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버린 아프간 특수부대 러 우크라 침공군 가세하나

유철종 2022. 10. 26. 11:0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하기 위해 탈레반 집권 이후 버려진 전 아프가니스탄 특수부대원들을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25일(현지시간) 지난해 아프간이 탈레반에 점령됐을 때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에 의해 버려진 아프간 육군 특수부대 '특전군단' 대원들이 러시아군에 가세해 우크라이나전에 참전하라는 제안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포린폴리시 "탈레반 탄압 피해 대원 대거 러시아행" 보도
"오갈데 없는 1만 정예병…우크라전 '게임체임저' 될 수도"
2021년 활동 당시 아프간 특수부대원들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유철종 기자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 투입하기 위해 탈레반 집권 이후 버려진 전 아프가니스탄 특수부대원들을 모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FP)는 25일(현지시간) 지난해 아프간이 탈레반에 점령됐을 때 미국과 서방 동맹국들에 의해 버려진 아프간 육군 특수부대 '특전군단' 대원들이 러시아군에 가세해 우크라이나전에 참전하라는 제안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아프간 특전군단은 미군의 훈련을 받고 거의 20년 동안 미국 및 다른 서방 동맹국 특수부대와 함께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단체 탈레반 등과 싸우며 대테러작전을 수행한 정예부대다.

약 2만~3만 명의 이 부대 소속 특공대원들은 지난해 8월 미국이 아프간을 탈레반에게 넘겨준 뒤 오갈 데 없는 패잔병 신세로 전락했다.

친미 아프간 정권이 붕괴하면서 수백 명의 고위 장교들은 탈레반의 복수를 피해 미국 등으로 도피했고, 병사 수천명은 이웃 국가로 도주하거나 아프간 안에서 숨어지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상황에서 고도로 숙련된 전투력을 갖춘 이 아프간 특공대원들이 용병 모집 요원들의 주요 타깃이 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러시아가 이들에게 눈독을 들이고 있다고 아프간 보안 소식통들이 전했다.

아프간 특전군단 장교를 지낸 전직 관리는 러시아의 민간 용병 기업 '와그너'가 아프간 특수부대원 모집의 배후라고 말했다.

2021년 8월 철수하는 미군 수송기 따라 살려달라 달리는 아프간인들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그는 "와그너 그룹이 여러 곳에서 사람들을 모으고 있다"면서 "이는 추정이 아니라 사실"이라고 주장했다.

일부 전 아프간 특수부대원들은 왓츠앱이나 시그널 등의 메신저 앱을 통해 우크라이나에서 싸울 러시아군 '외국 군단'에 참여하라는 제안을 밝혔다.

아프간 군사·안보 소식통은 최대 1만 명의 전 특공대원들이 러시아 측 제안에 응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이들이 가세할 경우 우크라이나전에서 고전하는 러시아군에 '게임 체인저' 역할을 할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고 FP는 소개했다.

다른 군사 소식통은 "그들은 조국을 잃었고, 직업도 장래도 없다. 더는 잃을 것이 없다"고 아프간 특수부대원들이 러시아의 제안에 끌리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 소식통은 "그들은 파키스탄이나 이란에서 하루 3~4달러를 받고도 일하고 싶어하는데, 와그너 그룹이 와서 다시 전투원이 되는데 1천 달러를 주겠다고 하면 분명 거절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간에 은신 중인 35세의 전 특전군단 대위는 다수의 예전 동료들이 이란에 있는 러시아 측 용병 모집 사무소와 연락하도록 도와줬다면서, 모집에 응한 대원들은 아프간에서 이란으로 간 뒤 러시아로 들어갔다고 전했다.

그는 그러나 본인은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옛 소련 시절 아프간을 침공한 러시아를 적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cjyou@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