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계고 취업률 57.8%, 전년보다 2.4%p↑…2년 연속 증가

서한샘 기자 2022. 10. 26. 12: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진로 결정 못한 미취업자 수·비율 2년째 감소…전체 21.6% 수준
1년 뒤 유지취업률 64.3%…군 입대 영향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서울 직업계고 동문기업 취업박람회에서 학생들이 면접을 보고 있다. /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서한샘 기자 = 직업계고 학생들의 취업률이 전년보다 2.4%p 올라 57.8%로 집계되면서 2년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이나 진학, 입대 등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미취업 상태로 남은 학생은 2년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2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2020년부터 건강보험(직장)과 고용보험 등 공공데이터베이스와 연계해 취업률·유지취업률·진학률 등을 조사하고 있다.

지난 1·2월 특성화고와 산업연계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 등 직업계고를 졸업한 학생 7만6760명의 취업 현황을 4월1일 기준으로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 졸업생 가운데 3만4686명(45.2%)이 진학했고, 2만2709명(29.6%)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이나 진학, 입대 등 진로를 결정하지 못해 미취업 상태로 남은 학생은 1만6550명(21.6%)으로 2년 연속 수와 비율 모두 줄었다. 2020년 미취업자는 2만4290명(27.0%), 2021년에는 1만8211명(23.1%)이었다.

취업률은 2020년 50.7%에서 2021년 55.4%, 2022년 57.8%로 2년 연속 상승했다. 여학생의 취업률(59.7%)이 남학생(56.6%)보다 3.1%p 높았다.

직업교육 분야 특수목적고등학교인 마이스터고의 취업률은 전년보다 2.5%p 올라 가장 높은 취업률(77.5%)을 기록했다. 이어 특성화고 55.5%, 일반고 직업반 40.8% 순이었다. 특성화고와 일반고 직업반 취업률은 각각 전년보다 2.1%p, 4.9%p 올랐다.

학교 소재 지역별 취업률은 수도권 소재 직업계고 56.5%, 비수도권 59.0%로 비수도권이 2.5%p 높았다.

시·도별로는 경북(67.9%)이 가장 높았으며 대구(65.8%) 대전(63.7%) 충북(58.7%) 제주(58.2%) 인천(58.0%) 등 순이었다. 세종은 47.2%로 가장 낮은 취업률을 보였다.

2022년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통계 가운데 취업률, 진학률, 졸업자 중 취업자 비율 추이. (교육부 제공)

◇ 1년 뒤 유지취업률 64.3%…여성 72.6%, 남성 58.9%

지난해 2월 직업계고 졸업자의 1년 뒤 유지취업률은 64.3%로 나타났다. 2021년 4월1일자로 취업했던 직업계고 졸업생 중 64.3%가 1년이 지난 올해 4월1일 기준으로도 취업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다. 취업 후 6개월 만인 지난해 10월1일 조사한 1차 유지취업률은 78.3%였다.

교육부는 6개월, 1년, 1년6개월이 지난 뒤에도 취업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유지충원율 지표로 취업의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있다.

2020년 직업계고 졸업자의 1년6개월 뒤 유지취업률은 61.9%로 집계됐다. 이들의 유지취업률은 6개월 뒤 77.3%, 1년 뒤 65.0%, 1년6개월 뒤 61.9%로 점차 하락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유지취업률은 1차에서 3차로 흐를수록 떨어지지만 본 조사 이후 취업하는 신규 취업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1년 뒤 유지취업률은 여성(72.6%)이 남성(58.9%)보다 13.7%p 높았다. 1년6개월 뒤 유지취업률은 이보다 더 격차가 벌어져 여성(73.7%)이 남성(53.7%)보다 20.0%p 높게 나타났다.

교육부 관계자는 "남성의 경우 취업 후 군에 입대하는 고졸 취업자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1년 뒤 유지취업률 역시 마이스터고가 66.8%로 가장 높았다. 이어 특성화고(64.0%) 일반고 직업반(57.3%) 순이었다.

시·도별 1년 뒤 유지취업률은 대전(71.2%)이 가장 높았으며 인천(71.1%) 서울(68.6%) 충북(67.5%)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2021년 직업계고 졸업자 성별 2차 유지취업률. (교육부 제공)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부는 고교 취업연계 장려금, 현장실습 기업현장교사 지원금, 취업지원센터 운영, 고졸자 후속관리 모델 개발 등 기존 취업지원 정책을 이어가기로 했다.

이와 동시에 채용연계형 직무교육과정을 확대·운영하고 직업계고 신기술·신산업 분야 학과 개편 지원, 직업교육 혁신지구 사업 등으로 직업계고 경쟁력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직무 현장에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한 노력이 취업률 2년 연속 상승이라는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진로 발굴, 사회 안착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 직업계고 졸업자 취업률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sae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