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기준금리 2.50%→3.00%..두번째 '빅 스텝' 단행
5차례 연속 인상은 '사상 최초'
미국과 금리 격차 0.25%P 수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현재 연 2.50%인 기준금리를 3.0%로 0.5%포인트 인상하는 ‘빅 스텝’을 단행했다.
금통위는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3%대 기준금리는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4·5·7·8월에 이은 다섯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도 사상 최초 기록이다.
기준금리 인상을 지지하는 가장 큰 근거는 여전히 높은 수준에서 내려오지 않고 있는 물가오름세다. 이창용 총재는 “5%대의 물가 상황에서는 고통스럽더라도 금리인상을 통해 물가를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국내 9월 소비자물가지수(108.93)는 작년 같은 달보다 5.6% 올랐다. 상승률은 8월(5.7%)에 이어 두 달 연속 낮아졌지만, 5%대 중반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고 있다. 한은은 내년 1분기까지는 물가상승률이 5%대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과 미국 간 기준금리 격차 확대와 이에 따른 환율·물가의 추가 상승 위험도 금리인상을 뒷받침하고 있다.
현재 한국(2.50%)과 미국(3.00∼3.25%)의 정책금리(기준금리) 격차는 최대 0.75%포인트인데, 이날 금통위의 결정으로 다시 0.25%포인트 수준으로 좁혀지게 됐다. 그러나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1·12월에 걸쳐 총 1.25%포인트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높은 상태여서 금리 격차는 다시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미국의 금리가 더 높으면 더 높은 수익률을 좇아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질 가능성이 커지기 대문에 한국으로서도 손 놓고 방관하기 어렵다. 더구나 환율이 계속 뛰면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10월 정점을 기대하고 있는 물가오름세가 재차 상승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준이 9월 빠른 속도로 금리를 인상했고, 11월에도 그렇게 하겠다고 예고한 상황”이라며 “한은도 한미 금리 격차가 계속 커지는 것을 용인하지 않을 것”이라며 빅 스텝에 무게를 뒀다.
시장의 관심은 오히려 11월에도 금통위가 ‘빅 스텝’ 가능성을 열어놓을 지 여부로 향하고 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은 가계대출의 70% 이상이 변동금리형인만큼 금리인상으로 인한 이자비용은 부담이지만, 현재 한은의 최우선 목표가 물가 안정에 있는 만큼 11월에도 빅 스텝 가능성을 열어 놓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바람난 아빠가 죽었다, 내연녀에게 줄 위자료 남기고
- “병가 한 번만 줬어도…” 20대 청년 앗아간 ‘아파도 출근’
- 메시, 결국 MLS로 간다···인터 마이애미행 확정
- “이정재 누웠던 침대에 누워보라”···에이스침대, 내부고발에 3년째 ‘입막음’
- 권도형 몬테네그로 체포 직후 378억 인출
- 넷플릭스처럼 교과서도 ‘구독’한다···2025년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 학폭·언론 탄압…벌써 ‘이동관 뇌관’
- 이채익 “우크라이나 6·25 참전국인데”···김병주 “당시 소련이었다”
- “옆집 이사오더니 대박났어요”…이웃 낙수효과 엄청 나네
- 발목뼈 뚫고 나왔는데 소량의 혈흔…아내를 죽인건 남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