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반 만에 345조 증가” 눈덩이처럼 불어난 기업대출 ‘부실’ 경고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2년 반 동안 증가한 기업대출 규모가 지난 10년보다 많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지만, 상환 능력은 반대로 감소해 국내 기업대출에 부실 경고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 10년간(2009~2019년 말)은 기업대출이 연평균 4.1% 증가한 데 비해, 팬데믹 이후 현재(2019년 말~2022년 상반기)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정태일 기자] 최근 2년 반 동안 증가한 기업대출 규모가 지난 10년보다 많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났지만, 상환 능력은 반대로 감소해 국내 기업대출에 부실 경고등이 켜졌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 10년간(2009~2019년 말)은 기업대출이 연평균 4.1% 증가한 데 비해, 팬데믹 이후 현재(2019년 말~2022년 상반기)까지 2년 반 동안 연평균 증가율은 12.9%에 달했다.
그 결과 기업 대출금액은 2년 반 만에 345조3000억원(35.4%) 증가해 코로나19 위기 전 10년간 증가한 대출(324조4000억원)보다 많다.
문제는 기업 대출금액 자체가 크게 늘었을 뿐 아니라, 상환능력도 급속히 취약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부채의 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지표인 DSR(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로 비교했을 때 한국을 제외한 16개국 기업들의 DSR은 팬데믹 이전(2019년) 평균 41.1%에서 현재(2022년 1분기) 40.6%로 0.5%포인트 감소하면서 상환능력이 개선됐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의 DSR은 동기간 37.7%에서 39.7%로 오히려 2.0%포인트 늘어나면서, 상환능력이 악화됐다. DSR이 높을수록 부채에 대한 상환능력이 취약함을 의미한다.
기업대출은 금리가 오르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는 변동금리 대출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9월 현재 대출 잔액 기준으로 기업 10곳 중 7곳 이상(72.7%)이 변동금리 대출을 받았고, 고정금리 대출은 10곳 중 2∼3곳(27.3%)에 불과했다. 신규대출 중 변동금리 비중은 팬데믹 이후 최저 58.8%(2020년 2월)에서 최고 73.0%(2022년 7월)까지 높아졌다.
업종별로는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부동산업과 도소매업, 숙박음식업의 대출집중도가 각각 2.8과 2.1, 2.0으로 나타나 GDP 비중 대비 가장 많은 대출이 발생했다. 대출집중도가 1보다 크면 해당 산업의 GDP 비중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대출이 유입됨을 의미한다. 전경련은 부동산 경기 경착륙과 내수 위축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므로 이들 업종에서의 대출 부실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기업대출을 금융기관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 이후 예금은행과 비은행기관을 통한 대출이 모두 증가한 가운데, 특히 상대적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비은행기관의 대출 증가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말 이후 현재(2022년 상반기)까지 연평균 기준 예금은행은 10.9% 늘어난 데 비해 비은행기관은 27.5% 증가했다. 이에 따라 전체 예금취급기관 중 비은행기관을 통한 기업대출 비중은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29.7%)을 기록했다.
기업대출 부실 우려가 커지면서 전경련은 “미국의 공격적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 기준금리의 추종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는 만큼 금리인상의 속도 조절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제언했다. 이어 “세부담 경감은 기업의 잉여소득을 간접적으로 확충함으로써, 경제위기시에는 자금사정 압박을 견딜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금융방어적 수단”이라며, 정부 세법안에 대한 국회 논의가 조속히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killpass@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프듀2' 출신 배우 이지한, 이태원 참사로 숨져…24세
- ‘당근 당근~’ 하다가 더 먹게된 유행 음식 [식탐]
- “더 살리지 못해 죄송”…이태원 현장 출동 경찰관의 심정
- “1년에 10억 번다고?” 은행도 쩔쩔 매는 ‘VIP’ 정체 알고보니
- 이태원 참사현장, 옆에선 춤추며 ‘떼창’ 불렀다
- “한국에선 처음 볼 걸요” ‘이 여성’이 자랑한 500억짜리, 뭔가 했더니
- “BTS ‘숟가락 얹기’ 너무 심하다 했더니” 결국 이런 일이
- 저커버그, 재산 124조원 날려…빅테크 갑부 20명 680조 '증발'
- “‘숫자’ 몇줄에 가격 껑충?” 300만원 ‘미친 가격’ 삼성폰 뭐길래
- “떡볶이 10번 시킨 ‘단골’인데 서비스도 없어?” 뿔난 ‘배달족’에 무슨 일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