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고령층 취업자수 증가가 전체의 82%…"생활비 벌기 위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사적 이전 금액이 줄고 생활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60세 이상 고령층 고용률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조사통계월보 '고령층 고용률 상승요인'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층의 취업자수가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령층 고용률도 꾸준히 늘고 있다.
고령층의 일자리가 대부분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과 직업에 집중돼 있음에도 이들 고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주로 높은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경제활동을 이어나가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층 고용률, 2010년 이후 꾸준히 증가
연금 수령액 조금 늘고 생활비 증가폭 더 가팔라져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자녀로부터 지원받는 사적 이전 금액이 줄고 생활비가 빠르게 늘어나면서 60세 이상 고령층 고용률이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2010~2021년중 전체 고용률은 1.6%포인트 상승한 반면, 고령층 고용률은 6.7%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연금 수령액이 늘고 있긴 하지만 물가 상승 속도가 가팔라지면서 생활비 대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31일 발표한 조사통계월보 ‘고령층 고용률 상승요인’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층의 취업자수가 201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면서 고령층 고용률도 꾸준히 늘고 있다. 2010~2021년 중 고령층 취업자수는 266만8000명 증가해 전체 취업자수 증가폭인 324만명의 약 82%를 차지했다. 고령층 취업자가 급증하니 고용률 역시 2010년 36.2%에서 2021년 42.9%로 증가했다.
2010~2021년중 전체 고용률은 1.6%포인트 상승한 반면, 고령층 고용률은 6.7%포인트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강철 금융통화위원회실 과장은 “고용률이 취업자수를 연령대별 인구 수로 나눈 것이기 때문에 고용률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것은 인구 증가 속도 보다 더 빠르게 취업자수가 늘고 있단 뜻”이라면서 “이는 고령층 노동 수요, 공급에 변화가 있음을 시사하는데 고령층 취엄자수 증가 요인은 대부분 노동 공급 요인에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령층의 일자리가 대부분 임금수준이 낮은 산업과 직업에 집중돼 있음에도 이들 고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주로 높은 생활비를 감당하기 어려워 경제활동을 이어나가야 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12~2021년중 고령층의 실질 소비지출은 의료비와 식료품, 주거비를 중심으로 29.2%(약 400만원) 증가해 전체 소비 증가율(7.6%, 약 200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생활비가 100% 상승하면 취업 확률은 1.6%포인트~1.9%포인트 정도 높아졌다.
또 고령층이 받는 공적연금이 2010년 월평균 44만원선에서 올해 60만원대로 늘고 있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에 비해 낮고 생활비 증가분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연금이나 자산소득이 증가하고 있지만 생활비 대비 비율은 하락하거나 높아지지 않는 모습이다. 1인당 평균 공적연금, 자산소득의 생활비 대비 비율은 각각 2008년 62.9%, 39%에서 2020년 59.6%, 38.5%로 낮아졌다.
자녀들로 부터 받는 사적이전 비용까지 줄어들고 있다. 자녀로부터 받는 지원금액은 2008년 평균 250만원선에서 2020년 200만원 수준으로 줄었다.
이외에도 고령층 배우자의 취업 증가, 건강 상태 개선 등 인구사회학적 특성도 영향을 줬다. 조강철 과장은 “배우자와 비슷한 시기에 은퇴를 하려고 한다거나 건강 상태가 좋아진 점도 고령층 고용률 증가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고령층의 고용률은 자산소득이 낮을 수록 높은 경향도 있었다. 2020년 기준 자산소득이 낮은 고령층의 고용률은 44.1%로 자산소득이 높은 고령층의 고용률(29.3%)보다 낮았다.
한은 측은 고령층의 비자발적 노동 공급을 줄이는 대신 자발적 노동 공급은 장려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 과장은 “사회복지 지출 확대, 기초연금 수준 증대 등을 통해 노동 공급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비자발적으로 일을 해야 하는 저소득 고령층의 소득 기반을 확충해야 한다”면서 “퇴직 후 재고용 등을 통해 주된 일자리에서 오래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 축적된 인적자본의 효율적 활용을 유도할 필요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윤화 (akfdl34@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태원 참사' 생존자가 전한 그날의 현장…"뒤에서 '밀어' 외쳤다"
- 前 LG·KIA 치어리더 김유나, 이태원 참사로 사망
- “옷 찢긴 언니에 맨투맨 입혀주신 분”… 이태원 참사 속 ‘은인찾기’
- 김영철 "이태원 참사 몇시간 전 현장에…믿어지지 않아"
- ‘삼풍’ 생존자, 이태원참사에 “오징어게임 실사판으로 하는 것 같다”
- "남일 아냐"…이태원 참사에 21년전 악몽 떠올린 日[김보겸의 일본in]
- 강남 일부 닫았는데, 홍대클럽 영업…이태원참사에도 ‘핼러윈’ 인파 북적
- 아파트값 흔들리는 사이…연립·오피스텔 '우상향'
- “언제 볼 수 있을지”…검시 기다렸던 유족 ‘우리 아이’ 인도받았다
- 윤홍빈 “이태원 현장서 CPR…의식 돌아온 사람은 1명밖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