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재유행땐 하루 10만명 예상… 백신 추가접종 서둘러야[인사이드&인사이트]
이종구 의학한림원 코로나특위 위원장(외교부 글로벌보건안보대사) 2022. 10. 31. 03:03
증가세 돌아선 코로나 대책은
《올해 9월 세계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감소하면서 하루 사망자가 1만 명 이하로 보고됐다. 그러자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이 아직 끝나지 않았지만 끝이 보인다’라는 다소 낙관적인 언급을 한 바 있다.
지난주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전주 대비 15% 감소한 269만 명이었다. 사망자는 13% 감소한 8560여 명이었다. 그러나 겨울이 다가오면서 환자 감소세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환자 감소세가 둔화하다 오히려 증가세로 돌아서는 상황이다.》
지난주 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는 전주 대비 15% 감소한 269만 명이었다. 사망자는 13% 감소한 8560여 명이었다. 그러나 겨울이 다가오면서 환자 감소세가 다소 둔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환자 감소세가 둔화하다 오히려 증가세로 돌아서는 상황이다.》
○ 국민 97% 항체 보유에도 재확산 우려
우리나라는 이미 인구의 50%에 가까운 사람들이 감염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은 1차 87.9%, 2차 87.1%, 3차 65.6%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보건당국이 전국 1만 명의 항체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의 97.8%가 항체 양성을 보이고 있다. 이 중 57.7%는 자연 감염, 나머지는 백신 접종에 의한 감염이었다.
혼합 면역(hybrid immunity)이 90% 이상임에도 환자가 다시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집단면역 ‘한계치(threshold)’에 도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상과 달리 변이종이 계속 발생하면서 백신에 대한 면역 회피가 일어나고 있다. 홍역이나 두창처럼 전신면역(systemic immunity), 즉 영구면역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연 감염과 예방접종에 의한 방어효과가 6개월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이유다.
또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56%가 무증상이다. 검역 등을 통한 지역사회 전파 차단이 어렵다. 장기간의 유행으로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방역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는 점도 원인 중 하나다. 코로나19에 감염됐으나 진단을 받지 않거나 무증상 감염된 ‘미확진 감염자’(숨은 감염자)는 19.5%에 달한다.
무엇보다도 백신 접종이 가장 중요한 정책 수단이지만 현재 사용 중인 백신은 접종 후 집단면역을 획득해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보다 중증환자 감소와 사망 예방에 초점을 두고 개발됐다. 코로나19 정책이 고위험자 보호 전략에 맞춰져 있다는 의미다.
○ 겨울 유행 대비, 백신 추가 접종 필수
우리나라는 이미 인구의 50%에 가까운 사람들이 감염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은 1차 87.9%, 2차 87.1%, 3차 65.6%로 다른 나라와 비교해 높은 수준이다. 보건당국이 전국 1만 명의 항체 조사를 실시한 결과 국민의 97.8%가 항체 양성을 보이고 있다. 이 중 57.7%는 자연 감염, 나머지는 백신 접종에 의한 감염이었다.
혼합 면역(hybrid immunity)이 90% 이상임에도 환자가 다시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집단면역 ‘한계치(threshold)’에 도달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예상과 달리 변이종이 계속 발생하면서 백신에 대한 면역 회피가 일어나고 있다. 홍역이나 두창처럼 전신면역(systemic immunity), 즉 영구면역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연 감염과 예방접종에 의한 방어효과가 6개월 이상 지속되지 못하는 이유다.
또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의 56%가 무증상이다. 검역 등을 통한 지역사회 전파 차단이 어렵다. 장기간의 유행으로 마스크 쓰기,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방역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는 점도 원인 중 하나다. 코로나19에 감염됐으나 진단을 받지 않거나 무증상 감염된 ‘미확진 감염자’(숨은 감염자)는 19.5%에 달한다.
무엇보다도 백신 접종이 가장 중요한 정책 수단이지만 현재 사용 중인 백신은 접종 후 집단면역을 획득해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보다 중증환자 감소와 사망 예방에 초점을 두고 개발됐다. 코로나19 정책이 고위험자 보호 전략에 맞춰져 있다는 의미다.
○ 겨울 유행 대비, 백신 추가 접종 필수
올겨울 코로나가 다시 유행한다면 대책은 무엇일까? 오미크론 변이로 일일 확진자가 하루 62만 명, 일일 사망자는 390명 이상이던 올해 3월 당시의 규모로 다시 유행할까?
