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9월 아파트 거래, 단 856건 ‘역대 최저’
황재성기자 2022. 10. 31. 11:33
부동산시장이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달 아파트 거래량이 전달보다 더 줄어들었다. 특히 서울은 2006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이었던 전달 기록을 다시 갈아 치웠다.
반면 아파트 미분양은 빠르게 늘어나면서 4만 채를 넘어섰다. 2020년 1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미분양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증가세도 2009년 이후 가장 빨랐다.
국토교통부는 31일(오늘) 이런 내용의 ‘9월 주택 통계’를 발표했다. 매월 말 발표하는 이 통계에는 ▲미분양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 ▲인허가 착공 분양 입주 등 각종 주택건설실적이 담겨 있다.
한편 이처럼 각종 시장지표가 곤두박질치면서 부동산 경기가 당분간 침체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를 대표하는 정책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는 내년 상반기까지 집값 하방 압력이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 더 줄어든 거래량…서울 역대 최소 거래기록 갱신
국토부에 따르면 9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모두 3만2403건으로 집계됐다. 전월(3만5531건)보다 8.8% 감소했고, 전년 동월(8만1631건)과 비교하면 무려 60.3% 줄었다.
누적물량(1~9월)으로 보면 올해는 41만779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81만8948건)의 절반을 조금 넘었다. 최근 5년 새 가장 적은 물량이기도 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9월·1만2609건)이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66.1% 감소했다. 비수도권(1만9794건)도 전월 대비 8.6%, 전년 동월 대비 55.4%가 줄어들며 거래절벽을 실감하게 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아파트 거래량이 9월 한 달 동안 856건에 그쳐 2006년 이후 최소였던 전월(907건)의 기록을 경신했다.
● 가파르게 늘어나는 미분양…9월까지 2만4000채 증가
반면 주택 미분양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9월 말 전국 미분양은 4만1604채로 집계됐다. 2020년 1월(4만3268채) 이후 2년 8개월 만에 다시 4만 채로 접어들었다.
무엇보다 증가세가 염려스럽다. 전월(3만2722채)보다 27.1%(8882채) 증가했고, 누적물량(1~9월)으로는 2만4000채가 늘어났다. 이러한 증가세는 2008년(연간증가물량·5만3345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정부의 공식통계지표 포털인 ‘e-나라지표’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집계된 미분양주택 통계에서 연간 2만 채 이상 미분양주택이 늘어난 시기는 ▲1994년(2만8098채) ▲1995년(4만6727채) ▲2004년(3만872채) ▲2007년(3만8482채) ▲2008년(5만3345채) ▲2015년(2만1133채) 등 모두 6차례에 불과하다. 올해의 경우 최근의 부동산시장 상황과 현재 추세를 감안하면 연말까지 3만 채 이상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지역의 미분양주택이 절대적으로 많았지만, 증가세는 수도권이 월등히 높았다. 비수도권은 3만3791채로, 전월보다 21.9%(6081채) 증가한 반면 수도권은 7813채로 한 달 새 무려 55.9%(2801채) 늘어난 것이다.
● 건설실적도 침체 기미 뚜렷…인허가 소폭 늘고, 착공·분양은 급감
주택건설 상황도 침체되는 부동산시장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었다.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지속적인 공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지방을 중심으로 인허가와 준공 물량이 소폭 증가했다. 반면 최근의 부동산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착공과 분양 물량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인허가 물량(1~9월)은 전국 38만200채로 전년 동기(35만8990채)보다 5.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9월 누적물량·13만1839채)은 28.3% 줄었지만 비수도권(24만8361채)은 41.8%가 증가했다.
준공물량도 전국(28만7415채)로 전년 동기(27만4121채)보다 4.8% 늘어났다. 역시 수도권(15만6807채)은 5.0% 줄었지만 비수도권(13만608채)이 19.8% 증가했다.
반면 실제 착공 물량은 29만4059채로 작년 같은 기간(39만7657채)보다 26.1%, 분양물량은 18만8217채로 작년(23만5534채)보다 20.1%가 각각 감소했다.
● “집값 내림세 내년 상반기까지 더 커질 것”
한편 최근 주택시장의 여러 상황을 고려할 때 집값이 내년 상반기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비수도권 지역에서 공급 물량이 평년보다 늘어나고 있어 가격 하방압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분기마다 발행하는 보고서 ‘부동산시장 동향’ 최신호에서 최근 주택시장 상황을 2008년 금융위기 시장과 비교 분석한 뒤, 이런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주택시장이 금융위기 때보다 금리변동에 대한 위험 수준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주택시장은 금융시장과 달리 금리 변동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최근의 금리인상이 시차를 두고 반영될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격 하락세가 내년 상반기에 펼쳐질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만 금융위기 때 나타났던 수도권 위주의 장기 침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내다됐다. 가계 소득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높아 금리 변동에 대한 위험에 더 노출돼 있지만 현재 주택 매매시장의 전세/매매가격 비율이 금융위기 전후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반면 아파트 미분양은 빠르게 늘어나면서 4만 채를 넘어섰다. 2020년 1월 이후 2년 8개월 만이다. 미분양도 크게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증가세도 2009년 이후 가장 빨랐다.
국토교통부는 31일(오늘) 이런 내용의 ‘9월 주택 통계’를 발표했다. 매월 말 발표하는 이 통계에는 ▲미분양 ▲주택 매매 및 전월세 거래량 ▲인허가 착공 분양 입주 등 각종 주택건설실적이 담겨 있다.
