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선 충돌실험 '다이모르포스', 혜성도 아닌데 두 꼬리 형성

엄남석 2022. 10. 21. 09:5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주선 충돌로 궤도 조정 실험이 이뤄진 소행성 '다이모르포스'(Dimorphos)가 두 가닥의 먼지 꼬리를 형성한 것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허블 망원경은 지난달 27일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우주선이 지구에서 약 1천100만㎞ 떨어진 곳에서 다이모르포스에 충돌한 뒤 모두 18차례에 걸쳐 이 소행성을 관측해 왔는데, 지난 2일에서 8일 사이에 위쪽(북쪽)으로 두 번째 꼬리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블 이미지에 포착된 예상치 못한 꼬리갈라짐 현상 분석 중
먼지꼬리가 두 가닥이 된 것을 포착한 허블우주망원경 이미지 [NASA, ESA, STScI, Jian-Yang Li (PSI); Image Processing: Joseph DePasquale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서울=연합뉴스) 엄남석 기자 = 우주선 충돌로 궤도 조정 실험이 이뤄진 소행성 '다이모르포스'(Dimorphos)가 두 가닥의 먼지 꼬리를 형성한 것이 허블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허블 망원경이 최근 포착한 이미지에는 다이모르포스에서 충돌 충격으로 뿜어져 나온 분출물이 약 1만㎞에 걸쳐 긴 먼지 꼬리를 형성하고 끝부분에서 두 가닥으로 갈라진 현상이 잡혀있다.

허블 망원경은 지난달 27일 '쌍(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우주선이 지구에서 약 1천100만㎞ 떨어진 곳에서 다이모르포스에 충돌한 뒤 모두 18차례에 걸쳐 이 소행성을 관측해 왔는데, 지난 2일에서 8일 사이에 위쪽(북쪽)으로 두 번째 꼬리가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혜성이나 혜성과 비슷하게 물질을 분출하는 '활성 소행성'(active asteroid)에서는 두 가닥 꼬리를 형성하는 것이 흔하지만 다이모르포스에서 관측되리라곤 예상되지 않았다고 한다.

충돌 충격으로 분출된 물질이 확산됐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희미해질 것으로 예측됐지만 두 가닥 꾜리 형성은 예상 밖 현상이어서 과학자들이 이를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허블 망원경이 포착한 이미지는 두 가닥 꼬리에 관한 최상의 자료를 제공해 수개월에 걸친 분석을 통해 두 번째 꼬리가 형성된 과정이 규명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NASA가 공개한 이미지에서 DART 우주선은 10시 방향에서 소행성에 충돌했으며, 먼지 꼬리는 2시와 3시 방향으로 형성돼 있다.

인류의 첫 소행성 방어 실험인 DART 우주선의 충돌로 다이모르포스가 모체인 '디디모스'(Didymos) 소행성을 공전하는 주기는 11시간55분에서 약 32분 단축된 것으로 초기 관측에서 확인된 바 있다.

이는 지상망원경의 관측을 토대로 한 것으로, 2024년 '헤라(Hera)미션'을 통해 우주선과 큐브샛을 두 행성에 다시 보내 충돌 결과를 정밀하게 확인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얻는 자료는 현재 소행성 방어 전략 중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꼽히고 있는 운동충격체 활용법을 정교화하는데 이용될 예정이다.

[그래픽] 지구방어 '쌍소행성 궤도수정 실험' 성공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eomns@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