답은 새로운 변이가 확산돼도 이미 백신 접종률이 높기 때문에 대유행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정밀한 예측은 진행 추이에 따라 수정되겠지만 하루 확진자가 최대 10만 명 내외 정도로 발생한다는 예측이 중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선 입원을 요하는 위중증 환자 발생과 사망을 줄이기 위한 감염 의심자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신속한 진단은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백신 접종이 관건이다. 추가 접종률이 1개월 전과 비교해 더 오르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을 정확히 분석해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 접종 인구가 50% 이상 넘으면 추가 접종의 한계 효용은 낮아지지만 미접종자에 비해 2차 접종자는 69.7%, 3차 접종자는 95.0% 정도 중증화 위험이 낮아진다.
4차 접종자의 경우 사망 위험은 미접종자에 비해 83.7%, 2차 접종자에 비해 64.8%, 3차 접종자에 비해 14.0%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접종은 매우 중요하다. 추가 접종 효과는 적어도 3개월 유지되기 때문에 겨울 대책으로 꼭 필요하다. BA.75.2, XBB, BA.4.6, BF.7, BQ.1.1 등 매번 새 변이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백신은 현실적으로 생산,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변이에 맞춘 백신보다 빠른 추가 접종이 방어 효과가 크다.
‘동절기 일제 접종’은 기본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의 면역력을 다시 올릴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과학적 설득도 필요하다. 소아청소년층의 미접종이 약 30%에 달하는 이유는 코로나19에 감염돼도 무증상 혹은 증상이 가볍지만, 상대적으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부작용(심장염)은 위중하다고 오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장염은 사춘기에서 10만 명당 4.6명으로 매우 드물고, 예후도 양호하다.
○ 또 다른 전염병 유행 대비해야
셋째, 계절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예측된다. 의료체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진료가 마비돼 사망자가 증가할 수 있다. 고위험 집단은 12월 말 이전에 독감 접종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넷째, 코로나19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변이종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정보 공유, 국경 관리 등에서 국가 간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다. WHO는 ‘국제보건규칙 개정으로 전염병 권고사항, 실시간 보고 및 감독 등을 강화하자’고 주장한다. 유럽 등은 대유행 예방조약 제정으로 국가수반 책임 체계로 바꾸면서 각종 보고와 권고 이행의 강제성, 보건의료체계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국제적 흐름에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일본-중국의 협력과 공조가 중요하다.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질병 정보와 이에 합당한 국경 개방은 중요한 이슈임에도 상호 호혜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동북아 지역 방역 협력은 변이종 유입, 또 다른 신종 감염병 유입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난 3년을 되돌아봐야 한다. 우리는 코로나19 대응에서 한계를 경험했다. 전 세계는 코로나19 유행을 종식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그러나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지식과 사실’, 우리가 알아야 할 ‘진실’, 우리의 퇴치 열망에 비해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것(실행)’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그 간극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이 간극을 파악하기 위한 증거 중심, 과학적 접근은 미흡하다. 진실을 알기 위한 각종 감시망 구축, 백신 연구,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등 공중보건과 과학에 대한 투자가 더 필요하다. 또한 같은 사실에 대한 학자들 간 해석 차이는 학자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한 반성을 가져오게 했다.
WHO의 예방접종자문 그룹인 전문가전략자문그룹(SAGE), 영국 정부의 코로나19 비상사태 과학자문그룹(SAGE) 등의 사례를 통해 전염병 대유행 시 의사 결정, 이해관계 배제 등 자문기구의 합리적 운영을 구축해야 한다. 또 각종 전염병 대응 정책 선택 시 정부와 학계, 이해당사자가 참여해 투명한 자료에 근거해 의사를 결정하고, 이를 제도화하고 실행한 후 적절한 보완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답은 새로운 변이가 확산돼도 이미 백신 접종률이 높기 때문에 대유행 가능성은 작다는 것이다. 정밀한 예측은 진행 추이에 따라 수정되겠지만 하루 확진자가 최대 10만 명 내외 정도로 발생한다는 예측이 중론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선 입원을 요하는 위중증 환자 발생과 사망을 줄이기 위한 감염 의심자의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신속한 진단은 전파를 사전에 차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백신 접종이 관건이다. 추가 접종률이 1개월 전과 비교해 더 오르지 않고 있다. 그 원인을 정확히 분석해 국민을 설득해야 한다. 접종 인구가 50% 이상 넘으면 추가 접종의 한계 효용은 낮아지지만 미접종자에 비해 2차 접종자는 69.7%, 3차 접종자는 95.0% 정도 중증화 위험이 낮아진다.
