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 불신' 폭탄 김진태 책임론..뒤늦게 "본의 아닌데, 혼란 유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단기자금조달 시장 불안에 불을 댕긴 강원도의 채무불이행 선언과 관련해 김진태 지사 등 강원도 수뇌부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기업인 출신 부지사가 (채무불이행이 불러올 파장에 대한 고려 없이) 중도개발공사의 회생 신청을 주도했고, 채무는 이후 갚으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시장 낮은 이해도로 광역단체 정책주도
단기자금조달 시장 불안에 불을 댕긴 강원도의 채무불이행 선언과 관련해 김진태 지사 등 강원도 수뇌부 책임론이 확산하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는 금융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낮고 중앙부처와의 협업 경험이 적은 이들이 광역자치단체의 경제·금융 정책을 주도하면서 빚어졌다는 것이다.
24일 <한겨레> 취재 결과, 지난달 28일 김진태 강원지사가 2050억원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채무불이행과 강원중도개발공사의 회생 신청 방침을 밝히는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한 인물은 정광열 경제부지사다. 정 부지사는 지난 7월 김 지사가 기획재정부 국장 출신인 전임자를 해임한 뒤 영입한 삼성전자 부사장 출신이다. 김 지사는 지난 6월 지방선거 출마 당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유치를 공약한 바 있다. 강원도의 한 관계자는 “기업인 출신 부지사가 (채무불이행이 불러올 파장에 대한 고려 없이) 중도개발공사의 회생 신청을 주도했고, 채무는 이후 갚으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김진태 지사 책임론도 비등한다. 강원도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가 의견을 모았고 최종 결정은 김 지사가 한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 결정자로서의 김 지사 책임을 가볍게 볼 수 없다는 얘기다. 기업회생 신청을 하게 된 동기가 김 지사가 강조해온 채무 축소 등 ‘건전 재정’ 기조와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이런 지적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김 지사는 기업회생 신청의 이유로 “강원도민이 내는 세금을 아끼기 위해서”라고 말한 바 있다. 전임자의 흔적을 지우려는 김 지사의 정치적 무리수 때문이란 시각도 있다. 전임 최문순 지사가 레고랜드 리조트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생긴 빚을 떠안지 않으려는 정무적 판단 아래 김 지사가 채무불이행을 선택했다는 것이다.
김 지사 책임론은 여당 안에서도 나오고 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강원도가 채무이행을 할 수 있음에도 미이행 발표로 불신을 키운 데 대해서는 다시 한번 돌아볼 필요가 있다. 나비의 날개가 태풍을 불러온단 사실을 명심하고 모든 일을 신중하게 처리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승민 전 의원도 “중앙정부는 지방정부의 재정규율에 대한 원칙을 정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김 지사는 기업회생 신청 선언 이후 26일 만에 처음으로 유감의 뜻을 내놨다. 김 지사는 이날 회견을 열어 “이번 일로 본의 아니게,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자금시장에 불필요한 혼란과 오해를 초래하게 해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수백억 아끼려다 50조 투입…레고랜드 사태, 정부도 늦었다
- 한동훈 “특검, 수사 미진 때 하는 것…성과 난 수사에 도입은 방해”
- 미 MZ 세대 “영혼 없이 일할래”…월급 루팡? 번아웃 자구책?
- 민주, 윤 대통령 시정연설·사전간담회 불참…국회서 규탄 시위
- “백령도 하나뿐인 약국 지켜주세요”…지자체 첫 약국 지원책 꿈틀
- 어떻게 죽을 것인가…집에서 혼자 죽는 건 불행한 죽음일까?
- SPC ‘밤샘 노동’ 잔혹사…8일 간격 사고, 해 뜰 무렵 터졌다
- ‘채권 불신’ 폭탄 김진태 책임론…뒤늦게 “본의 아닌데, 혼란 유감”
- 음식·건축·패션 영화제도 있다…어디서 이런 생각을?
- 시진핑 3연임에 질린 시장…뉴욕·홍콩 상장 중국 기업들 급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