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징용 해법 '日기업 배상금 韓재단 대납' 본격 협의"(종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일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소송 문제의 해법으로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한국의 재단이 대신 내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23일 교도통신이 복수의 한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강제징용 노동자를 지원하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내고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도쿄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한지훈 기자 = 한일 정부가 일제 강제징용 노동자 배상 소송 문제의 해법으로 패소한 일본 기업의 배상금을 한국의 재단이 대신 내는 방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협의에 들어갔다고 23일 교도통신이 복수의 한일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한국 기업이 강제징용 노동자를 지원하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기부금을 내고 재단이 일본 기업 대신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일본 정부도 한국 재단이 대납하는 방안이라면 수용 여지가 있다고 판단해 세부 내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일 정부는 지난 7월 도쿄에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협의를 시작했고, 이후 외교장관 회담과 실무 협의 때 여러 차례 한국 측은 재단을 통한 대납 방안을 설명했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일본으로서는 용인 가능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일 정부는 오는 11월 인도네시아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간 대화도 검토하고 있다.
교도통신은 "(강제징용 해법 관련) 협의에 속도를 내 이르면 연내도 시야에 놓고 매듭을 짓는 것을 목표로 한다는 자세"라고 전했다.
한국 측은 피고인 일본 기업의 사죄와 재단 자금 거출(갹출)을 타진하고 있지만, 일본 측이 거부하고 있어 양측 간 대화가 계속되고 있다.
일본 측에선 보수층의 반발을 고려해 안이한 타협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한국 측에는 일본 기업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있다.
이와 관련, 대통령실은 '결정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아무것도 결정된 게 없다"고 말했다.
G20 계기의 한일정상 접촉 가능성에 대해서도 "전혀 예상하지 않고 있고 논의를 시작한 것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hojun@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용산 삼각맨션 천장서 시멘트 덩어리 떨어져 | 연합뉴스
- 노벨상 경제학자 "男 가사 덜 참여하면 출산율 낮아…韓 대표적" | 연합뉴스
- 서천 마량진항 바다에 빠진 승용차서 1명 숨진 채 발견(종합) | 연합뉴스
- '중국에 반도체 기술 유출' 삼성전자 전 직원 1심서 징역 7년 | 연합뉴스
- '천재 아역' 출신 故 김새론, 유족·지인 마지막 배웅 속 영면 | 연합뉴스
- 호주해변 밀려든 돌고래떼 구조 실패…157마리 폐사·안락사 | 연합뉴스
- '한국판 헬렌켈러와 설리번'…9년 함께한 대구대 사제 사연 눈길 | 연합뉴스
- [영상] "차원이 다른 명품 전투기"…KF-21 탄 공군총장 '엄지척' | 연합뉴스
- 여직원 휴게실 몰카로 불법촬영 역무원, 2심도 징역 1년6개월 | 연합뉴스
- 석유공사 사장 "개인회사면 동해심해 가스전에 망설임 없이 투자"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