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 독점 이렇게 무서울 줄이야..'카카오 엑소더스'

이승우 2022. 10. 16.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4743만 명.

올해 1분기 기준 카카오톡의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다.

하지만 데이터센터 한 곳에서 발생한 불로 카카오톡은 물론 카카오의 대다수 서비스가 24시간 넘게 장애를 겪은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정보기술(IT)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카카오의 상당수 서비스는 카카오톡이라는 전 국민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수합병(M&A), 분할 상장 등을 통해 고속 성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카카오 올해만 6번째 먹통..창사 이래 최대 위기
서버 분산 시스템 갖췄다면서
"화재는 예상 못한 시나리오" 변명
전문가 "사실상 백업시스템 없어"
"갈아타자" 경쟁 앱 설치 폭증
자체 데이터센터 보유한 네이버
일부 장애만..카카오 피해 커
"문어발식 확장 한계왔다" 지적도
지난 15일 경기 성남시 판교 SK C&C 인터넷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가 줄줄이 중단됐다. 경기 과천의 한 카카오T 주차장 무인정산기에 시스템 장애를 알리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4743만 명. 올해 1분기 기준 카카오톡의 월간 활성이용자 수(MAU)다. 국내 총인구(5174만 명)의 91.7%에 달한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이란 ‘국민 서비스’를 통해 2010년 3월 출시 이후 10여 년 만에 스타트업에서 재계 순위 15위까지 초고속 성장을 거듭했다. 하지만 지난 15일부터 이어진 대규모 서비스 장애로 창사 이후 가장 큰 위기를 맞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카오 장애는 이번 사태를 포함해 올 들어 여섯 번째다.

이번 서비스 장애의 1차 원인은 카카오 서버가 있는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다. 하지만 데이터센터 한 곳에서 발생한 불로 카카오톡은 물론 카카오의 대다수 서비스가 24시간 넘게 장애를 겪은 것은 이례적이라는 게 정보기술(IT)업계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서비스를 운영하는 기업은 여러 데이터센터에 서버를 분산하고, 지진이나 화재 등 사고가 발생해도 다른 서버를 이용해 ‘무중단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이중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카카오는 사고 당일인 15일 남궁훈·홍은택 대표 명의의 사과문에서 “데이터를 국내 여러 데이터센터에 백업하고 있고, 장애 대응을 위한 이중화 시스템도 갖췄다”고 설명했다. 양현서 카카오 부사장은 16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화재는 예상하지 못한 시나리오였기 때문에 대비책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이어 “시스템이 이중화돼 있어 데이터 손실 우려는 0%”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장애 복구가 늦어지면서 비상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했는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IT업계 관계자는 “이런 사태를 막으려고 이중화 조치를 하는데, 24시간 넘게 서비스가 복구되지 않는다면 사실상 백업 시스템이 없다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네이버도 일부 서비스 장애를 겪었지만 사고 발생 당일인 15일 대부분 복구를 마쳤다. 주요 서비스를 이중화하고 서비스 컴포넌트(구성 요소)를 분산 배치해 영향이 작았다는 설명이다. 네이버가 자체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것도 도움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카카오의 성장 방식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지적이 많다. 카카오의 상당수 서비스는 카카오톡이라는 전 국민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수합병(M&A), 분할 상장 등을 통해 고속 성장했다. 카카오톡이 위기를 겪을 경우 다른 서비스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실제로 카카오가 장애를 겪은 뒤 애플, 구글의 앱 마켓에선 라인, 우티택시 등 카카오 서비스의 경쟁자들이 줄줄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IT업계 관계자는 “대안이 있다는 인식이 생겨나면 엑소더스가 벌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