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착] 흡족한 푸틴 표정…쉴 새 없이 발사된 미사일, 핵 훈련 공개(영상)

송현서 2022. 10. 27. 09: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 국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핵전쟁 훈련인 '그롬'(Grom·우뢰)을 실시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탄도·순항 미사일의 발사 등 대규모 핵 공격 훈련을 참관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방부는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등 전략핵무기 점검 훈련을 실시했다며 관련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탄도·순항 미사일의 발사 등 대규모 핵 공격 훈련을 참관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러시아가 미국 등 서방 국가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핵전쟁 훈련인 ‘그롬’(Grom·우뢰)을 실시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이하 나토)가 진행 중인 핵억지 연습인 ‘테드패스트 눈’(Steadfast Noon)에 맞선 훈련으로, 우발적 핵 충돌 긴장이 커지고 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탄도·순항 미사일의 발사 등 대규모 핵 공격 훈련을 참관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방부는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과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등 전략핵무기 점검 훈련을 실시했다며 관련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바다에서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이 발사됐고, 하늘에는 공중 폭격기가 쉴 새 없이 날아올랐다.

북극해 바렌츠해에서는 핵잠수함이 등장했다. 러시아의 전략핵잠수함인 툴라에서 SLBM인 시네바를 발사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북극해 바렌츠해에서는 핵잠수함이 등장했다. 러시아의 전략핵잠수함인 툴라에서 SLBM인 시네바를 발사했다. 시네바 SLBM은 핵탄두 10개를 탑재한 다탄두 미사일로, 최대사거리는 1만1000㎞에 달한다.

공개된 영상에서는 시네바가 수면에서 공중으로 치솟은 뒤 구름 속으로 사라지는 모습을 생생하게 담고 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탄도·순항 미사일의 발사 등 대규모 핵 공격 훈련을 참관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이밖에도 야르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킨잘 미사일, 이스칸데르 전술 탄도·순항 미사일, 지르콘 극초음속 미사일 등의 발사 장면도 공개됐다. 러시아군은 모든 미사일이 지정한 목표물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크렘린궁 상황실에서 원격으로 훈련에 참관했으며, 훈련 장면을 보며 고개를 끄덕이거나 옅은 미소를 짓는 등 만족스러운 표정 짓기도 했다.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은 25일(현지시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탄도·순항 미사일의 발사 등 대규모 핵 공격 훈련을 참관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연합뉴스

푸틴 대통령은 이날 열린 독립국가연합(CIS) 정보기관장들과 회의에서 “지역 및 세계의 분쟁 가능성이 여전히 높다”며 “우리는 우크라이나의 ‘더티밤’(dirty bomb) 사용 계획을 알고 있다”고 재차 주장했다.

더티밤은 재래식 폭탄에 핵 물질을 조합한 폭탄으로, 핵폭탄에 비해 위력은 약하지만 광범위한 방사능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비인도적 무기다.

우크라이나와 미국은 러시아의 더티밤 관련 주장이 허위이며, 오히려 러시아가 겉으로는 우크라이나 소행이라고 주장하면서 스스로 더티밤을 터트리거나 핵무기 동원 책임을 떠넘기려는 ‘거짓 깃발’(기만) 전술일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의 핵 훈련은 우크라이나 침공 직전인 지난 2월 19일 이후 8개월여 만이다. ‘그롬’ 훈련은 매년 실시되어 왔지만, 올해처럼 1년에 2차례 진행된 것은 이례적이다.
 

송현서 기자 huimin0217@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