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선암사 등 전국 4개 사찰 일주문, 보물 된다

도재기 기자 2022. 10. 27. 11: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청, 신라 말~조선시대 건축물·승탑 등 8건 보물 지정예고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이 예고된 ‘순천 선암사 일주문’. 문화재청 제공

순천 선암사와 문경 봉암사·대구 동화사·구례 천은사의 일주문, 남원 실상사의 편운화상탑 등 모두 8건의 문화재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순천 선암사 일주문’ 등 사찰의 일주문 4건과 사리탑인 ‘실상사 편운화상탑’, 사찰 건축물인 ‘고성 옥천사 자방루’와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 조선시대 정자와 누각의 다목적 공간인 ‘상주 대산루’ 등 모두 8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27일 밝혔다.

사찰의 일주문은 사찰의 영역을 알리는 정문이자 기둥이 일렬로 서있는 독특한 형식의 건축물이다. ‘순천 선암사 일주문’은 1540년 중창됐으며 앞쪽에 ‘조계산선암사(曹溪山仙巖寺)’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책을 펼쳐 엎어 놓은 것처럼 지붕면이 양면인 맞배지붕에 다포식 공포 양식을 갖추고 있다. 다포식 공포는 공포(지붕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기둥 위에 짜맞춘 구조물)를 기둥 위는 물론 기둥과 기둥들 사이에도 설치해 화려함을 더하는 전통 건축양식의 하나다.

보물로 지정이 예고된 ‘문경 봉암사 일주문’ ‘구례 천은사 일주문’ ‘대구 동화사 일주문’과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 바늘 방향). 문화재청 제공

‘문경 봉암사 봉황문’은 정확한 창건 기록은 없으나 다른 기록들을 통해 1723년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단칸의 맞배지붕과 다포식 공포의 일주문 앞쪽에는 ‘희양산봉암사(曦陽山鳳巖寺)’, 뒤쪽에는 ‘봉황문(鳳凰門)’ 현판이 걸려 있다. 일주문은 단칸 맞배지붕과 다포식 공포로 되어있다. ‘대구 동화사 봉황문’은 1633년(선조 11년) 건립돼 1965년에 현재 위치로 옮겨세웠다. 단칸의 팔작지붕(지붕면이 4면이며 좌우에 삼각형 면이 만들어지는 지붕 형태)에 다포식 공포로 주기둥 옆에 보조기둥을 세운 드문 사례를 보여준다.

‘상주 대산루’(왼쪽)와 ‘고성 옥천사 자방루’. 문화재청 제공

‘구례 천은사 일주문’은 1723년에 창건됐으며, 앞쪽에는 조선 후기 유명 서예가인 원교 이광사(1705~1775)가 화재를 막기위해 흐르는 물같은 글씨체로 썼다는 ‘지리산천은사(智異山泉隱寺)’ 현판이 걸려있다. 대부분의 일주문은 문지방이 목재인데 석재로 된 문지방석이 있다. 경남 고성의 ‘고성 옥천사 자방루’는 1664년에 법당 맞은편에 건립된 뒤 1764년에 누각형태로 중창됐다. 앞쪽에는 ‘옥천사(玉泉寺)’, 뒤쪽에는 ‘자방루(滋芳樓)’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상주 대산루’는 예학의 대가로 불린 우복 정경세(1563~1633)가 낙향한 후 학문을 닦은 장소로 1602년에 건축된 뒤 1778년에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바뀐 누정 겸 서재다. 종갓집의 학문과 교류의 거점 역할을 해 조선시대 지방 선비의 학문적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 단층의 정자 형태의 집과 누각으로 구성된 다목적 공간이다. ‘성남 봉국사 대광명전’은 조선 현종의 딸들이 잇달아 세상을 떠나자 이들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실 주도로 창건한 절인 봉국사의 불전이다. 대광명전은 1674년 봉국사 창건과 함께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신라 말기 고승인 편운화상의 부도탑인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 문화재청 제공

‘남원 실상사 편운화상탑’은 신라 말기 고승인 편운화상(片雲和尙·?~910)의 사리탑(승탑)으로 910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말~고려 초의 사리탑은 팔각형태가 많지만 편운화상탑은 향완 형상과 비슷하며, 비례미 등이 뛰어나 예술적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8건의 문화재에 대해 30일 간의 예고 기간 동안 의견을 수렴한 후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도재기 기자 jaeke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