 있다가 천천히 조여오는 인파의 압박에 넘어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서 있는 자세로 숨이 막혀왔다. 타베르니티는 “당시 래치드와 함께 있었는데 그녀가 숨을 쉴 수 없다고 했다”며 “나중에 나는 겨우 기어서 탈출할 수 있었다”라고 했다. 이어 “내 친구는 술 취한 사람들에 의해 죽은 게 아니었다. 핼러윈 축제의 계획 부재와 경찰과 소방 등의 관리 부실 때문에 죽은 것”이라며 “아무도 우리를 도우려 하지 않았다”라고 했다.
한편 중국은 입국 시 격리(10일) 규정 때문에 본토인들의 한국 관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사상자 대부분은 유학생일 것으로 추정된다. 베이징 주재 한국대사관은 “피해자 가족들과 모두 연락이 닿았다”며 “이들이 한국에 최대한 빨리 들어올 수 있도록 비자 발급 등 편의를 제공하겠다. 중국 정부에도 해당 내용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도쿄 김진아·워싱턴 이경주·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