4차 접종자의 경우 사망 위험은 미접종자에 비해 83.7%, 2차 접종자에 비해 64.8%, 3차 접종자에 비해 14.0%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추가 접종은 매우 중요하다. 추가 접종 효과는 적어도 3개월 유지되기 때문에 겨울 대책으로 꼭 필요하다. BA.75.2, XBB, BA.4.6, BF.7, BQ.1.1 등 매번 새 변이에 효과가 있는 새로운 백신은 현실적으로 생산, 공급이 어렵다. 따라서 변이에 맞춘 백신보다 빠른 추가 접종이 방어 효과가 크다.
‘동절기 일제 접종’은 기본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의 면역력을 다시 올릴 수 있는 좋은 방안이다.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사람들에게 과학적 설득도 필요하다. 소아청소년층의 미접종이 약 30%에 달하는 이유는 코로나19에 감염돼도 무증상 혹은 증상이 가볍지만, 상대적으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의 부작용(심장염)은 위중하다고 오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심장염은 사춘기에서 10만 명당 4.6명으로 매우 드물고, 예후도 양호하다.
○ 또 다른 전염병 유행 대비해야
셋째, 계절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다. 코로나19에 대한 면역력이 낮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독감과 코로나19가 동시에 유행할 가능성이 예측된다. 의료체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진료가 마비돼 사망자가 증가할 수 있다. 고위험 집단은 12월 말 이전에 독감 접종을 완료할 필요가 있다.
넷째, 코로나19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변이종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정보 공유, 국경 관리 등에서 국가 간 협력과 공조가 필요하다. WHO는 ‘국제보건규칙 개정으로 전염병 권고사항, 실시간 보고 및 감독 등을 강화하자’고 주장한다. 유럽 등은 대유행 예방조약 제정으로 국가수반 책임 체계로 바꾸면서 각종 보고와 권고 이행의 강제성, 보건의료체계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국제적 흐름에 정부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일본-중국의 협력과 공조가 중요하다. 코로나19 유행에 따른 질병 정보와 이에 합당한 국경 개방은 중요한 이슈임에도 상호 호혜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동북아 지역 방역 협력은 변이종 유입, 또 다른 신종 감염병 유입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난 3년을 되돌아봐야 한다. 우리는 코로나19 대응에서 한계를 경험했다. 전 세계는 코로나19 유행을 종식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그러나 우리가 현재 알고 있는 ‘지식과 사실’, 우리가 알아야 할 ‘진실’, 우리의 퇴치 열망에 비해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것(실행)’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그 간극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도 이 간극을 파악하기 위한 증거 중심, 과학적 접근은 미흡하다. 진실을 알기 위한 각종 감시망 구축, 백신 연구, 시나리오별 시뮬레이션 등 공중보건과 과학에 대한 투자가 더 필요하다. 또한 같은 사실에 대한 학자들 간 해석 차이는 학자의 역할이 무엇인가에 대한 반성을 가져오게 했다.
WHO의 예방접종자문 그룹인 전문가전략자문그룹(SAGE), 영국 정부의 코로나19 비상사태 과학자문그룹(SAGE) 등의 사례를 통해 전염병 대유행 시 의사 결정, 이해관계 배제 등 자문기구의 합리적 운영을 구축해야 한다. 또 각종 전염병 대응 정책 선택 시 정부와 학계, 이해당사자가 참여해 투명한 자료에 근거해 의사를 결정하고, 이를 제도화하고 실행한 후 적절한 보완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이종구 의학한림원 코로나특위 위원장(외교부 글로벌보건안보대사)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폭 3.2m ‘죽음의 골목’, 청년들 앗아갔다
- 尹대통령 “참담… 원인 철저조사”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
- 與 “사고 수습기간 정쟁 멈추자” 野 “초당적 협력”
- 13만명 몰린 핼러윈 행사에 경찰 137명뿐… 보행 통제도 안해
- 이태원 참사, 60여년전 부산 67명-서울역 31명 압사 훌쩍 넘어
- 중국-일본-이란-우즈베크… 외국인 희생자도 26명
- CNN “韓당국, 인파 실시간 모니터링 했어야” 아사히 “좁은 공간 대비못해”
- 日 핼러윈, 경찰이 마이크 잡고 “질서 유지”… 민간 경비인력도 투입
- 바이든 “비극에 韓과 함께할 것”… 마크롱 “참사 위로” 한글 애도
- 핼러윈, 영어유치원-테마파크 통해 확산… MZ세대 놀이문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