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백신 3회 접종시 면역 효과 입증..IBS "변이에도 대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3차례 접종하면 오미크론 변이뿐 아니라, 초기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효과도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영기 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초기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해 최근 변이주들에 대한 실제적 교차면역반응을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3회 이상의 부스터 백신 접종을 통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까지도 생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3차례 접종하면 오미크론 변이뿐 아니라, 초기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효과도 있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감염 또는 백신 접종으로 생성된 중화항체의 면역 효과 지속 기간과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대응력도 확인할 수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최영기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신변종 바이러스 연구센터 센터장과 바이러스 면역 연구센터 신의철 센터장 공동 연구팀이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감염자와 백신 접종 후 돌파감염자의 혈액을 비교분석해 이들의 중화항체 생성 및 면역 효과, 기억 T세포 반응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세계적으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의 우세화가 지속하는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에도 오미크론과 같은 새로운 변이주들에 의한 돌파감염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돌파감염이 기존 백신에 의해 형성된 중화항체의 감소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새로운 변이주에 대해서는 보호 효과가 없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은 여전했다.
아울러 코로나19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효능 지속 시간과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알려진 바가 없다. 코로나바이러스 초기 유행 당시에 대응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는 백신이 최근 발생하는 다양한 변이주에 대한 대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없었다.
연구팀은 백신 비접종자가 코로나19 초기형, D614G변이형, 오미크론변이형 바이러스에 각각 감염됐다가 회복한 환자군과 코로나19 백신을 2회 혹은 3회 접종 후 오미크론에 돌파감염됐던 환자군의 혈청 내 중화항체를 비교분석했다. 이어 백신 접종자의 경우 접종 후 1, 3, 5개월차의 혈청을 연속적으로 분석해 백신효과의 지속기간 및 중화항체의 특성을 추적했다.
연구 결과,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가 각기 다른 면역원성을 유도함이 확인됐다. 이는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이 초기 유행 바이러스주에 감염돼 생성된 중화항체가 오미크론주의 감염을 막지 못하며, 반대로 오미크론주에 감염된 사람에게 형성된 중화항체는 지금까지 알려진 다른 어떠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의 감염도 막을 수 없다는 의미이다.
백신 접종 횟수에 따른 중화항체의 효과는 백신을 2회 접종한 사람과 비교해 3회 접종한 사람에게서는 더 오래 지속됐다. 코로나19 백신의 2회 접종을 통해 생성된 중화항체는 5개월 이내에 소실됐지만, 3회 접종으로 생성된 중화항체의 효과는 5개월 이상까지 유지됐다. 뿐만 아니라 백신을 3회 접종한 사람에게서 더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들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했다.
최영기 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초기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변이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해 최근 변이주들에 대한 실제적 교차면역반응을 분석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라며 “3회 이상의 부스터 백신 접종을 통해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에 대한 중화항체까지도 생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신의철 센터장은 “백신 3회 접종 후 오미크론 돌파감염은 초기 우한주 바이러스와 새로운 변이주에 대한 기억 T세포 항바이러스 반응을 강하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확인했다”라며 “기억 T세포의 반응으로 오미크론 돌파감염 회복 후 다른 변이주에 감염되더라도 증상이 경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정혜원 충북대 교수 연구팀, 송준영·노지윤 고려대 교수 연구팀,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연구소 중개연구팀 등 다수의 임상병원과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셀 리포트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 IF 16.988) 10월호에 게재됐다.
참고자료
Cell Reports Medicine, DOI: https://doi.org/10.1016/j.xcrm.2022.100764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현대차가 공들이는 인도… 벤츠·BMW도 적극 공략
- [체험기] 애플 인텔리전스, AI가 영문 기사 요약·사진 편집… “늦게 나왔는데 특별한 건 없네”
- [인터뷰] AI로 심혈관 치료하는 의사 “환자 비용과 의료진 부담 동시 줄인다”
- 올해 개미 평균 31% 손실 … 남은 두 달, 반전 가능할까
- [실손 대백과] 치료·수술 사용 ‘치료재료대’ 보험금 받을 수 있다
- [과학영재교육 갈림길]② 의대 준비하러 대학 일찍 간 과학영재들, 조기진학제 손 본다
- [단독] 삼성전자, P2·P3 파운드리 라인 추가 ‘셧다운’ 추진… 적자 축소 총력
- [단독] 서정진 딸 관련 회사 과태료 미납, 벤츠 차량 공정위에 압류 당해
- [단독] ‘레깅스 탑2′ 젝시믹스·안다르, 나란히 M&A 매물로 나왔다
- “트럼프 수혜주”… 10월 韓증시서 4조원 던진 외국인, 방산·조선은 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