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품 수집·판매하는 ‘딜렉터’ 등장…젊은층 투자 관심 상당”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9월 글로벌 양대 아트페어인 '프리즈 서울(Frieze Seoul)'과 토종 아트페어인 '한국국제아트페어(Kiaf)'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함께 개최되며 7만 명이 넘는 관람객을 모았다.
"새로운 비즈니스로 부(富)를 일군 자산가와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가 국내 미술 시장 컬렉터로 등장하고 있다. 한국 미술 시장의 세대 전환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 9월 글로벌 양대 아트페어인 ‘프리즈 서울(Frieze Seoul)’과 토종 아트페어인 ‘한국국제아트페어(Kiaf)’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함께 개최되며 7만 명이 넘는 관람객을 모았다. 이러한 분위기는 자신의 취향을 투영하는 대상이자 자산 증식 수단으로 미술품을 바라보는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의 등장과 관련이 깊다. 이들은 저상장 시대 투자 대체재로서 ‘아트테크(아트+재테크) 열풍’을 주도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 거래에도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 이코노미조선이 MZ 세대를 중심으로 올해 사상 처음 미술품 거래액 1조원대를 넘보고 있는 국내 미술 시장 대중화 현상을 분석한 배경이다. [편집자주]
“새로운 비즈니스로 부(富)를 일군 자산가와 MZ 세대(밀레니얼+Z 세대·1981~2010년생)가 국내 미술 시장 컬렉터로 등장하고 있다. 한국 미술 시장의 세대 전환기다.”
10월 7일 홍익대 연구실에서 만난 주연화 홍익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부교수는 현 국내 미술 시장의 특징과 변화를 이같이 압축했다. 그는 갤러리현대, 아라리오갤러리 등 미술 현장에서 큐레이터, 총괄디렉터로 20여 년간 일한 미술경영 및 기획 전문가다. 지난 2020년부터는 홍익대에서 미술 시장과 경영, 전시·기획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 국내 미술 시장의 특징과 변화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는 온라인, 모바일 등 새로운 비즈니스로 부를 일군 자산가들과 MZ 세대의 등장이다. 한국 미술 시장의 컬렉터 세대 전환이 이뤄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새로운 기술, 산업이 발전할 때마다 신흥 부자가 등장했고, 이들은 고가의 미술품을 구매하며 시장의 ‘큰손’으로 자리 잡았다. 이에 힘입어 시장 규모도 커졌다. 현재 한국 미술 시장이 이런 시기에 있다고 본다.”
MZ 세대의 유입도 두드러진다.
“두 번째 변화다. MZ 세대는 문화·예술적으로 부유하게 자랐다. 자신이 좋아하는 문화·예술 작품을 ‘소장’하며 즐기는 게 몸에 뱄다. 이른바 컬렉션 DNA다. 결혼도 잘 하지 않는다. 일하며 번 돈을 자신을 위해 쓸 수 있는 환경을 갖췄다. MZ 세대는 앞으로 미술 시장을 이끌 핵심 주체가 될 것이다. 물론 자본력을 갖춘 밀레니얼 세대는 미술 시장에 이미 들어와 있다. 국내 미술 시장의 컬렉터를 세대별로 보면, 베이비부머 세대(1955~ 64년생) 20%, X 세대(1965~80년생) 40%, 밀레니얼 세대 40% 정도다. Z 세대(1997~2010년생)는 미술품을 구매하고 싶은 욕구는 강하지만, 아직 자본력이 부족하다.
세대별 특징을 보자. 미술 시장에서 자주 하는 말로 표현하면 이렇다. 베이비부머 세대는 남이 안 사는 작가의 작품은 절대 사지 않는다. X 세대는 자기가 좋아하는 작품 중 남이 사는 걸 보고 구매한다. Z 세대는 남 신경 쓰지 않고 자기가 좋아하는 걸 산다. 밀레니얼 세대는 Z 세대보다 남을 조금 더 신경 쓴다.”
또 다른 변화가 있다면.
“기존 미술 시장은 작품을 수집하며 즐기는 컬렉터, 투자 목적으로 작품 구매 후 판매를 하는 딜러로 구분한다. 그러나 최근 수집과 판매를 함께하는 ‘딜렉터(Deallector)’가 등장했다. 젊은 사람들을 중심으로, 미술품을 구매할 때 기본적으로 투자적 관심이 상당하다. 또 미술 시장에서 갤러리(화랑)는 작가의 작품을 판매하는 1차 시장이고, 작품을 구매한 컬렉터들이 다시 작품을 판매하는 통로인 경매는 2차 시장으로 여겼지만, 현재는 이런 1, 2차 시장의 기준과 역할이 모호해지고 있다.”
미술품의 온라인 거래도 활발해지고 있다.
“신흥 부자, MZ 세대의 공통된 특징이 온라인에 능통하다는 것이다. 사실 미술 시장은 과거에도 온라인화돼 있었다. 그러나 직접 현장에서 작품을 보고 구매해야 한다는 미술 시장의 특성 때문에 활성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이 터졌고, 미술품 현장 거래가 어려워지자 온라인 거래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국내 미술 시장이 성장하려면.
“다양한 스타일의 작가가 꾸준히 등장해야 한다. 물론 말은 쉽지만, 현실은 쉽지 않다는 걸 잘 안다. 그러나 가치를 인정받는 인기 많은 몇 명의 작가에게만 의존하면 시장이 성장할 수 없다. 고객 측면에서도 남이 사는 작품을 따라 구매하는 것보다는 자기의 취향을 알고 구매하는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 미술 시장에서 MZ 세대가 주목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더 많은 기사는 이코노미조선에서 볼 수 있습니다.
<관련 기사>
Part 1. 문화가 된 미술품 향유 시대
· 한국 미술 시장 1조 돌파 눈앞
· [Infographic] 미술 시장 대중화
Part 2. 미술품 대중화를 이끈 사람들
· [Interview] 프랜시스 벨린 크리스티 아시아·태평양 총괄사장
· [Interview] 글로벌 갤러리 ‘리만머핀’ 라셸 리만 공동 창업자·손엠마 서울 수석디렉터
· [Interview]미술 조각투자 플랫폼 테사 김형준 대표
· [Interview] 음정우 서울옥션 블랙랏사업부 이사
Part 3. 전문가 인터뷰
· [Interview] 美 뉴욕 ‘크리스틴 티어니 갤러리’ 최고경영자(CEO) 크리스틴 티어니
· [Interview] 주연화 홍익대 문화예술경영대학원 부교수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준비하러 대학 일찍 간 과학영재들, 조기진학제 손 본다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단독] 서정진 딸 관련 회사 과태료 미납, 벤츠 차량 공정위에 압류 당해
- [단독] ‘레깅스 탑2′ 젝시믹스·안다르, 나란히 M&A 매물로 나왔다
- “트럼프 수혜주”… 10월 韓증시서 4조원 던진 외국인, 방산·조선은 담았다
- 가는 족족 공모가 깨지는데... “제값 받겠다”며 토스도 미국행
- 오뚜기, 25년 라면과자 ‘뿌셔뿌셔’ 라인업 강화… ‘열뿌셔뿌셔’ 매운맛 나온다
- [인터뷰] 와이브레인 “전자약 병용요법 시대 온다… 치매·불면증도 치료”
- ‘꿈의 약’ 위고비는 생활 습관 고칠 좋은 기회... “단백질 식단·근력 운동 필요”
- 위기의 스타벅스, 재택근무 줄이고 우유 변경 무료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