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압사 참사, 심폐소생술 `골든타임 4분` 놓친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태원에서 발생한 우리나라 최악의 압사 사고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10만명 넘게 몰린 인파가 꼽힌다.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구조에 한계가 생겨 심폐소생술(CPR)의 '골든타임'인 4분내 처치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에서 발생한 우리나라 최악의 압사 사고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10만명 넘게 몰린 인파가 꼽힌다. 좁은 공간에 많은 사람이 몰리면서 구조에 한계가 생겨 심폐소생술(CPR)의 '골든타임'인 4분내 처치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염건웅 유원대학교 경찰소방행정학 교수는 30일 오전 YTN '굿모닝와이티엔'과 인터뷰에서 이번 사고와 관련해 "해밀턴호텔 옆에 있는 골목길에 수용할 수 없을 정도의 인원이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움직이기 어려웠다"며 "사고 지점은 내리막길이었고, 뒤에 있던 사람들이 밀려 넘어지면서 쌓여 버틸 수 없는 상황이 된 것"이라고 밝혔다.
염 교수는 "압박이 오면 쇼크로 심정지 상태가 되고, 온몸에 피가 안돌아 뇌혈관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며 "의료계에서는 심폐소생술의 골든타임을 4분으로 잡고 있으며 이 시간 내 심장박동이 돌아오게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소방당국이 신고를 받고 빨리 출동했지만 이태원 근처 도로가 마비돼 있었다"며 "도착한 구조대와 시민 등 현장에 있는 분들 모두 최선을 다해서 구조했지만 정말 많은 인파가 좁은 골목에 있어 안타깝게 사망자가 많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 초기 화면을 보면 벽을 잡으면서 압사당하지 않게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는 분들의 모습이 보인다"며 "소방대원과 경찰들이 사람을 끌어내려고 잡아끌고 몸을 당기는데도 사람이 끼어 있어 절대 빠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노영선 서울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역시 같은 방송사 '뉴스특보'에 출연해 CPR을 하기 어려운 현장 상황이 이어졌다고 언급했다.
먼저 노 교수는 "심정지의 경우 CPR 골든타임은 4분 이내며, 심장이 멎은 직후부터 CPR을 시행한다면 사실 환자의 심장이 다시 소생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지고 뇌신경학적으로 성장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도 커진다"고 강조했다.
노 교수는 이번 사고 규모가 커진 이유에 대해 "환자에게 CPR을 실시하려면 먼저 구조해 평평한 곳에 눕혀야하는데 이번 사고에서는 이 과정까지 시간이 오래 걸린 것으로 보인다"며 "저희도 현장에서 CPR 하면서 이동한 케이스가 2건 있었는데 2건 모두 안타깝게 사망했다"고 말했다.
노 교수는 "CPR을 전문적으로 배우거나 실행 해본 경험이 없더라도 응급 상황에서는 시도해보는 것이 좋지만 산소를 투여해 주는 등의 조치는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처치가 아닌 만큼 빠르게 119에 신고하는 것이 할 수 있는 일 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김진수기자 kim89@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태원 참사, 여성 사망자가 왜 많았나…"100명 밀리면 압력만 5톤"
- "온 가족이 난리났는데 살아있다니 다행" vs "사망했대"…희비 엇갈린 가족들
- "살려달라던 사람들 5∼6겹 쌓여, 무덤 같았다"…`핼러윈의 악몽`
- 17세 여성 변사체 발견 충격…"`희잡 의문사` 이란 군경 개입"
- 尹, "너무 긴장말라" 한마디에…생중계 토론장 웃음 터졌다
- "김영선 좀 해줘라" 尹대통령-명태균 녹취록 공개 파장… 대통령실 "공천 지시 아냐, 그저 좋게
- 생산·소비 `동반 추락`… 설비투자 홀로 8.4% 반등
- `합병 SK이노` 1일 출범…무자원 산유국서 `친환경` 에너지강국 도약 이정표
- "기술혁신이 ESG"...AI로 고령화 해결 나선 제약바이오기업들
- "가계대출 총량규제 맞춰라"… 신규억제 넘어 중도상환 유도하는 은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