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N “韓당국, 인파 실시간 모니터링 했어야” 아사히 “좁은 공간 대비못해”
홍정수 기자 2022. 10. 31. 03:0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주요 외신들은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를 일제히 머리기사로 다뤘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방역 기준이 완화된 뒤 첫 핼러윈데이인 만큼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음에도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경찰이 잘 보이지 않았다는 현장 취재를 바탕으로 사고 예방 대책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
외신들도 주요 뉴스 보도
AP “공공안전 개선요구 이어질듯”
WSJ “한국 핼러윈은 클럽 행사”
외신들도 주요 뉴스 보도
AP “공공안전 개선요구 이어질듯”
WSJ “한국 핼러윈은 클럽 행사”
주요 외신들은 29일 서울 이태원에서 발생한 압사 참사를 일제히 머리기사로 다뤘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방역 기준이 완화된 뒤 첫 핼러윈데이인 만큼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음에도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경찰이 잘 보이지 않았다는 현장 취재를 바탕으로 사고 예방 대책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존제이형사사법대 브라이언 히긴스 교수는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사람이 너무 많아지면 출구 표지판이나 교통수단 등의 안내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이번 사건 때) 그 무엇도 적재적소에 없었던 것 같다”며 “충분한 현장 인력과 계획이 없었던 것이 꽤 분명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NYT는 “한국은 수십 년간 정치적 시위 등 대규모 집회를 통제해 온 경험이 있는 나라”라며 “최근 정치(집회)의 경우 경찰이 시위대보다 많아 보이는데, 이번 참사와는 대조되는 모습”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CNN은 경찰 사전 배치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은 당국이 인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대응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에 살고 있는 스페인 출신 마르코 모레이 씨는 미 워싱턴포스트(WP)에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과 녹사평역 근처에서 교통경찰을 몇 명 본 것이 전부”라고 전했다. 김서정 씨는 NYT에 “경찰관 몇 명이 뒤늦게 달려와 호루라기를 불며 사람들을 통제하려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전했다.
도로가 좁은 이태원의 특성상 사전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해야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2020 도쿄 올림픽 경비 총책임자였던 요네무라 도시로 전 일본 경시청장은 30일 아사히신문 인터뷰에서 “좁은 장소는 사전에 확인하고 사람이 움직이는 요인이 없는지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많은 사람이 모인 (좁은) 곳에서는 인파의 흐름이 갑자기 변하게 되면 손을 쓰기 어렵다”고 말했다.
군중 안전 문제 전문가인 키스 스틸 영국 서퍽대 교수는 WP에 “좁고 막힌 공간에서 군중이 한번에 쓰러지면 다시 일어날 수가 없다”며 사고 원인을 ‘도미노 효과’에 비유했다. 재난 관리 전문가 줄리엣 카이엠은 CNN에 “좁고 막다른 골목에 있었던 사람들이 공황 상태에 빠지면서 더 치명적인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AP통신은 이번 이태원 참사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8년 만에 발생한 대규모 인명 피해라는 점을 지적하며 “세월호 사건 이후 정부가 실시해 온 공공안전 개선책에 대해 조사하라는 대중의 요구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BBC는 참가 인원 제한이 없었던 점에 주목하면서 “(적절한) 안전 기준과 군중 통제가 취해졌는지로 관심이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국에서 핼러윈이 (외국과는 달리) 20대 파티 애호가들이 특별한 의상을 차려입는 클럽 행사로 변질됐다”고 전했다.
존제이형사사법대 브라이언 히긴스 교수는 미국 뉴욕타임스(NYT)에 “사람이 너무 많아지면 출구 표지판이나 교통수단 등의 안내가 원활하게 이뤄져야 한다. (이번 사건 때) 그 무엇도 적재적소에 없었던 것 같다”며 “충분한 현장 인력과 계획이 없었던 것이 꽤 분명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NYT는 “한국은 수십 년간 정치적 시위 등 대규모 집회를 통제해 온 경험이 있는 나라”라며 “최근 정치(집회)의 경우 경찰이 시위대보다 많아 보이는데, 이번 참사와는 대조되는 모습”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CNN은 경찰 사전 배치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은 당국이 인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대응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에 살고 있는 스페인 출신 마르코 모레이 씨는 미 워싱턴포스트(WP)에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과 녹사평역 근처에서 교통경찰을 몇 명 본 것이 전부”라고 전했다. 김서정 씨는 NYT에 “경찰관 몇 명이 뒤늦게 달려와 호루라기를 불며 사람들을 통제하려 했지만 소용이 없었다”고 전했다.
도로가 좁은 이태원의 특성상 사전 예방 조치를 철저히 해야 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2020 도쿄 올림픽 경비 총책임자였던 요네무라 도시로 전 일본 경시청장은 30일 아사히신문 인터뷰에서 “좁은 장소는 사전에 확인하고 사람이 움직이는 요인이 없는지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많은 사람이 모인 (좁은) 곳에서는 인파의 흐름이 갑자기 변하게 되면 손을 쓰기 어렵다”고 말했다.
군중 안전 문제 전문가인 키스 스틸 영국 서퍽대 교수는 WP에 “좁고 막힌 공간에서 군중이 한번에 쓰러지면 다시 일어날 수가 없다”며 사고 원인을 ‘도미노 효과’에 비유했다. 재난 관리 전문가 줄리엣 카이엠은 CNN에 “좁고 막다른 골목에 있었던 사람들이 공황 상태에 빠지면서 더 치명적인 결과가 나왔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AP통신은 이번 이태원 참사가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 8년 만에 발생한 대규모 인명 피해라는 점을 지적하며 “세월호 사건 이후 정부가 실시해 온 공공안전 개선책에 대해 조사하라는 대중의 요구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BBC는 참가 인원 제한이 없었던 점에 주목하면서 “(적절한) 안전 기준과 군중 통제가 취해졌는지로 관심이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국에서 핼러윈이 (외국과는 달리) 20대 파티 애호가들이 특별한 의상을 차려입는 클럽 행사로 변질됐다”고 전했다.
홍정수 기자 hong@donga.com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폭 3.2m ‘죽음의 골목’, 청년들 앗아갔다
- 尹대통령 “참담… 원인 철저조사” 5일까지 국가애도기간
- 與 “사고 수습기간 정쟁 멈추자” 野 “초당적 협력”
- 13만명 몰린 핼러윈 행사에 경찰 137명뿐… 보행 통제도 안해
- 이태원 참사, 60여년전 부산 67명-서울역 31명 압사 훌쩍 넘어
- 중국-일본-이란-우즈베크… 외국인 희생자도 26명
- CNN “韓당국, 인파 실시간 모니터링 했어야” 아사히 “좁은 공간 대비못해”
- 日 핼러윈, 경찰이 마이크 잡고 “질서 유지”… 민간 경비인력도 투입
- 바이든 “비극에 韓과 함께할 것”… 마크롱 “참사 위로” 한글 애도
- 핼러윈, 영어유치원-테마파크 통해 확산… MZ세대 놀이문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