한편 이처럼 각종 시장지표가 곤두박질치면서 부동산 경기가 당분간 침체 국면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쏟아지고 있다. 특히 국내를 대표하는 정책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는 내년 상반기까지 집값 하방 압력이 계속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 더 줄어든 거래량…서울 역대 최소 거래기록 갱신
국토부에 따르면 9월 주택 매매거래량(신고일 기준)은 모두 3만2403건으로 집계됐다. 전월(3만5531건)보다 8.8% 감소했고, 전년 동월(8만1631건)과 비교하면 무려 60.3% 줄었다.
누적물량(1~9월)으로 보면 올해는 41만7794건으로, 작년 같은 기간(81만8948건)의 절반을 조금 넘었다. 최근 5년 새 가장 적은 물량이기도 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9월·1만2609건)이 전월 대비 9.2%, 전년 동월과 비교하면 66.1% 감소했다. 비수도권(1만9794건)도 전월 대비 8.6%, 전년 동월 대비 55.4%가 줄어들며 거래절벽을 실감하게 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아파트 거래량이 9월 한 달 동안 856건에 그쳐 2006년 이후 최소였던 전월(907건)의 기록을 경신했다.
● 가파르게 늘어나는 미분양…9월까지 2만4000채 증가
반면 주택 미분양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9월 말 전국 미분양은 4만1604채로 집계됐다. 2020년 1월(4만3268채) 이후 2년 8개월 만에 다시 4만 채로 접어들었다.
무엇보다 증가세가 염려스럽다. 전월(3만2722채)보다 27.1%(8882채) 증가했고, 누적물량(1~9월)으로는 2만4000채가 늘어났다. 이러한 증가세는 2008년(연간증가물량·5만3345채) 이후 가장 많은 것이다.
정부의 공식통계지표 포털인 ‘e-나라지표’에 따르면 1993년 이후 집계된 미분양주택 통계에서 연간 2만 채 이상 미분양주택이 늘어난 시기는 ▲1994년(2만8098채) ▲1995년(4만6727채) ▲2004년(3만872채) ▲2007년(3만8482채) ▲2008년(5만3345채) ▲2015년(2만1133채) 등 모두 6차례에 불과하다. 올해의 경우 최근의 부동산시장 상황과 현재 추세를 감안하면 연말까지 3만 채 이상 불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역별로는 비수도권 지역의 미분양주택이 절대적으로 많았지만, 증가세는 수도권이 월등히 높았다. 비수도권은 3만3791채로, 전월보다 21.9%(6081채) 증가한 반면 수도권은 7813채로 한 달 새 무려 55.9%(2801채) 늘어난 것이다.
● 건설실적도 침체 기미 뚜렷…인허가 소폭 늘고, 착공·분양은 급감
주택건설 상황도 침체되는 부동산시장 상황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었다.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지속적인 공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지방을 중심으로 인허가와 준공 물량이 소폭 증가했다. 반면 최근의 부동산 경기 침체를 반영하듯 착공과 분양 물량은 크게 줄어든 것이다.
인허가 물량(1~9월)은 전국 38만200채로 전년 동기(35만8990채)보다 5.9%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1~9월 누적물량·13만1839채)은 28.3% 줄었지만 비수도권(24만8361채)은 41.8%가 증가했다.
준공물량도 전국(28만7415채)로 전년 동기(27만4121채)보다 4.8% 늘어났다. 역시 수도권(15만6807채)은 5.0% 줄었지만 비수도권(13만608채)이 19.8% 증가했다.
반면 실제 착공 물량은 29만4059채로 작년 같은 기간(39만7657채)보다 26.1%, 분양물량은 18만8217채로 작년(23만5534채)보다 20.1%가 각각 감소했다.
● “집값 내림세 내년 상반기까지 더 커질 것”
한편 최근 주택시장의 여러 상황을 고려할 때 집값이 내년 상반기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비수도권 지역에서 공급 물량이 평년보다 늘어나고 있어 가격 하방압력이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됐다.
KDI는 분기마다 발행하는 보고서 ‘부동산시장 동향’ 최신호에서 최근 주택시장 상황을 2008년 금융위기 시장과 비교 분석한 뒤, 이런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현재 주택시장이 금융위기 때보다 금리변동에 대한 위험 수준이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주택시장은 금융시장과 달리 금리 변동에 반응하는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최근의 금리인상이 시차를 두고 반영될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의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가격 하락세가 내년 상반기에 펼쳐질 것이라는 의미이다.
다만 금융위기 때 나타났던 수도권 위주의 장기 침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내다됐다. 가계 소득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이 높아 금리 변동에 대한 위험에 더 노출돼 있지만 현재 주택 매매시장의 전세/매매가격 비율이 금융위기 전후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옷찢긴 심정지 언니에 맨투맨 입혀준분 찾아요”…이태원 참사 ‘은인 찾기’
- ‘프듀2’ 출신 배우 이지한·치어리더 김유나, 이태원 참사로 사망
- ‘이태원 참사’ 침착 브리핑하던 소방서장, 손은 덜덜 떨었다
- 尹대통령 부부, 이태원 참사 희생자 조문…말없이 헌화·묵념만
- 참사 몇시간전…“내려가” “내려가” 여성의 ‘일방통행’ 외침에 무사
- 정부 “이태원 참사 사망자 장례비 1500만원까지 지원, 치료비도 우선 대납”
- 교육부 “이태원 참사 사망자에 중학생 1명·고교생 5명 포함”
- “대혼란 그 자체”…해밀턴 투숙객, 9층서 ‘이태원 참사’ 목격담
- 룰라, 대선 승리…브라질 역사상 첫 3선 대통령
- “전화 좀 받아” “이태원 안 갔니”…부모들 밤새 마음 졸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