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적불명' 핼러윈에…코로나로 억눌렸던 욕구 폭발

류영욱 2022. 10. 30. 17: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년만에 거리두기 풀리자
예년보다 많은 방문객 쏟아져

◆ 이태원 대참사 ◆

핼러윈 인파에 참사 벌어진 이태원 [사진 = 연합뉴스]
150명이 넘는 사망자를 낸 '이태원 압사 참사'의 배경에는 좁디좁은 서울 용산구 이태원 골목길에 수만 명의 인파를 몰리게 한 핼러윈이 있었다. 고대 유럽 부족의 축일에서 시작된 핼러윈은 영미권을 거쳐 2010년대부터 국내에서 본격적으로 퍼졌다. 이 과정에서 핼러윈이 지나치게 상업주의로 흐른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됐다.

특히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한 거리 두기 조치가 해제되면서 사회 활동에 갈증을 느낀 젊은이들이 핼러윈을 맞아 대거 이태원에 몰려 대형 참사가 터지게 됐다.

핼러윈은 고대 켈트족이 한 해 마지막 날을 기념하는 '서우인(Samhain)' 축제에서 기원했다고 알려졌다. 이후 가톨릭 축일인 '만성절' 전야제와 결합돼 매년 10월 31일 영미권에서 광범위하게 즐기는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한국에서는 12년 전부터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핼러윈이 대중화됐다. 외국인 방문객 비율이 높은 서울 이태원, 홍대 클럽 등을 중심으로 핼러윈 기념 행사가 열리면서 국내 젊은이들의 이목을 끈 것이다. 여기에 연예인과 인플루언서들도 가세하면서 최근 들어 젊은이들이 즐기는 중요한 기념일로 자리 잡았다. 문제는 핼러윈이 국내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상업주의 색채가 짙어지며 퇴폐적이고 자극적으로 소비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도 올해는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억눌렸던 젊은이들 욕구가 분출돼 대규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 2017년 핼러윈 당시 이태원 일대 유동인구는 20만명이었는데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방역 조치가 강했던 지난해에는 방문객이 8만여 명에 그쳤다. 올해는 3년 만에 영업시간 제한이나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등 규제가 대부분 해제돼 예년보다 더 많은 인파가 몰려 대형 참사의 단초가 됐다.

[류영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