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초3~고2로 늘린다..'전수평가' 부활하나

2022. 10. 11. 15:5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육부,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발표
진단평가·자율평가 함께 확대하기로
AI 학습 프로그램·소규모 교과보충수업 등 지원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11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에서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교육결손이 심각함에 따라 기초학력 부족 학생 비율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초학력과 학업성취도 평가 대상을 단계적으로 늘려 도움이 필요한 학생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을 한층 강화하기로 했다. 또 인공지능(AI) 학습 프로그램을 활용한 맞춤형 학습을 지원하고 학습·돌봄·정서적 지원을 위한 두드림학교를 모든 초·중·고교로 확대한다.

교육부는 1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2023∼2027)’(이하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우선 정확한 진단을 위해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과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의 응시 대상을 확대한다.

올해 3월 시행된 기초학력보장법 시행령은 학교장이 학년 시작일로부터 2개월 안에 기초학력 검사 결과와 교사·학부모 의견 등을 바탕으로 학습지원 학생을 선정할 수 있도록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에 초등학교 1학년~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던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을 2024년부터 고2까지로 확대한다.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은 학생이 기초학력을 갖췄는지 분석하고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2012년 도입됐다. 학업성취도를 수준별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초학력 미달 여부만 가려낸다.

컴퓨터 기반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의 경우 올해 초6·중3·고2를 대상으로 시행하는데 내년에는 초5·6, 중3, 고1·2로 확대하고 2024년부터는 초3~고2로 대상을 더 넓힌다.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는 교과 영역과 사회·정서적 역량 등을 함께 진단하는 평가다. 학교·학급 단위로 신청해 응시할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응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학교는 이런 진단평가를 통해 지원 학생 후보군을 선별하고, 교사 의견 등을 바탕으로 협의회에서 지원 학생을 확정한다.

교육부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가 20%에 못 미치는 수준을 기초학력 미달로 보고 있다.

이해숙 교육부 학생지원국장은 “기초학력 진단·보정 시스템은 기초학력에 도달했는지 미달했는지만 진단할 수 있었다”며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이 시스템과 자율평가 등을 연계하면 ‘미달 가능성’이 있는 학생까지 지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오는 2025년까지는 인공지능(AI) 기반 학습진단체계를 활용해, 개인별 수준에 따른 맞춤형 진단을 실시한다. 또 1수업 2교사제를 정규수업과 교과 보충에 적용할 계획이다.

초등 1~2학년의 한글 익힘 시간은 448시간에서 482시간으로 늘릴 예정이다.

아울러 학습·돌봄·정서 지원을 다각적으로 하는 두드림학교를 2027년까지 모든 초·중·고교로 확대하고, 가정에서의 연계지도를 활성화하고자 지원 과정에서 학부모 참여도 독려하기로 했다.

코로나19에 따른 학격력차를 줄이기 위해 학생의 수준과 희망에 따라 방과 후 소규모(1∼5명) 교과보충 수업, 교원자격증 소지자 같은 보조 인력을 활용한 튜터링도 지원한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종합계획을 밀도있게 추진함으로써 기초학력 진단 및 지원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모든 학생이 기초학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부의 이 같은 평가 확대 방침에 대해 사실상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전수평가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는 이번 종합계획에 포함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달리, 학교·학급별로 자율적으로 신청해 원하는 시기에 실시하는데다 결과도 개별 학생에게만 통보되므로 ‘전수평가’ 또는 ‘일제고사’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신청 학교가 많으면 자율평가가 사실상 전수평가처럼 작용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더욱이 코로나19 여파로 최근 2년 여간 대면학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서 학력격차가 커졌다는 연구결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시·도에서는 학력진단을 위한 평가를 강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부산시교육청은 특성화고를 제외한 지역 전체 초·중·고교에 학업성취도 ‘자율평가’를 ‘필수’로 신청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내려보내기도 했다.

한편, 정부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파악하고자 특정 학년을 대상으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이 평가는 김대중·노무현 정부(1998~2007년) 때 표집 방식이었다가 이명박·박근혜 정부(2008~2016년) 때 전수평가로 전환돼 ‘일제고사’로 불렸다. 2017년 문재인 정부에서는 다시 중3과 고2 학생의 3%만 뽑아 실시하는 표집평가로 회귀했다. 올해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표집으로 진행된다.

yeonjoo7@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